• Title/Summary/Keyword: 시간차 학습

Search Result 30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패턴활동으로 구성된 함수단원 개발과 적용 효과 분석 -중학교 1학년 함수단원을 중심으로-

  • Kim, Taek-Hyeon;Jeon, Pyeong-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231-245
    • /
    • 1999
  •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함수 학습을 위해 패턴 활동으로 구성된 함수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집단(85명)과 교과서를 적용한 비교 집단(85명)간의 함수 학습에서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함수 지도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패턴 활동을 동해 함수적 사고를 기르며, 활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실생활의 연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적용 결과, 수학 수준별 수업을 하는 상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중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수업 시간에 흥미가 매우 높았다는 긍정적 평가를 할 수 있다.

  • PDF

Design on Neural Network Controller with a Fuzzy Compensator (퍼지보상기를 갖는 신경망제어기 설계)

  • 김용태;이상윤;신위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08a
    • /
    • pp.93-9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제어기의 출력을 보상하는 퍼지보상기를 갖는 신경망제어기에 관하여 제안하였다. 학습이 완료된 신경망제어기를 사용하더라도 예상치 못한 외란으로 인해 플랜트의 출력이 좋지 못한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적절하게 조절해 주기 위해 퍼지보상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플랜트의 동적 특성을 계속해서 학습할 수 있도록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경망제어기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2차 플랜트에 적용하여 제안한 제어기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Adolescent Self-esteem, Career Identity, School Learning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Change: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중학교에서 고3까지의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 학습활동과 삶의 만족도 관계연구: 4년간의 변화를 중심으로)

  • Kim, Sunah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2
    • /
    • pp.507-514
    • /
    • 2018
  • This study utilize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o investigate the trajectories of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change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effects of self-esteem, career identity, school learning activity, gender, and household earnings on life satisfaction changes were examined. Data was obtained from the Korea Child Youth Panel Survey (KYCPS), a longitudinal study following students for 7 years. Year 3-6 data was utilized. Results found that the life satisfaction trajectory resulted as a quadratic model in which individual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Second, school learning activity used as a time variant variable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each year. Third, gender and self-esteem as time invariant variabl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itial levels while self-esteem had effects on the slope and quadratic change. Further implications and research issues are discussed.

미국 NCTM의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에 나타난 수학과 교수 ${\cdot}$ 학습의 이론

  • Choe, Yeong-Han;Kim, Mi-Wo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751-764
    • /
    • 2002
  • 미국의 “전국 수학 교사 협의회”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는 1989년부터<학교 수학의 교육과정과 평가 규준> (1989), <수학 가르침(교수)의 전문성 규준> (1991), <학교 수학의 평가(시험) 규준> (NCTM, 1995), <학교 수학의 원리와 규준> (2000)을 출판하여 미국의 수학 교육의 전망(목표, 나아갈 길)과 규준(실행 지침)을 제시하였다. 수학 교사들로 구성된 미국의 NCTM은 학생, 학부모, 학교 행정가 등 많은 사람들과 힘을 합하여 모든 학생들에게 수준 높은 수학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여건(환경, 기회)을 조성하는 데 구심점의 역할을 하였다. 한편 많은 관련 단체들은 여러 배경과 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전문성을 지닌 교사(특수 교사를 일컫는 말이 아니다. 수학 교과를 이해하고 수학의 전문성과 특수성을 가르칠 수 있는 일반 교사를 일컫는 말이다.)로부터 미래를 대비해 평등하고, 진취적이며, 지원이 잘 이루어지고, 공학 도구(IT)가 잘 갖춰진 환경에서 중요한 수학적 아이디어를 이해하면서 학습할 수 있는 수학 교실(미국에서는 우리나라처럼 수학 교사가 수학 시간에 학생의 방(교실: Homeroom)에 찾아가지 않고 학생들이 선생의 방(수학 교실: Classroom)을 찾아온다. 전형적인 수학 교실의 사진은 2쪽에 나와 있다.)을 만들기 위해 함께 힘썼다. NCTM에서 출간한 여러 규준들은 우리나라의 제 6 차와 제 7 차 교육과정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 글에서는 NCTM (2000)에서 제시한 학습 원리를 간단히 살펴본 다음 이를 중심으로 현재 미국 수학교육의 교수 ${\cdot}$ 학습 이론의 동향을 살펴본다.

  • PDF

Comparison of EEG Topography Labeling and Annotation Labeling Techniques for EEG-based Emotion Recognition (EEG 기반 감정인식을 위한 주석 레이블링과 EEG Topography 레이블링 기법의 비교 고찰)

  • Ryu, Je-Woo;Hwang, Woo-Hyun;Kim, Deok-Hwa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Next Generation Computing
    • /
    • v.15 no.3
    • /
    • pp.16-24
    • /
    • 2019
  • Recently, research on emotion recognition based on EEG has attracted great interest from human-robot interaction fiel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labeling using image-based EEG topography instead of evaluating emotions through self-assessment and annotation labeling methods used in MAHNOB HCI. The proposed method evaluates the emotion by machine learning model that learned EEG signal transformed into topographical image. In the experiments using MAHNOB-HCI database,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raining EEG topography labeling models of SVM and kNN.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was 54.2% in SVM and 57.7% in kNN.

Development of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by Blended Learning Strategy - Focusing on a Unit 'the Youth and Consumer Life' - (Blended Learning(BL) 전략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 '청소년과 소비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 Lee, Jin-Hee;Chae, Jung-Hy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0 no.4
    • /
    • pp.19-4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about a unit 'the youth and consumer life' of middle school eighth-grad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by applying blended learning(BL) strategy. According to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analysis, design/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n the stage of design and development, the selected unit was converted into a practical problem-based unit, and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s were designed in detail by using BL strategy. An online study room for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grounded in BL strategy was prepared by using Edunet(http://community.edunet4u.net/${\sim}$consumer2). Eight-session lesson plans were mapped out, and study aids for students and materials for teachers were prepared.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first-session teaching plans that dealt with a minor question 'what preparations should be made to become a wise consumer' were utilized when instruction was provided to 115 eighth graders who were in three different province, and the other one was in a middle school in the city of Daejeon. The experimental teaching was implemented for two weeks in the following procedure: preliminary program, pre-online learning, main instruction and post- online learning. The preliminary program was carried out in a session in the classroom, and pre-online learning was provided before the main instruction was given in a session in the classroom. After the main instruction was completed, post-online learning was offered. In the evaluation stage, a survey was conducted on all the learners and teachers to find out their opinions and suggestions.

  • PDF

Modeling of Secondary Path in an Active Noise Control Using Time Delay Neural Network (시간 지연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능동 소음 제어 시스템의 2차 경로 모델링)

  • 이병도;이민호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8
    • /
    • pp.19-24
    • /
    • 1998
  • 이 논문에서는 능동 소음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인 증폭기와 저주파 필터 와 같은 소자들의 비선형 특성과 공간에서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 비선형 특성을 보상하여, 보다 효과적인 능동 소음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 시간 지연 신경 회로망을 이용하는 새로 운 방법을 제안한다. 공간을 포함한 2차 경로 함수를 모델링하여 보다 나은 성능을 갖는 능 동 소음 제어기를 구성하기 위한 기존의 최소 자승 오차 알고리듬에 기반한 filtered-x least mean square(LMS) 알고리듬과 오차 역전달 학습 알고리듬을 갖는 시간 지연 다층 구조 인 식자를 이용한 결과를 간단한 실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 PDF

ADPM 기반의 실기 수업을 위한 저작 시스템의 프로토타입 개발

  • 구정모;한병래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5 no.2
    • /
    • pp.301-310
    • /
    • 2004
  • The Current 7th Curriculum for Computer Education emphasized the class of practice oriented, student oriented. But it is very hard because of many students, poor environments, insufficiency of the teaching model. So ADPM will gives our help. a ADPM based practical class using ebook synchronized with video files give a little student's wating time for answering, much student's learning efficiency, much student's voluntary learning custom, a individualized learning. And this study developed the prototype to support the ADPM. This prototype will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authoring systems, which they are a wizard type program, capturing video file, synchronizing video files. And it will improve a practical class.

  • PDF

Detection of Abnormal Dam Water Level Data Based on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에 기반한 댐 수위 이상 데이터 탐지)

  • Bang, Suil;Lee, Do-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293-296
    • /
    • 2021
  • K-water에서는 다목적댐의 관리를 위해 실시간으로 댐수위, 하천 수위 및 강우량 등을 계측하고 있으며, 계측된 값들은 댐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댐수위 이상 데이터를 탐지하지 못한 채 그대로 사용할 경우 댐의 방류 시기와 방류량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의사결정을 그르칠 수 있으므로 이를 신속히 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의 자동화된 이상 데이터 탐지방법 중 하나는 현재 데이터가 최댓값과 최솟값을 초과할 때, 다른 하나는 현재 데이터와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값 간의 차이가 관리자가 정한 특정 값을 벗어났을 때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전자는 상한과 하한의 초과 여부만 판단하므로 탐지가 쉬우나 정상범위 내에서 발생한 이상 데이터는 탐지가 불가하다. 후자는 관리자의 경험을 통해 판단 조건을 정하기 때문에 객관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방류와 강우가 복합적으로 댐수위에 영향을 미치는 홍수기에 관리자의 경험에 기초한 이상 데이터 판별은 신뢰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을 최초로 적용하여 이상 데이터를 탐지하고자 하였다. 댐수위, 누적강우량 및 누적방류량 데이터와 댐수위데이터를 가공하여 생성한 댐수위차, 댐수위차평균, 댐수위평균 등 자질들의 다양한 조합을 만든 후 이를 Random Forest, SVM, AdaptiveBoost 및 다층퍼셉트론(MLP)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기계학습모델 등을 통해 이상 데이터를 판별하는 실험(분류)을 하였다. 실험결과 댐수위, 댐수위차, 댐수위-댐수위평균, 누적강우량, 누적방류량 및 댐수위차평균을 사용하였을 때 MLP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댐수위 이상 데이터를 기계학습의 분류기능을 통해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는 것과 모델의 성능은 실험에 사용한 자질의 수뿐 아니라 자질의 종류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redicting lane speeds from link speeds by using neural networks

  • Pyun, Dong hyun;Pyo, Changw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8
    • /
    • pp.69-75
    • /
    • 2022
  • In this paper, a method for predicting the speed for each lane from the link speed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present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predicting the required time of a driving route. The time required for passing through a link is obser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going straight, turning right, or turning left at the intersection of the end of the lin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speed according to the vehicle's traveling direction. Data required for learning and verification were constructed by refining the data measured at the Gongpyeong intersection of Gukchaebosang-ro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four adjacent intersections around it. Five neural network models were used. In addition, error analysis of the prediction was performed to select a neural network experimentally suitable for the research purpos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error in the estimation of the time required for each lane decreased by 17.4% for the straight lane, 4.4% for the right-turn lane, and 3.9% for the left-turn lane. This experiment is the result of analyzing only one link. If the entire pathway is tested, the effect is expected to be gre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