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틸 커튼월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화재시 커튼월 프레임 최적설계조건 도출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Optimum Design Conditions of Curtain-wall Flame in Fire)

  • 김형준;김정현;김흥열;이재승;임현창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51-35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외 커튼월 내화 Code인 EN 13830, EN 13501-1, EN 1364-3을 사용하여 알루미늄과 스틸프레임에 대해 화재시 최적설계조건 도출을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재 국내 커튼월의 내화 법규는 2008년 '내화 충전구조 세부 운영지침'에서 조인트 부분에 대해서만 내화규정이 정립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N 13830과 그 하위법을 이용하여 알루미늄과 스틸 커튼월의 최적설계조건 도출을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차염성은 알루미늄 커튼월과 스틸 커튼월의 성능시간이 각각 10분 26분으로 약 16분의 차이가 발생하였고, 차열성은 알루미늄 커튼월과 스틸 커튼월이 최고온도에서 6분과 9분으로 약 3분정도의 차이를 보였고 평균온도에서는 9분, 24분으로 약 15분의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복사열은 성능기준 $15Kw/m^2$를 통과하는데 알루미늄 커튼월은 16분 스틸 커튼월은 24분을 기록하였다.

  • PDF

스틸-알루미늄 복합 프레임을 갖는 커튼월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Curtain-Wall System with Steel-Aluminum Hybrid Frame)

  • 이재승;임현창;조봉호;김흥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04-111
    • /
    • 2011
  • 현재까지 알루미늄은 커튼월의 프레임 재료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 건축물의 초고층화와 더불어 커튼월의 프레임 재료로서 알루미늄에 비해 강도와 열 저항능력이 큰 스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커튼월과 스틸-알루미늄 복합 커튼월에 대한 내화성능을 EN 13830에 근거하여 차염성, 차열성 및 복사열 차단성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알루미늄 커튼월에 비해 스틸-알루미늄 복합 프레임 커튼월의 차염성능은 15분, 복사열에 대한 성능은 13분 상향 평가되었다. 프레임의 붕괴는 스틸-알루미늄 복합 프레임의 경우 36분, 알루미늄 커튼월의 경우 13분이었으나, 차열성능은 내화유리의 온도에 의해 모두 6분으로 평가되었다.

초고층용 커튼월 내화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ire Performance of Curtain Walls in Super Tall Building)

  • 장승배;김흥열;김형준;이재승;조봉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45-35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초고층화와 대형화로 접목된 커튼월을 모델로 선정하여 알루미늄과 스틸 커튼월의 성능 비교를 위한 화재실험을 실시하였다. 화재실험은 $3m{\times}3m$ 규모의 알루미늄과 스틸 재질로 제작하여, 차염성, 차열성, 방열성, 변위, 커튼월 파괴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알루미늄커튼월의 차염성은 12분, 차열성은 6분, 방열성은 26분을 기록하였고 스틸커튼월의 차염성은 10분, 차열성은 6분, 방열성은 14분을 기록하였다.

  • PDF

스틸 커튼월의 단열성능 및 결로방지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Thermal Performance and Condensation Resistance of a Steel Frame Curtain Wall System)

  • 김선숙;조봉호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51-57
    • /
    • 2013
  • Metal curtain wall systems are widely used in high-rise commercial and residential buildings. While aluminum is the most frequent used frame material, steel framing is also reemerging as a high-performance material in glazed curtain walls due to less thermal conductivity and design flexi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rmal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curtain wall system by comparing with a aluminum frame curtain wall system. The thermal transmittance was measured according to KS 2278, and condensation resistance was calculated by the test results according to KS F 2295. The steel framing test specimen showed lower thermal transmittance and temperature descending factor compared to the aluminum framing test specimen.

내화유리를 적용한 강재 유리벽의 내화성능 평가 (The Evaluation of Fire-Resistant Performance of the Non-bearing Steel Wall Using Fire Resistant Glass)

  • 이재승;임현창;양승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72-81
    • /
    • 2018
  • 방화구획 내 벽체에는 콘크리트, 조립식 패널, 건식벽체 등을 사용한 내화구조가 주로 적용되고 있으나 근래에 들어 시야 확보 및 미적 관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유리로 구성된 벽체의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열 유리를 적용한 스틸 내화벽체에 관한 것으로써 내부 방화구획에 적용 가능한 60분 내화벽체와 외부 벽체 및 커튼월에 적용 가능한 90분 내화벽체에 대하여 내화시험 및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각 시험체의 요구 내화성능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적으로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유리벽체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1차적으로 시험체의 내화성능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규격 스틸커튼월 부재의 적용을 위한 로봇 레이저용접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botic-Laser-Welding Performance for Application of Non-Standard Steel Curtain Wall Members)

  • 나상호;이장현;박영미;김성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5
    • /
    • 2021
  • In irregular curtain walls, the nominal stress required for each member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shape, so it is inefficient to design members based on the maximum required stress. Then, built-up members are absolutely necessary, but built-up members manufactured by Manpower-welding cannot be constructed in an irregular curtain wall building because it' not precise. In order to address the problems, this paper presents why Robotic-laser-welding should be used in irregular curtain walls using Gwanggyo Galleria Department Store involving 3D printing as an example. Results verify the performance of Robot-Laser-Welding as an efficient solution for precise steel curtain wall memb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