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간의존적변형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1초

시공단계를 고려한 콘크리트 프레임 구조물의 해석 (Analysis of Concrete Frame Structures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Sequences)

  • 곽효경;서영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71-184
    • /
    • 1999
  • 이 논문은 시공단계를 고려한 콘크리트 프레임 구조물의 거동 해석을 다루고 있다. 고층건물의 경우 하루에 시공이 완료되지 않으므로 각 시공단계에 따라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현상은 다르게 발생된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프레임 해석기법에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이 연구에 도입된 해석기법은 단면을 가상의 층으로 나누고 각층은 일축상태로 가정한 적층단면을 사용하였다. 요소는 평면 보요소를 사용하였으며 강성행렬은 변위법을 바탕으로 유도하였고 전체적인 구조해석은 비선형 구조해석 방법의 하나인 복합법을 사용하였다.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단면의 각 층에서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변형률을 계산하였으며 크리프는 크리프 Compliance의 전개에 기본을 둔 1차 순환적 단계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 제안된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프레임해석 및 기둥축소에 관한 예제를 해석하였다.

  • PDF

FRP가 외부 부착된 철근콘크리트보의 시간의존적 변형률 예측 (Prediction of Time-Dependant Strain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Externally Bonded with FRP)

  • 김성후;한경봉;김광수;김준원;이인주;박선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253-256
    • /
    • 2008
  • 복합섬유(Fiber Reinforced Polymers)가 외부 부착된 철근콘크리트 보에 관한 연구는 국내 및 세계 여러나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장기 거동에 관한 연구는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탄소섬유(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s)와 유리섬유(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s)를 철근 콘크리트 보에 외부 부착시킨 후 300일간 지속하중하에서 철근의 변형률, FRP의 변형률을 측정함으로써 FRP 보강 실험체의 시간의존적 거동을 파악하였다. 또한, Adjusted Effective Modulus Method, (AEMM)과 Ghali and Farve의 방법을 사용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응력과 변형률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실험결과, RC보의 휨 보강 측면으로 보았을 때, CFRP가 GFRP보다 장기거동에 있어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론 식으로 산정된 값은 무보강 실험체의 철근 변형률의 경우 비교적 유사하게 예측하고 있으나 FRP로 보강된 실험체들의 인장철근은 다소 과대평가하는 결과를, 압축철근은 과소평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 PDF

시간 의존적 거동을 고려한 CFT 기둥의 극한 하중 계산을 위한 수치 해석 모델 제안 (Numerical Model for the Estimation of Ultimate Load Capacity of CFT Columns Considering Time-dependent Behavior)

  • 김성훈;곽효경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25-31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시간 의존적 거동을 고려하기 위한 크리프 거동 해석과 비탄성 해석법을 통해 기존의 설계기준 보다 정확하고 전 시간 단계에서의 CFT 기둥의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수치 해석 모델을 제안하고, 기존의 CFT 기둥에 수행된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수치 해석 모델의 결과가 기존의 설계 기준의 결과보다 정확한 추세를 나타낸다는 것을 파악 할 수 있었다. 검증 이후 세장비에 따른 수치 해석을 수행하여 전반적인 CFT 기둥 부재의 단기 및 장기 지속 하중 거동에 대한 극한 하중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사용성 설계를 위한 PSC 합성거더교의 시간의존적 변수해석 (Time-dependent Parametric Analyses of PSC Composite Girders for Serviceability Design)

  • 윤석구;조선규;이종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A호
    • /
    • pp.823-832
    • /
    • 2006
  • PSC 합성거더교의 사용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사용하중 상태에서 구조물에 발생하는 응력과 변형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응력과 변형은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과 크리프, 그리고 긴장재의 리락세이션에 의한 영향으로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시간의존적인 영향의 중요성은 전체 구조가 일시에 제작되는 경우보다 단계별로 시공되는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더욱 커진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30 m PSC거더 표준단면을 이용한 PSC 합성거더교에 대해 긴장력 도입시기와 콘크리트바닥판 타설시기의 변동성을 고려한 장기거동해석을 수행하였다. 단순교와 연속교에 대해 시공단계별 장기거동 해석을 위한 PSC 합성거더교 전용해석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변수해석을 수행하였다. 시공단계별 변수해석결과를 토대로 PSC 합성거더교의 장기거동특성과 현행 프리스트레스 감소량과 관련된 현행규정의 적용한계성을 분석하였다.

극미세 점 구조체 제작을 위한 나노압입 공정에서 PMMA의 시간의존적 변형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ime-Dependent Deformation Behaviors of PMMA in Nanoindentation Process for Hyperfine Pit Structure Fabrication)

  • 김현일;강충길;윤성원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62-70
    • /
    • 2005
  • The nanoindenter and AFM have been used for nanofabrication, such as nanolithography, nanowriting, and nanopatterning, as well as measur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surface topology. Nanoscale indents can be used as cells for molecular electronics and drug delivery, slots for integration into nanodevices, and defects for tailoring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indents of desired morphology (shape, size and depth). Indents of different shapes can be obtained by using indenters of different geometries such as a cube comer and conical and spherical tips. The depth and size of indents can be controlled by making indentations at different indentation loads. However, in case of viscoplastic viscoelastic materials such as polymethylmethacrylate (PMMA) the time dependent deformation (TDD)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rocess parameters such as loading rate and hold-time at peak load on the indent morphology (maximum penetration depth, elastic recovery, transient creep recovery, residual depth pile-up height) of PMMA were studied for hyperfine pattern fabrication.

병치된 변형률 계측치를 이용한 프리팹 PSC 거더 캠버 재구성 (Camber Reconstruction for a Prefab PSC Girder Using Collocated Strain Measurements)

  • 김현영;고도현;박현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2호
    • /
    • pp.151-162
    • /
    • 2022
  • 스마트 건설 기술의 도입으로 공장에서 일괄 대량생산이 가능한 프리팹 부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프리팹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는 가설시 프리팹 바닥판과의 정합성을 위해 제작부터 가설 전 단계까지 거더의 형상관리가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프리팹 거더의 상연 및 하연에 병치된 변형률 측정치를 이용한 캠버 재구성 기법을 제시한다. 특히, 긴장력 도입 이후 가설 전까지 콘크리트의 시간 의존적 거동이 고려된 변형률 데이터에 대해 캠버 재구성 기법을 적용한다. 몬테카를로 수치 모사를 통해 제한된 센서의 개수, 계측 오차 그리고 비선형적 시간 의존적 거동들에 대해 재구성된 캠버의 통계적 정확도를 분석하고 타당성을 검증한다.

연성포장의 노반재료로써의 EPS 지오폼의 시간의존적 변형 분석 (Analysis of Time-Dependent Deformation of Expanded Polystyrene (EPS) Geofoam as a Flexible Pavement Subgrade Material)

  • 박기철;바부 라마라즈;장용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57-65
    • /
    • 2010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반복적인 하중조건하에서 연성포장체의노반재료로써, EPS블럭의 시간의존적 변형을 연구하는데 있다. 반복하중 조건에서의 EPS블럭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 방법 및 수치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수치모델링을 위해서 반복하중 조건하에서 관찰된 변형거동과 단위중량, 변형 그리고 적용된 하중과의 상관관계의 조사가 행해졌다. 실험결과는 핀들레이 이론과 반복하중 조건에서의 연구결과의 모델 분석등과 비교되었고, 보완된 핀들레이 모델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은 반복하중에서의 EPS블럭의 변형거동을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계측 자료의 비선형최소자승법을 이용한 파괴시간 예측 (Failure Time Prediction by Nonlinear Least Square Method with Deformation Data)

  • 윤용균;김병철;조영도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9권6호
    • /
    • pp.558-566
    • /
    • 2009
  • 암석의 시간 의존적 거동은 기본적인 역학적 특성으로서 시간 의존적으로 거동을 분석하여 암반구조물의 파괴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Voight가 제안한 재료 파괴 예측식($\ddot{\Omega}=A\dot{\Omega}^\alpha$, 여기서 $\Omega$는 변형률이나 변위와 같은 측정 가능한 물리량이고 A & $\alpha$는 상수이다)을 이용하여 터널, 사면 및 실내 크리프 시험으로부터 측정된 변위나 변형률로부터 파괴시간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Voight식을 1차 및 2차 적분하여 구한 변위속도 및 변위식에 비선형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A & $\alpha$를 구하였으며 이들 상수는 파괴시간을 예측하는데 사용되었다. 예측된 파괴시간은 실제 파괴시간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리프 변형률과 변형률속도에 선형역속도법을 적용하여 구한 예측 파괴시간은 변형률과 변형률속도를 이용하여 구한 파괴시간보다 오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