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승차감 평가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1초

인체모델을 사용한 승차감의 정량적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ide Comfort using Human Model)

  • 김광석
    • 한국기계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7-64
    • /
    • 2011
  • Vibrations on the floor in a car are transmitted to the foot, hip, and back from the seat. Human body recognizes these vibrations, but the sensitivity for each vibration is different. To evaluate these vibrations, RMS(root mean square) of accelerations, VDV(vibration does value) are commonly used. The ride comfort evaluation is usually carried out by experiments of real cars which are expens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riefly review the status of several ride vibration standards and criteria having relevance to construction machinery vehicles and to suggest recommendations for the effective use of such criteria in vehicle / component development.

인체 진동을 고려한 최적 현가장치의 선정에 관한 비선형 모의실험 (The Nonlinear Simulation on the Selection of Suitable Suspension Considering Human Vibration)

  • 김진기;홍동표;최만용
    • 소음진동
    • /
    • 제10권2호
    • /
    • pp.247-253
    • /
    • 2000
  • The evaluation of the ride quality had been performed by the subjective method before ISO2631(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dard 2631) and BS6841(British Standard 6841) was precented, but many research programs have been performed by the objective method after that. On this study, the ride quality was evaluated related with the objective method which considered the vibration which the human body feels on the driver's seat while driving on the road. In particular, we made the shock absorber nonlinear model and also selected the suitable shock absorber in the part of the vibration which the human body feels into the simulation. The shock absorber of suspension was dealt with 3 cases respectively with the front wheel and rear wheel. The vibration of the car driving on the road can be transferred to the wheel, the suspension, the vehicle body, the seat and the human body. The signal which was gained from the seat(hip) and the floor(foot) of the human body was changed to the vibration signal which the human body felt through using the frequency weighting function. And then the performance of the shock absorber was calculated through the statistic processing.

  • PDF

물성치가 다른 시트에서의 인체 진동 측정 및 승차감 평가 (Human Response Measurement and Ride Quality Evaluation for Seats having various Material Porperties)

  • 조영건;박세진;윤용산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71-180
    • /
    • 2000
  • This paper deals with the whole-body vibration and ride quality evalu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esponses of the floor, hip, back, and head in four subjects were measured for various seats when the floor was excited by random vibration with r.m.s of 1.2m/s2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transmissibility between the hip and floor, the fundamental mode is observed at 4.4 Hz. In the transmissibility between the head and floor, the fundamental mode at 4.4Hz and the second mode at 7.6Hz are observed. It is shown that the head motion is 41% larger than the hip motion and the response of female subject is larger than that of male subject. The response without backrest also was compared with that with backrest. From these human responses ride quality of five seats were evaluated by the ride value such as transfer ration having frequency weighting function is the statistical sense. It is observed that the seat having high damping property can reduce the most acceleration exposed to hip in the statistical sense for all ride valves, while the seat having different seat spring doesn'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 PDF

타이어의 시험

  • 이광재
    • 타이어
    • /
    • 통권122호
    • /
    • pp.32-38
    • /
    • 1986
  • 타이어는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차량이나 항공기 등의 중요부품으로서 실로 광범위한 기능을 다하고 있는 것이다. 타이어는 무엇보다도 안전주행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자동차를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경제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특히 승용차인 경우에는 차의 조종ㆍ안정성이나 진동ㆍ승차감ㆍ소음 등의 각종 요구에도 만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타이어가 이와같은 각종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시험을 통해서 평가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당연한 일이겠지만 이와같은 결과는 타이어 개발에 많이 활용되어야만 될 것이다. 타이어의 역할은 차량에 낀 다음부터 나타나게 되므로 타이어의 최종적인 평가는 실차시험에 따르는 것이 가장 좋으나, 시험의 능률, 경제성, 정밀도, 재현성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실내시험으로 대체할 수 있는 제특성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여러가지의 실내시험기로 측정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와의 조화로 나타나는 조종안정성이나 진동ㆍ소음: 승차감 등에 대해서는 실차시험으로 최종적인 평가ㆍ판정을 하는 수 밖에 없으므로 현재 세계의 많은 타이어 메이커들은 타이어 테스트코스를 설치하여 많은 시험차를 가지고 시험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타이어의 시험이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장경간 현수교의 고속열차 주행 시 운행한계기준 검토 (Running Safety of a Long Span Suspension Bridge under the Passage of a High Speed Train)

  • 김성일;김현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77-480
    • /
    • 2011
  • 장경간 케이블 교량은 과도한 변위 발생 등의 이유로 엄격한 안전성 및 사용성이 요구되는 철도교량에서는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즉, 철도교량으로서 요구되는 주행안전성과 승차감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열차 상호작용 해석을 수행하여 열차에서의 응답을 통해 교량 상을 주행하는 열차의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을 직접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즉, 중앙경간 300m의 현수교를 주행하는 KTX 열차에 대하여 열차 내부의 가속도와 윤중감소율을 구해 평가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또한, 이동 열차하중과 지진하중이 동시에 작용할 경우를 고려한 교량/열차/지진 상호작용해석을 수행하여 지진 시의 응답을 평가하였다.

  • PDF

철도차량의 승차감-진동 평가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System for Ride Comfort and Vibration on Railway Vehicles)

  • 이창환;유완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14-121
    • /
    • 2003
  • In this paper, a new evaluation system was developed for ride comfort test and vibration level test on railway vehicles. These tests are carried out by applying different equipments and test procedures before now. But this developed system is capable of ride comfort test and vibration test by a single integrated system. Also, the evaluation algorithm for the ride comfort was compared and verified by simulation results with VAMPIRE software. With this developed system, the comfort in a passenger coach and the vibration in a freight car were verified by the results in field test.

곡선부 최적 선형 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m Design for Railway Alignment in Curve)

  • 엄주환;양신추;김은경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597-60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승차감을 목적함수로 하고 궤도부담력을 경계조건으로 하는 곡선부 평면선형의 최적설계 기법을 제시하였다. 평면선형 최적화시 중요한 변수인 곡선반경-완화곡선장은 엄주환 등(2009)에서 제시한 결정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승차감 평가방법은 영국 BSI(2006)에서 제시하는 곡선부 전용 승차감 평가방법인 $P_{CT}$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한국형 고속전철 G7(KTX-II)모델을 이용한 차량/궤도선형 상호작용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최적선형조건은 교각 I(곡선부 양 끝단 직선과 직선이 만나는 교차각) 크기 및 곡선반경-완화곡선장 조합에 따라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Kufver(1997) 등에서 제시하는 간략화 해석방법과 유사한 경향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나, 대부분의 경우 동적해석결과 값이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곡선부 최적선형 설계시 동적해석과 간략화 해석을 병행한다면 신속하고 신뢰성 높은 최적선형을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곡선부 선형개량 시 승차감을 고려한 최적평면선형 평가 (Evaluation of Optimal Horizontal Alignment Considering Ride Comfort in Renewal of Curved Tracks)

  • 엄주환;최일윤;이준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457-46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존선 속도향상을 위한 곡선부 개량 시 승차감을 고려한 최적평면선형범위에 대한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선형설계 초기조건들이 허용개량범위와 승차감 측면에서 최적선형 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재 경부고속선에 부설되어 있는 선형조건들 중 가장 작은 곡선반경을 가진 평면선형들에 대하여 최적 개량범위를 검토하였다. 해석결과, 주요 초기선형설계변수인 곡선반경과 캔트가 클수록 허용개량범위와 최적선형범위가 넓어짐을 알 수 있었으며, 경부고속선 자갈도상구간에 부설되어 있는 R7000/R8000의 경우에도 선형측면에서는 약간의 개량으로도 속도향상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