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각유추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초

유추 조건에 따른 수학적 문제 해결 효과 (The Effects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depending on Analogical Conditions)

  • 반은섭;신재홍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535-563
    • /
    • 2012
  • 본 연구는 유추 조건에 따른 수학적 문제 해결 양상을 분석하여 유추적 사고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시각적 표상을 통한 유추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인 C고등학교 3학년 학생 8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유추 상황에 따라 설정된 표상 대응 조건, 개념 대응 조건, 탐색 조건과 비 유추조건인 단순조건에 각각 20명씩 배정되었으며, 1차 실험과 2차 실험에서 각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학습 자극을 받은 후에 복소수 수열과 관련된 동일한 문제를 풀었다. SPSS 12.0을 이용한 ${\chi}^2$ 분석을 토대로 유추 조건에 따른 문제 해결률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수학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유추적 사고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이미 알고 있는 바탕 지식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으며, 시각적 표상을 통하여 바탕 개념과 표적 개념을 대응시켜 보는 것이 유추 전이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유추적 사고의 필요성을 함의하고 있으며, 시각적 표상을 통하여 바탕 개념과 표적 개념의 관계적 유사성을 인식하는 것이 수학적 문제 해결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주장을 지지하는 경험적인 근거가 된다.

  • PDF

언어/시각정보의 유추에 의한 창조적 디자인 사고 (Creative Design Thinking with Analogy of Verbal/Visual Information)

  • 우흥룡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15
    • /
    • 1999
  •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목적지향의 창의적인 문제해결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그 결과로 구체적인 대상이 세상에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즉 무형적인 컨셉트를 가시적인 대상으로 전환시키는 산업 디자인분야에서 시각심상의 표현을 통한 조형성과 창의성은 디자이너의 중요한 소양중의 하나가 된다. (중략)

  • PDF

창의성 증진을 위한 언어적.시각적 유추의 효과검증 -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 실험연구 - (A Study on Effect Verification of Verbal and Visual Analogy for Creativity Enhancement - Experimental Study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

  • 최은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30-38
    • /
    • 2011
  • Personal creativity could be promoted and improved through many experience, training and various prior knowledge. This researcher had proceeded several preceding studies to find effective using methods of analogy for creativity enhancement. This study, following work of preceding studies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verbal and visual analogy for creativity improvement. Effect verification had been progressed by comparing the residential design results of two groups which are classified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sophomore college students with a comparative group consisted of sophomore university students. Consequentl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undergone many training on verbal and visual analogy in several preceding studies is superior to the comparative group in terms of creative design rate, sketch rate with high quality. Through this result it is verified that the using methods of verbal and visual analogy is very effective on creativity enhancement in interior design process. Bu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re were a few populations. Nevertheless, interdisciplinary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practical one to suggest a model on a teaching method and a theory for creativity improvement in interior design education.

유추적 사고의 전개과정에 의한 디자인 의미개발에 관한 연구 - 아파트 평형별 실내디자인 프로토타입 적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Meaning Development by Process of Analogical Design Thinking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in Apartment Interior Design Prototype -)

  • 박경애;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77-8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terrelation between design thinking system and creativity, and to analyze designer how to develop personal conception and attitude in interior design through the method of analogy for signification.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1. Introduction of general theories about analogical grammar and signification of analogy. 2. Investigating possibility of analogy as creative thinking method in interior design for meaning development. 3. Establishment of design process model for analogical design based on the case study through the design field. That is, concept and process of analogical design is shown objectively by application in collective residential design as commercial product strategy.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presents possibility of giving meaning in interior space through consilience between source and target of analogy. Finally, it examines analogical method is major strategy for ideation and mechanism for meaning development in interior design.

IMPROVE 모델에 근거한 대기질의 시각화 (Visualization of Air Quality based on the IMPROVE Models)

  • 김태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99-307
    • /
    • 2009
  • 우리가 일상에서 보고 있는 전경의 기시거리는 대기질의 청정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 이들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미국의 IMPROVE 기관에서는 대기의 오염물질 구성 농도에 따른 시정거리를 유추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기질의 변화에 따른 대기오염의 상태를 화학물질의 정량적인 표현식으로 나타내는데서 나아가 IMPROVE 모델을 통해 유추된 시정거리를 중심으로 관심지역의 시정영상과 연계함으로 화학적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오염상태를 시각적으로 실감할 수 있게 대기오염 알림판을 구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 PDF

효과적인 지리 교수.학습을 위한 유추의 이해와 활용 (The Use of Ana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 이종원;함경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34-553
    • /
    • 2011
  • 유추는 익숙한 문제(바탕문제)의 해결방법을 활용하여 유사한 문제(표적문제)를 해결하는 문제해결 전략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추적 사고의 관점에서 지리적 문제상황을 새롭게 인식하고, 나아가 지역학습, 그래픽을 활용한 문제해결, 사례학습을 통한 개념/기능 습득에 유용한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추의 의미를 파악하고, 유추 관련 이론들을 통해 유추의 발생 매커니즘과 성공적인 유추적 문제해결의 조건을 논의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적 유추 아이디어는 지역학습을 조직하는 유용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지리적 내용지식과 시 공간적 사고를 동시에 요구하는 공간적 유추는 영역특수적 문제해결 전략으로서 가능성을 갖고 있다. 둘째, 그래픽을 활용한 문제해결의 전이를 의미하는 표상전이는 정보의 시각화, 공간화를 필요로 하는 지리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표면적으로는 다르지만 공통의 내적구조를 갖는 유사한 사례들을 제시한 후 비교 분석하게 하거나, 가교 역할의 사례를 제시하는 방법은 지리적 개념, 기능의 습득에 유용하다. 결론에서는 유추 관련 지리교육 분야의 연구 주제와 이러한 연구가 갖는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추의 활용방법(1) - 상업공간 디자인과제를 중심으로 한 실험연구 - (A Study on Using Method of Analogy for Creativity Enhancement(1) - Experimental Study Focused on the Design Task of Commercial Space -)

  • 최은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31-38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a educational method that is able to increase creativity using both left and right directed thinking with complementary cooperation. The premise of experimental study is that analogical inference is a great help to make a creative design, and design tasks of commercial space, fashion shop and herb cafe are given to 25 students, voluntary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tests. Tests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a case using verbal analogy from many keywords and another case using verbal visual analogy from keywords and visual images. Consequently, when students use both verbal and visual analogy in solving design tasks their creative ability qualitatively as well as quantitatively is higher than in using verbal analogy. However, when students are classified with high and low sketching group verbal visual analogy is effective for students with high sketching ability to enhance both practicality and originality. Even students with low sketching ability can improve originality remarkably by using verbal visual analogy. In experiment there is time limit, a hour, but in actual studio class it is desirable that an educator guides the latter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practicality of their design taking time. Further study will be progressed with the design tasks of residential space to compare wi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추의 활용방법 (2) - 주거공간 디자인 과제를 중심으로 한 실험연구 - (A Study on Using Method of Analogy for Creativity Enhancement(2) - Experimental Study Focused on the Design Task of Residential Space -)

  • 최은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38-46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ducational method that is able to increase creativity using both left and right directed thinking with complementary cooperation. The premise of experimental study is that analogical inference is a great help to produce a creative design, and the design tasks of residential space are given to 20 students, voluntary participants in four experimental tests. The first test is conducted with fundamental conditions such as site or location, users and their design requirements. Other three tests make a clear distinction with three cases using verbal analogy from many keywords, using visual analogy from many images and using verbal visual analogy from keywords and visual images. Consequently, when students use both verbal and visual analogy in solving design tasks their creative ability qualitatively as well as quantitatively is higher than in using only verbal analogy or visual analogy. Further study will be progressed with the design tasks of residential space in order to have an effective verification by comparing students' design results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is a control group that consists of sophomore students in a college and another is a comparison group that consists of sophomore students in an university.

지능형 음향환경파라미터추정기술

  • 이명인;장준혁
    • 정보와 통신
    • /
    • 제33권9호
    • /
    • pp.30-34
    • /
    • 2016
  • 인간은 소리를 통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누가 어떤 말을 하는지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는 소리가 발화된 환경 또한 시각적인 정보 없이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을 내리기까지, 인간은 경험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은 학습 과정에 생물의 사고과정을 모방하여 복잡한 상관관계를 추론하는 인공지능형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인간의 두뇌가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판단하던 역할을 기계적으로도 모방할 수 있게 된다. 본고에서는 음향이 발화된 환경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파라미터들에 대해 알아보고, 그 파라미터들을 지능형 알고리즘을 이용해 도출해내는 과정과 기법들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