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타이렌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5초

저온플라즈마 반응기의 형태에 따른 스타이렌 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Removal of Styrene Using Different Types of Non-Thermal Plasma Reactors)

  • 박정욱;최금찬;김현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15-223
    • /
    • 2005
  • 본 연구는 세 가지 다른 형태의 플라즈마 반응기 (SD, DBD, PDC)를 이용한 기상의 스타이렌 분해실험을 통하여 최적 플라즈마 반응기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각 플라즈마 반응기에 대한 비교평가를 위하여 스타이렌 분해효율, 탄소수지, 반응 생성물의 동정, 생성물의 수율 및 선택성 등의 항목을 평가하였다. 스타이렌의 전환과정은 오존과의 반응이 중요하며, PDC 반응기보다 오존생성량이 많은 SD와 DBD 반응기가 스타이렌의 전환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DC 반응기는 탄소수지, COx ($CO+CO_2$)의 수율 및 선택성에 있어서, SD와 DBD 반응기 보다 훨씬 더 뛰어난 것으로 판명되었다. 스타이렌 초기농도를 100ppmv로 하였을 때, PDC 반응기와 플라즈마 단독공정에서 탄소수지 100%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비투입 에너지는 각각 110 J/L와 420 J/L로, PDC 반응기가 훨씬 더 낮은 에너지로 스타이렌의 완전분해가 가능하였다. 스타이렌의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주된 생성물로는 CO와 $CO_2$가 있으며 HCOOH가 미량 성분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반응 생성물의 수율에는 차이가 나타나지만 이들의 분포는 플라즈마 반응기의 종류와 관계없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적인 스타이렌 분해 성성물인 $CO_2$의 선택성에 있어서 SD와 DBD 반응기는 $39.5{\sim}60%$ 정도를 나타내었으나 PDC 반응기에서는 $68.5{\sim}75.5%$ 정도로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함침을 이용한 연료전지용 폴리스타이렌/폴리프로필렌 복합막의 제조 (Preparation of Polypropylene Grafted Polystyrene Sulfonic Acid Membranes for DMFCs in Supercritical CO2)

  • 변정연;석준호;신우균;김화용
    • 청정기술
    • /
    • 제11권3호
    • /
    • pp.141-146
    • /
    • 2005
  • 초임게 이산화탄소를 용매 및 팽윤제로 사용하여 함침 및 라디칼 중합으로 폴리프로필렌막에 스타이렌(styrene)을 그래프팅 시켰다. 모노머인 스타이렌의 양을 변수로 조절해가면서 막을 제조하였다. 초임계 함침, 중합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술폰화된 폴리스타이렌을 그래프팅한 폴리프로필렌 막 (PP-g-pssa)을 다양한 방범으로 특성화하였다. SEM과 EDS을 통하여 그래프팅 막의 표면 및 구조, 술폰화 여부를 분석하였다. 모노머의 양이 증가할수록 메탄올 투과도는 감소하고 이온 전도도와 전지 성능은 증가하다가, 스타이렌 모노머의 양이 1.5 g이상에서 제조된 막의 메탄올 투과도, 이온 전도도 및 전지 성능은 거의 유사한 값을 보였다.

  • PDF

有機할로겐化合物과 KF 과의 反應 (第2報) 有機요-드酸, 沃化物 及 多鹽素化有機酸, 에스텔의 雙合, 弗化 及 脫炭酸 反應에 關하여 (Reaction of Potassium Fluoride with Orgarnic Halogen Compound-II. Dimerization, Fluorination, and Decarboxylation of Organic Iodo acids, Iodides, and Polychlorinated Acid Ester)

  • 김유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35-141
    • /
    • 1964
  • 아밀아이오다이드를 디메칠홀움아마이드 存在下에서 弗化加里와 低溫反應시켜 본 結果 弗化物과 데칸을 生成하였음. ${\alpha}$, ${\beta}$-디크로로-${\beta}$-페닐-푸로피온酸과 같은 多鹽素化物은 ${\alpha}$-크로로스타이렌, 弗化스타이렌 及 弗化酸을 生成하였음. 이 酸의 에칠에스텔은 弗化物을 生成하지 않고 各種 쌍合物의 混合物을 얻었음. 디부롬스타이렌은 부롬스타이렌과 弗化物을 生成하고 沃度를 含有한 有機酸, 메-타요드벤젠익酸은 有機酸의 鹽과 微量의 쌍合物을 生成하였음. 메타요드토류엔 及 1-아미노-4-요-드-2-메칠벤젠과 같은 沃化物은 弗化物은 弗化加里에 對하여 反應을 나타내지 않었음. 本報에는 各 反應條件과 弗化反應, 脫炭酸反應 及 쌍合反應에 關하여 論義하였음.

  • PDF

저분자량/고분자량 폴리스타이렌 블렌드의 점탄성 (Viscoelastic Properties of Low/High-Molecular-Weight Polystyrene Blends)

  • D. J. Plazek
    • 유변학
    • /
    • 제3권1호
    • /
    • pp.38-46
    • /
    • 1991
  • 저분자량(분자량: 1.04$\times$104 g/mole)과 고분자량(3.84$\times$106) 폴리스타이렌 브렌드를 제조하고 무접촉 무마찰을 이용한 비틀림 크립장치를 사용하여 점도, 크립 캄플라이언스들 을 측정하고 또 지연 스펙트라도 계산해 내었다. 고분자량의 농도는 0, 2, 10, 20, 50, 70, 100 중량 퍼센트였다. 점도는 블렌드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임계분자량이상이면 중량평균의 3.5승에 비례했다. 중량평균 분자량>임계분자량 인블렌드의 경우 정상상태 회복 캄플라이언 스는 중량평균의 3.5승에 비례했다. 중량평균 분자량>임계분자량 인 블렌드의 경우 정상상 태 회복 캄플라이언스는 중량평균의 -2.3승에 비례했다. 지연스펙트라를 검토한 결과 폴리 스타이렌의 임계분자량은 38000 g/mole 쯤으로 추정되었다.

  • PDF

스타이렌 폭로 근로자의 환경중 폭로농도와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Exposure and Biological Monitoring Values in Workers Exposed to Styrene)

  • 백종민;이종영;김정만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1-170
    • /
    • 1997
  • 본 연구는 사업장 근로자의 스타이렌 폭로수준과 이에 따른 biological monitoring 농도의 변화를 알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자는 FRP공장, 함침작업공장, 피막도포작업공장에 종사하는 남자근로자 64명과 여자근로자 44명이며 포집 및 분석기간은 1995년 6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였다. 일반적 특성중 연령, 성별, 근무경력, 음주량, 흡연량은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신장과 체중은 개인건강기록표를, 스타이렌 환경폭로농도를 알기 위하여는 확산형 포집기를 사용하였으며, 생물학적 감시물질의 폭로수준을 알기 위하여 혈액과 소변을 채취하여 혈중 스타이렌, 요중 mandelic acid(MA)와 phenylglyoxylic acid(PGA)을 분석하였다. 평균폭로농도는 21.0ppm으로 저농도였으며 사업장별로는 선박관련업체가, 작업방법으로는 적층작업이, 작업형태는 주작업에서 가장 높은 폭로를 보였으며 대상자 중 11%가 허용기준 이상으로 폭로되었다. 환경폭로수준과 혈중 스타이렌의 상관성은 0.620이었고 creatinine으로 보정한 phenylglyoxylic acid와는 0.702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혈중 스타이렌과 요중 대사산물의 상관관계는 MA+PGA에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생물학적 대사산물의 변화를 설명하는 독립변수들 중 환경폭로농도가 가장 중요하였으며 특히 MA와 MA+PGA에서는 성별 역시 중요한 변수였다. 생물학적 대사산물에 대한 독립변수의 설명력은 모두 31% 이상이었으며 그중 혈중 스타이렌은 49.1%로 가장 높았다. 요중 대사산물을 보정여부에 따른 상관성을 본 결과 모두 0.95이상을 보였다. 이상을 종합한 바 스타이렌 취급작업장의 공기중 농도를 측정할 때 확산포집기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요의 생물학적 지표에서는 비중으로 보정한 경우가 creatinine으로 보정한 것의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요중 MA 및 PGA를 이용하여 폭로 근로자의 폭로농도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이를 스타이렌 취급근로자에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할 수 있다.

  • PDF

미송(美松) 수피(樹皮)탄닌의 젤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of Douglas-fir(Pseudotsuga menziesii(Mirb.) Franco) Bark Condensed Tannins)

  • 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16-24
    • /
    • 1990
  • 아세틸화(化) 고분자(高分子) 축합(縮合)탄닌의 젤침투 크로마토그래피 분석(分析)을 위해 일반적(一般的)으로 사용(使用)되고 있는 폴리스타이렌 표준물질(標準物質)은 부정확(不正確)한 교정(矯正)값을 준다. 한편 유도체화 하지않은 축합탄닌의 젤침투 크로마토그래피는 폴리스타이렌 디비닐벤젠 코폴리머 컬럼과 디메틸 포름아미드를 용매(溶媒)로 사용(使用)하여 매우 만족스럽게 분석(分析)될 수 있었다. 그 컬럼의 교정은 유도처리 되지않은 고분자(高分子) 축합(縮合)탄닌을 이용(利用)하여 수행되었으며 고분자 탄닌을 유도처리 할 필요가 없으므로 탄닌의 신속한 분자량(分子量) 결정(決定)이 가능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分離)되어지는 탄닌을 연속적으로 분석(分析)할 수 있는 장점(長點)을 가진다.

  • PDF

폴리 아닐 린-DBSA/폴리스타이렌 블렌드의 전하 이동 현상 (Charge Transport Phenomena of Polyaniline-DBSA/Polystyrene Blends)

  • 김원중;김태영;고정우;김윤상;박창모;서광석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53권6호
    • /
    • pp.305-311
    • /
    • 2004
  • Charge transport phenomena of polyaniline-DBSA/High Impact Polystyrene (PAM-DBSA/HIPS) blends have been studied through an examination of electrical conduction. HIPS used host polymer in the blends and PANI-DBSA obey a space charge limited conduction mechanism and a ohmic conduction mechanism respectively. However, PANI-DBSA/HIPS blends do not obey any classical conduction mechanism. Analysis of conduction mechanism revealed that the charging current of PANI-DBSA/HIPS blend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ANI-DBSA content. This result migrlt be explained by the reduction in the distance between PANI-DBSA particles enabling the charge carriers to migrate from a chain to a neighboring chain via hopping or micro tunnel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 charging current of PANI-DBSA/HIPS blends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was elevated, which is of typical phenomena in metals. It is speculated that the charge transport in PANI-DBSA particle was somewhat constrained due to strong phonon scatt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