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케치기반 인터페이스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9초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 생성을 위한 스케치기반 스마트 객체 인터페이스 (Sketch-based smart object interface for creating interactive animations)

  • 손의성;최윤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A)
    • /
    • pp.266-269
    • /
    • 2011
  • 본 논문은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애니메이션 객체를 통하여 쉽게 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는 스케치기반 스마트 객체 인터페이스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인터페이스의 핵심은 친숙한 스케치방식을 기초로하여 상호작용성을 가진 애니메이션 객체를 생성하고, 이를 단위 블럭으로 사용하여 보다 복잡한 모션과 장면을 가진 결과 애니메이션을 구성하는 데 있다. 이는 스케치 입력 환경에서 기존의 방식보다 다양한 표현범위를 가진 양질의 결과 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는 방식이다.

웹 문서 내장형 컷아웃 애니메이션 인터페이스 (Web Embedded Animation Interface using Cutouts)

  • 손의성;최윤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1호
    • /
    • pp.1101-110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웹 환경에서 컨텐츠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보조하는 2D 애니메이션의 생성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생성에 대한 경험이 없는 사용자들도 움직임, 현상의 설명이나 시각적인 효과들을 친숙한 스케치방식으로, 인터렉티브하게 생성하고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컷아웃(Cutouts) 인터페이스 방식은 스케치 환경에서 양질의 결과들에서 생성하는데 기여하며, 기존 스케치기반 애니메이션 접근들에서 다루기 어려웠던, 이미지나 관절 객체를 간결한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게 한다.

스케치기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키 프레임 애니메이션 생성 (Creating Keyframe Animation Using Sketch-based Interface)

  • 양경용;이제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B)
    • /
    • pp.250-255
    • /
    • 2008
  • 다양한 스타일의 인간 동작을 쉽고 빠르게 생성하는 일은 캐릭터 애니메이션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실제로 이러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데 있어서 가장 고품질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전문 애니메이터가 3차원 애니메이션 제작 도구를 사용하여 직접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가 이와 비슷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 논문에서는 누구나 쉽게, 그리고 일정 품질 이상으로 3차원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스케치기반 인터페이스와 모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다. 스케치기반 인터페이스는 일반 사용자가 어렵게 느낄 수 있는, 키 프레임을 쉽고 빠르게 지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모션 데이터베이스는 이러한 키 프레임을 설정을 돕고, 애니메이션 제작에 필요한 키 프레임 수를 줄인다. 이 방법으로 누구나 원하는 애니메이션을 쉽고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 PDF

개인정보관리를 위한 스케치기반 그래프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법 (Sketch-based Graph-Control User Interface Method for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 김정진;박태진;전재웅;최윤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893-902
    • /
    • 2009
  • 현대인들은 이미지, 그래픽, 애니메이션, 텍스트, 음악파일 등 개인이 관심 있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데 하루의 대부분 시간을 소비하고 이를 다른 사람들과 같이 공유하며 즐기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사용자들이 이러한 개인 관심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은 Microsoft Explorer와 같은 정형화된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트리 형태로 폴더를 생성하고 폴더 안에 직접 파일들을 분류하는 획일적인 방식이다. 이러한 트리 구조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자료들 간의 연관관계를 직관적으로 보여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자료들 간의 연관관계가 변경되었을 시 이를 적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매우 복잡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관리 시스템에 스케치기반 인터페이스 기법을 적용하여 마치 종이에 스케치를 하듯이 개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그래프 노드와 링크를 생성하고 자신이 관심 있는 자료와 그 연관관계를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정보관리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 사항을 제공되는 스케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 PDF

스케치 기반 그래프 컨트롤을 이용한 개인정보관리 시스템 (Sketch-based Graph Control System for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 박범준;전재웅;최윤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C)
    • /
    • pp.379-381
    • /
    • 2012
  • 오늘날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사람들은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사람들이 관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중, 개인의 연락처와 같은 개인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케치 기반의 인터페이스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대부분의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기존의 방식은 문서도구를 이용하여 특별한 개연성 없이 일괄적으로 자료를 타이핑하여 저장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방식은 간단한 입력만으로 자료를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입력된 개인정보들 간의 연관성과 사용자와의 관계를 한눈에 보여주기에는 부족함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관리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그래프를 이용한 정보관리 시스템과 단순하게 보여주기만 하는 정보시각화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가 직접 저작할 수 있는 스케치기반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스처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구현 (Animation Maker Using Gestures)

  • 이광조;양성봉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B)
    • /
    • pp.188-191
    • /
    • 2010
  • 최근 다양한 2D 기반 스케치 기법이 제시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스케치 기법들은 사용자의 인터페이스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그 중에 제스처 기법은 사용자의 글자 인식과 메뉴의 빠른 접근을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페이퍼 커팅 기법이라고 불리는 예술 분야의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스처를 활용한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향후에 이를 응용한 모바일 분야에서의 응용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구현을 위하여 제스처 인식 방법을 위한 스케치 인식과 애니메이션을 위한 시간 조정 방법을 제시 하였다.

  • PDF

3차원 객체를 고려한 3차원 가상환경 투어 패스 설정 기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our Path Setting Techniques in 3D Virtual Environment Considering 3D Objects)

  • 송특섭;곽내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35-836
    • /
    • 2009
  • 본 연구는 스케치기반의 인터페이슬 통해 큐빅스플라인 곡선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탐색항해에서 많이 발생하는 이동중 관심영역으로의 뷰포인트를 자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스케치기반 인터페이스는 일반인에게 친숙한 종이환경과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환경의 탐색항해를 위한 투어패스를 설정하고 관심영역을 중심으로 뷰포인트가 자동적으로 변환하는 기법을 제시함으로써 가상환경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거나 전문개발자에게도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애니메이션 저작도구를 위한 음성 기반 음향 스케치 (Voice Driven Sound Sketch for Animation Authoring Tools)

  • 권순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9
    • /
    • 2010
  •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동작을 만들어내기 위해 펜으로 스케치하는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저작 도구들이 연구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음향적인 요소에 있어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만들어내는 방법은 연구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음향과 대응되는 의성어의 발성을 통하여 표현하면 이에 대응되는 음향샘플이 선택되어 삽입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계적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패턴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의성어 발성만으로 대응되는 음향샘플을 어느 정도 인식할 수 있는지를 실험해본 결과 의성어의 음성샘플을 이용한 경우 최대 97%의 인식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새로운 음향샘플 등록 시에 발생하는 음성데이터 수집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음성모델을 만드는 대신에 의성어의 음성샘플 하나만 사용하는 GLR Test를 활용해보니 기존의 방법과 거의 대등한 인식률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스케치 기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부분 이동 기법 (Partial Movement of Kinetic Typography Using Sketch-based Interfaces)

  • 김민우;전재웅;최윤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C)
    • /
    • pp.364-366
    • /
    • 2012
  •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는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문자 및 텍스트에 시각적 효과를 주는데 사용되고 있다. 현재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제작을 위한 기존의 저작 도구에서는 주로 키프레임 보간 방식을 이용하여 텍스트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한다. 그러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서 자주 쓰이는 효과 중 하나인 텍스트의 일부가 다른 텍스트보다 먼저 특정 위치로 이동한 뒤 나머지 텍스트가 순서대로 도달하는 효과는 기존의 방법으로는 각각의 텍스트를 따로 조작하게 되어 불편하고 저작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스케치로 선택한 뒤, 선택된 부분을 먼저 이동시키고 나머지 부분은 선형 보간을 활용하여 이동시키는 기법을 제안함으로써 복수의 텍스트를 개별적으로 조작해야만 하는 기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케치 기반의 인터페이스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스케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기반 얼굴 애니메이션 (Data-driven Facial Animation Using Sketch Interface)

  • 주은정;안소민;이제희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18
    • /
    • 2007
  • 자연스러운 얼굴 애니메이션 생성은 캐릭터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지금까지 얼굴 애니메이션은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문 애니메이터들의 수작업을 통해 생성되거나, 필요한 움직임 데이터를 직접 동작 캡쳐함으로써 만들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일반 사용자가 쉽게 접근 할 수 없으며 많은 시간과 비용을 요구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에 가깝고 자연스러운 얼굴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방식의 스케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키-프레임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얼굴 캡쳐를 통하여 얻은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얼굴 표정간의 전이 정보를 이용하여 키-프레임을 보간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전문 애니메이터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쉽고 빠르게 다양한 감점을 표출하며, 동시에 말하는 얼굴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