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습도 제어

Search Result 346,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based on USN for Improving Comfort in Underground Space (지하공간의 쾌적도 향상을 위한 USN 기반의 환경제어시스템 구현)

  • Ryu, Jae-Bok;Kwon, Sook-Youn;L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292-1295
    • /
    • 2012
  • 인구 과밀화 및 급격한 도시 팽창은 지상공간에서 거주하는 인간 삶의 질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지상공간의 개발을 억제하여 환경을 보호하고 도시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지하 공간을 개발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자연환경으로부터 격리된 구조인 지하공간은 지상공간에 비해 실내 공기 질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기 어려운 밀폐된 환경이므로 오랜 시간동안 상주하는 거주자 및 한시적 이용자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습도, $CO_2$, 먼지 등의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의 쾌적도 향상을 위해 온 습도 및 $CO_2$, 먼지센서를 이용한 통합 센서를 제작하여 현재 지하공간의 환경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실내공간의 쾌적 지표를 기반으로 환풍기, 송풍기 등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USN 기반의 환경제어시스템을 구현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통해 지하공간의 환경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계측 장비로 인한 비용 절감 및 이동성과 확장성 등의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한다.

A Efficient Control of Wind Velocity Using Thermal Images and a Fuzzy Control Method (퍼지 제어 기법과 열 영상을 이용한 효율적인 풍속 제어)

  • Kim, Ji-hyun;Woo, Young Woon;Kim, Kwang-be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391-395
    • /
    • 2009
  • 최근 한정된 자원으로 인한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에너지 절약 문제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에너지 절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열 영상과 퍼지 제어 기법을 적용하여 실내 냉방 장치의 풍향과 풍속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 냉방 장치의 풍향과 풍속을 제어하기 위해 획득한 초기 열 영상을 색상 분포 영상으로 변환한다. 색상 분포 영상은 Red, Magenta, Yellow, Green, Sky, Blue의 온도 값을 가지는 RGB 값이며 각 색상은 $24.0^{\circ}C$에서 $27.0^{\circ}C$의 분포의 온도 값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색상 분포 영상을 좌에서 우로 5개의 계층 구간으로 분류하여 온도를 분석한다. 실내 공간의 색상 분포 영상을 분석하여 얻어진 각 계층 구간의 온도와 대기 중의 습도를 퍼지 소속 함수에 적용하여 구해진 결과 값을 비퍼지화 하고 최종적으로 풍향의 세기를 제어한다. 그리고 열 영상을 분석하여 풍향의 우선순위, 풍향의 지속시간을 결정한다. 제안된 방법을 $300{\times}400$ 크기의 열 영상을 대상으로 기존의 시스템과의 전력량 차이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nsibilities Lighting LED Controller for a Ship (선박용 감성조명 LED 제어기의 설계 및 구현)

  • Lee, Jae-Hong;Park, Ju-Won;Lim, Jin-Kang;Lee, Sang-Ba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4 no.10
    • /
    • pp.763-768
    • /
    • 2010
  • Today the light of mankind since the dawn of mankind and that they were living "lives" on the huge influence across space is a dynamic energy. Because of this, when all human beings with the light and you can feel more comfortable with a stable mind to the beauty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is to have instincts. In this paper, a fuzzy control system using a combina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respectively, the conversion of quantitative uncertainty information into the LED lighting is designed to express algorithms, available in indoor circadian control circuit was designed and fabricated LED. Factor in the external environment temperature, humidity, and light intensity values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sensor to accept these values and the optimal values for lighting the fuzzy control algorithm is converted into human emotion to feel comfortable to express through the dimming control LED lighting.

Degradation of MEA and Characteristics of Outlet Water According to Operation Condition in PEMFC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구동 조건에 따른 MEA 열화 및 배출수 특성)

  • Hwang, Byungchan;Lee, Sehoon;Na, Il-Chai;Park, Kwonpil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5 no.4
    • /
    • pp.478-482
    • /
    • 2017
  • Humidity control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PEMFC) is very important control condition during driving. In terms of water management, low humidification conditions are advantageous, and high humidification is advantageous in terms of drainage utilization and energy efficiency.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outlet water in low humidification and high humidification process were studied in terms of utilization of discharged water. Since the impurities in the effluent are generated during the degradation of the membrane and the electrode assembly(MEA), degradation of the MEA under low humidification and high humidification conditions was also studied. The rate of radical generation was high at low humidification condition of the anode RH 0%, which showed that it was the main cause of the degradation of the polymer membrane. Analysis of effluent showed low concentration of fluoride ion concentration of about 20 ppb at high humidification (both electrodes RH 100%) and 0.6 V, which was enough to be used as the feed water for electrolysis. Very low concentration of platinum below 0.2 ppb was detected in the condensate discharged from the high humidification condition.

Cooling Fluid Study in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냉각유체에 대한 연구)

  • 김준범;이흥주
    • 한국전기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7a
    • /
    • pp.93-96
    • /
    • 2005
  •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에서는 수소이온의 이온전도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가습하여 주는 방식이 일반적이지만, 가습에 소요되는 부품을 일부라도 제거할 경우 연료전지의 효율은 높이고 제작단가도 경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가습 및 무가습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정확한 data의 수집과 시험장비의 자동제어를 위하여 National Instrument사의 compact field point (cFP)를 사용하였다. Humidifier와 heater의 온도를 조절하여 공급유체의 상대습도 및 온도를 각각 조절하였으며, 이에 필요한 이론적 온도는 Antoine equation 을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Anode와 cathode 양측 $100\%$ 가습 경우를 기준으로 가습량을 조절하면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성능 차이를 그래프로 도시하여 양측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볼수 있도록 하였다. Stack의 온도가 $70^{\circ}C$이고 양측 무가습일 경우에 성능 측정이 어려워서 stack의 온도를 저온에서부터 변화시키면서 무가습 성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보았다. 일반적으로 hydronium ion은 anode측에서 cathode측으로 계속 이동하여야 전기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cathode측 무가습이 anode측 무가습보다 성능이 더 잘 나오는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이와 반대되는 경향의 실험 결과를 얻었다. 양측 무가습의 경우에는 공기 중의 상대습도와 back diffusion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각종 변수들의 영향을 분리하여 관찰할 수 있는 실험을 수행 중에 있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Temperature/Humidity monitoring system for seed cultivation using LabVIEW (LabVIEW를 이용한 종자 배양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 Yoon, Jeong-Phil;Ha, Min-Ho;Choi, Jang-Kyun;Cha, In-Su;Lee, Jeong-Il;Lim, Jung-Ly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1805-1806
    • /
    • 2006
  • ET(Environment Technology) 분야 중 식물의 종자 배양에 관한 연구는 환경 변화에 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농가 소득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야이다. 주로, 온실 또는 청정실에서 연구를 진행하여 민감한 외부환경 변화를 차단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해야 하는 정밀성이 요구된다. 특히, 온/습도의 변화는 종자의 생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연구환경에서는 디지털 온도계 또는 수은 온도계에 의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최근에는 온/습도를 통합 제어하여 일정하게 유지하는 공조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지만 저렴한 시스템 보급에는 맞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적으로 LabVIEW를 이용하여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온/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 원격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PDF

Design of Smartfarm Environment Controller Using Fuzzy Control Method and Human Machine Interface for Livestock Building (퍼지 제어법과 HMI를 이용한 축사용 스마트팜 환경 제어기 설계)

  • Byeong-Ro Lee;Ju-Won Le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3 no.3
    • /
    • pp.129-136
    • /
    • 2022
  •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smart livestock building system is to maintain a breeding environment so that livestock can grow to high quality despite chang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atmospheric environment.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livestock building because various diseases occur during the summer and winter. To manage the environment suitable for livestock, a smartfarm system for livestock building is applied, but it is very expensive. In this study, we propose a hardware design and control method for low cost system based on HMI and fuzzy control.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we did a simulation experiment in the atmospheric conditions of summer and winter. As a result, it showed the performance of minimiz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tress of livestock. And when applied to the livestock building, the proposed system showed stable control performance even in the change of the external atmospheric environment. Therefore, as with these results, if proposed system in this study is applied to the smart farm system, it will be effective in managing the environment of livestock building.

Design Principals of High Altitude Environmental Test Chamber (고도모사 환경챔버 개념 설계)

  • Owino, George;Gong, Chang-Deok;Choe, Gy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403-406
    • /
    • 2009
  •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ltitude temperature, pressure and humidity, as defined by MIL-HDBK-310 standard and modifies this conditions to conform to the new standard MIL-STD-810F and test procedure given in AIAA-2466 from this fundamental guideline optimal design and sizing of test section, inlet, exhauster duc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was performed.

  • PDF

Development of a Circular-Type Dryer for Automatized Red Ginseng Manufacturing (자동화 홍삼제조용 회전식 건조기 개발)

  • 방승훈;장동일;강호양;송영호;한원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369-374
    • /
    • 2002
  • 최고급 품질의 홍삼제조를 위한 공정을 개발하고자 건조기를 제작하였다. 건조기는 온도, 습도의 계측이 가능하고 이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 습도로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열다. 건조기의 작업용량은 1회에 원료수삼 30지가 처리되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위한 건조챔버의 크기는 6년근 1등급 수삼의 크기를 고려하여 700$\times$700$\times$1500mm로 결정하였고 건조과정중의 수삼의 상태변화를 알기 위하여 건조챔버 전면에 유리를 설치하여 육안 관찰 및 영상처리장치에 의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수삼의 균일한 건조를 도모하기 위하여 대나무 채반을 속도조절이 가능한 모터와 체인을 이용하여 챔버 내에 서 0~10rpm의 속도로 회전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건조시 챔버 내의 공기상태 계측 및 제어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제작된 홍삼제조용 건조기의 성능 평가결과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정밀하게 계측제어 할수 있었으며, 원하는 건조수준을 유지는데 성공했다. 건조기 내부에서의 온도 분포와 풍속분포를 SAS통계 package GLM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5%의 범위에서 Student T~test를 한결과, 계측지점간의 유의 차가 없어 온도와 풍속의 분포가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motely Controllable Smart Mobile System Using Arduino and Raspberry Pi for Infants

  • Park, Hyun-Wook;Shin, Young-Weon;Kim, Jin-Yeob;Kong, Ki-S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11
    • /
    • pp.17-25
    • /
    • 2020
  • In this paper, we deal with a system that provides temperature, humidity and fine dust data around infants to parents through Arduino and Raspberry Pi. 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s remotely through applications. Android applications can perform the following functions. First, the infant's surrounding temperature, humidity and fine dust data are received. Second, mobile controls the smart mobile remotely. Third, recording and playing the voices of parents and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parenting. Through the experiment of measur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remote control module,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can quickly access the system. Existing products on the market do not provide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the infants and application that has various functions. The system cover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improve child-rearing convenience by providing parents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infants, remotely controllable function and convenient functions of th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