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적 체험

Search Result 21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patio-Temporal Visua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Collections (문화유산 데이터의 시공간상 시각화 연구)

  • Park, Narae;Jeon, M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55-57
    • /
    • 2020
  • 본 연구는 문화유산 데이터의 효과적 정보 시각화 방안을 탐색한다. 문화유산 데이터는 역사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충실히 이해될 수 있기에, 지리적 평면과 시간 축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시공간 큐브상에 문화유산 데이터들을 배치하는 것은 문화유산의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통시적·공시적 조망을 동시에 제공하는 유익한 시각화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문화유산 컬렉션 데이터를 지도 평면과 시간 축으로 구성된 시공간 큐브 상에서 탐색·체험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과 AR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분석 결과 문화유산 데이터의 3차원 시각화는 데이터에 대한 총체적 시야를 제공하고 새로운 체험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하는 한편, 낯선 형식으로 인한 인지적 피로가 뒤따를 수 있어 대상 데이터의 특성, 매체 형식의 특성, 사용자의 경험적 이해, 인간의 지각방식을 고려한 다각적 정보 체험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A Design on Experience Space Based on Interactive Storytelling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체험 공간 디자인)

  • Park, Sun-Ja;Park, Seung-H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55-62
    • /
    • 2007
  • 정보통신 기술과 컴퓨터의 급속한 발달은 과거에 불가능했던 많은 일들을 가능하게 하였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기존의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으로 체험 가능한 것으로 발전시켰으며, 이를 통해 인간은 경험을 확장 시킬 수 있게 되었다. 즉, 인간의 체험, 인식, 가치, 행위가 가상의 공간으로 무한하게 확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현대 사람들은 체험 공간이 현실 세계와는 다른 비일상적 체험과 욕구실현을 구현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원한다. 이에 따라서 체험 공간의 논의가 과거의 시각적 정보전달만을 위한 체험 공간이 아닌 정보와 흥미, 체험을 동시에 줄 수 있는 노력들이 요구, 진행되고 있다. 체험 공간에 있어서 엔터테인먼트 적인 요소가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도 시청각적 흥미위주의 직선적인 공간의 이야기로 관람자를 일회적인 관람에서 그치게 하고 있다. 매체를 나열식으로 던져 준다고 해서 사람들이 흥미를 느끼거나 몰입을 경험하지는 못한다. 그러기 위해선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Interactive Storytelling)의 인터렉티비티한 요소가 체험 공간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인터렉티비티는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의 특징 중 하나로, 이와 같은 인터렉티비티 요소들은 관람자에게 다양한 선택과 통제의 기회를 주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체험 공간 속에서 관람자는 스스로 매체와 매체간의 반복과 조합을 통해 관람자 개개인이 새로운 시나리오를 쓸 수 있게 되고 체험 공간은 유동적인 공간이 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험 공간이 관람자 스스로가 만들어가는 공간이 되고, 지각적 체험과 정신적 체험까지 경험할 수 있는 체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의 가치를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이 공간 속에서 의미를 획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존의 체험 공간에 대한 연구와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의 기존 사례를 선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이 체험 공간 안에서 사람들에게 일회적인 경험을 주는 것이 아닌 사람들이 직접 그 공간의 스토리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체험 공간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서 월드컵이 열리는 대표적인 도시인 상암동에 한국 소프트웨어진흥원이 주관하여 건설되는 ‘상암 디지털 파빌리온’을 대상으로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체험공간 디자인을 작품 형태로 기획 되었으며, 기본적인 시나리오 컨셉을 제시하고 공간의 구조도, 체험 과정(Process)등이 제시된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체험 공간이 직선적인 내러티브에서 벗어나 체험 공간 속 협업의 가능성을 열어주어 새로운 소통의 장을 마련해 준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Style for a Study on Visual Tactility of Game Animation (게임에니메이션의 시각적 촉각성 연구)

  • Park, Sung-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11
    • /
    • pp.110-117
    • /
    • 2006
  • With the New media of present age we are living at, strongly entice consumers through various sensible technology and give influences on our life. They are visually formed but make us feel them as if formed tactile. The masses of today are meeting media through all the senses in daily life according to the spread of on-line media and in such course they want momentary and tactile share. Since appearance of mass society and cinema following such current, art has appealed to dispersive and tactile perception, and such public way of perception makes it possible to experience 'visual tactility' in daily life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on-line game culture among others. The shock effects, given by editing of game animations which are produced for epic experience of on-line game, arouse tactility in addition to visibility. Under this assumption and on the basis of visual tactility theory as well as montage theory of image by Walter Benjamin, the research intends to explain that public tactile shock does not result from simple graphic effect but from montage effect and dispersive acceptance.

  • PDF

Evaluation for Express of Brand Identity in Brand Experience Spaces -Mainly with Analysis on Domestic 4 Brand Experience Space- (브랜드체험관에서의 브랜드 정체성(BI) 표현에 관한 연구 -국내 4개의 브랜드 체험관을 중심으로-)

  • Lee, Seung-Yun;Kim, Bo-Ye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9
    • /
    • pp.427-43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I elements of expression for four brand's experience spaces in Korea and propose a direction for improvements for such spaces. I started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nowadays brand marketing and experiential BI elemen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es, and then researched the property of spatial expressions to analyze BI elements. Based on this research, I analyzed four domestic brand experience spaces. As a result, brand experience spaces must clearly express the brand image of the company through various contents and situations to effectively communicate and improve BI expressions. Also, they need long-term experience contents for sustained relationships rather than short-term experiences. I expect this study will be a good resource for BI expression research in brand experience spaces. I also believe that this study can guide other studies about BI expression in other fields.

Visual Tactility in Web-based Digital Contents (웹기반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시각적 촉각성 연구)

  • Kim, Hyo-Joong;Park, Soo-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4
    • /
    • pp.121-131
    • /
    • 2011
  • Visual tactility implies feelings of touch through sight. To be exact, the eyes are doing the touch rather than the body and the subject concerned will experience the sensation of touch by looking at an object similar to that of physical touch. This is quasi tactility to put it simply and it can be defined as to touch with the eyes. This can not only provid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something close to reality but also another completely different form of modern experience. Experiencing visual tactility through the use of the web permits lavish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designer. This paper has reorganize the concept of visual tactility, characteristic and way to use in digital contents. Visual tactility stimulates the users' emotion as such. If it was to be utilized to develop edutainment contents or web sites will foster children's capability to develope problem solving skills and raise efficiency in creative learning, and prolong the period of concentration in order to encourage revisits to the place and extend the time of stay.

A Study on Silver Town Space Design Based on Visual Experience (시각적 체험을 기반으로 실버타운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Yuan, Si-Zhou;Zhang, Hu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5
    • /
    • pp.281-289
    • /
    • 2022
  • As the aging of our society gradually deepens, the quality of the elderly care environment based on the elderly care model of the Silver Town space is gradually becoming the focus of everyone's attention. This study mainly studies and discusses the visu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order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special needs of the elderly in order to optimize the spatial environment, the design of visual experience design in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in Silver Town is designed. explore in depth Through this, the environment of the space is optimized so that the elderly can enjoy their old age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This study is based on visual psychology, environmental psychology, gerontology and other theories. Through the collection of related literature and field research on the elderly, the function and overall combin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in Silver Town is studied, and the environment is organized. Based on the behavioral and visual needs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a design method was proposed to strengthen the visual connection in space. In terms of visual experience, the lighting, colors, and materials of the environment are studi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ory and research and experiments, it is concluded that the elderly prefer plants with warm colors, high brightness colors, and geometric patterns. The design principle and design method of the visual experience in the Silver Town space are summarized.

A Study On Efficient Method of Sound Field Generation for Virtual Reality (가상 현실에서의 효과적 음장 재현에 관한 연구)

  • Yim Joonhee;Bang Seungbeum;Hwang Shin;Kim Soonhyob;Cheung Wansup;Kwon Hyusa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57-160
    • /
    • 1999
  • 지금까지 가상 현실 또는 가상 환경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그 대부분이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에 치우쳐 있었다. 그 결과로 3D 그래픽등 시각적 효과에 관한 부분은 상당한 수준에 올라 있으나 청각적, 음향적 부분은 아직도 발전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가상 현실을 위한 음향은 크게 HRTF등을 이용한 음상 정위와, 음장 재현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현실 체험자의 이동에 따라 효과적으로 음장을 재현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크게 전처리 부분과 실시간 처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처리 과정에서 음장을 계산하여 실시간 처리 부분에서 체험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음장을 재현한다.

  • PDF

Design of Authoring Toolkit for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 (이종 유사 홀로그램 시스템 저작 도구 설계)

  • Kim, Ju-Hwan;Jo, D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1053-1055
    • /
    • 2019
  • 최근 사용자에게 단순히 체험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같은 내용의 체험을 제공하더라도 더욱 실감있는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현존감 있는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유사 홀로그램(hologram-like)시스템은 고전적인 디스플레이 방식에 빛의 간섭현상을 더해 투영되는 물체가 실제 현장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준다. 이러한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은 공연, 전시, 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 널리 확대가 가능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다.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은 피라미드, 반투명 대형 단일 스크린 등 다양한 형태의 H/W 구성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지만 시스템 내부에 콘텐츠를 표현할 때 마다 H/W 구성 특성에 맞춰 콘텐츠를 매번 재구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H/W 구성을 가질 수 있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표현되는 콘텐츠 구성을 자동적으로 보정하여 다양한 종류의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H/W 를 사용하여도 콘텐츠를 변형없이 적용할 수 있는 저작도구 설계를 제안한다.

A Study on effect of Craft Activities Experience Factor to Self-esteem and Social-support for middle-aged women (공예활동 체험요소가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연구)

  • Hong, Myung Sook;Nam, Sang Moo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3
    • /
    • pp.67-74
    • /
    • 2020
  • Middle-aged women experience physical and mental changes along with the loss of femininity, and they feel psychologically empty according as their child's growth and independence reduces the role of care and parenting. These women understand the sense of loss and emptiness caused of their role reduction as an opportunity to maintain their values and beliefs for their leisure life. Accordingly, middle-aged women overcome negative emotions facing in the middle-aged such as depression or empty mind, and establish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in recognizing it as an opportunity for building relationship and self-realization in social relations, which come through human to human communication by doing craft activities.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factor of craft activity to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for middle-aged women, we set up a research model with the experience factor of craft activi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educational experiences, recreational experiences, and deviant experiences had a meaningful effect on self-esteem, but aesthetic experiences did not have meaningful effect. And, recreational experiences and aesthetic experiences had a meaningful effect on social support, but educational experiences and deviant experiences did not have meaningful effect on social support. Therefore, the institutional system for craft experiences, that can provide content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or aesthetic factor and visual elements are required. It influences to the change of senses and emotions of middle-aged women. Also, there are limitations that this study did not consider factors of ultimate life changes through craft activities. Thus this study suggests development of new model for variables of wellbeing-related matters.

Research on the Visual Elements of VR game (VR 게임 <엘더 스크롤 V : 스카이 림 VR>의 시각 요소 연구)

  • JIANG, QIANQIAN;Chung, Jean-H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2
    • /
    • pp.507-512
    • /
    • 2020
  • In recent years, various virtual reality games are becoming commercialized. A variety of large 3D online games popular with users has begun to transform into VR games. < the Elder Scrolls V: skyrim VR > as a derivative of large-scale 3D online games < the Elder Scrolls V: skyrim special edition >, Since its launch on the steam game platform in April 2018, because of its original UI design, maximizes the user's immersive experience and firmly maintains the leading position of VR games. Although the visual similarities between < the Elder Scrolls V: Skylim VR > and < the Elder Scrolls V: Skylim Special Edition > are high, but the visual elements in the UI are quite different. This paper studies characters, scenes, operating interfaces, colors and fonts five visual UI elements that enhance the immersion in game. It provided a unique interface design reference to immersive experience of new VR gam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