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케일러블 부호화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43초

실시간 스케일러빌러티 변환 SVC 비트스트림에 대한 연구 (A Study of Realtime scalability converted bitstream extraction)

  • 배태면;김덕연;노용만;강정원;김재곤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 /
    • pp.163-166
    • /
    • 2005
  •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 (Scalable Video coding)는 시간, 공간, 화질의 스케일러빌러티를 가지는 비트스트림을 제공하므로, 가변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QoS 를 만족시키는 비디오 서비스를 가능케 한다. 먼저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에서 실시간으로 가변 가능한 스케일러빌러티에 대한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스케일러블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시간, 및 화질을 변화하며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JSVM2.0에 구현되었으며,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유효함을 보여준다.

  • PDF

공간 웨이블릿 변환의 복잡도를 줄인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에 관한 연구 (Scalable Video Coding with Low Complex Wavelet Transform)

  • 박성호;정세윤;김원하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2권3호
    • /
    • pp.53-62
    • /
    • 2005
  • 인터 프레임 웨이블릿 부호화 기법의 복호화 과정에서 많은 연산량을 차지하는 모듈 중의 하나는 웨이블릿 변환이다. 복호기는 PDA, PC, 휴대폰등과 같이 다양한 단말기 상에서 동작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복호기의 복잡도는 각 프로세서의 계산 능력에 맞게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케일러블 부호화를 위한 코덱 역시 낮은 복잡도로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부호화 성능을 열화시키지 않으면서 공간 웨이블릿 변환의 복잡도를 조절하면서 줄이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 기법은 천천히 변화하는 영상 시퀀스에 대해서는 웨이블릿 변환 시 발생하는 잔상 현상도 줄일 수 있다.

3차원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덱 설계 및 성능 분석 (Design and Analysis of 3D Scalable Video Codec)

  • 이재영;김재곤;한종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19-23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High Efficiency Video Coding(HEVC)의 확장 표준인 Scalable HEVC(SHVC)와 3D-HEVC을 통합하여 구성되는 3차원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덱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3차원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덱은 다시점 영상을 부호화함과 동시에 공간해상도 스케일러빌리티 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양 종류의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할 수 있는 High Level Syntax를 사용하였고, DPB 및 참조영상 리스트 구성 방법에 대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장에서는 제안하는 3차원 스케일러블 코덱의 정합성을 확인하였고, 또한, 제안 코덱의 부호화 성능을 분석하였다.

초협대역 비디오 전송을 위한 심층 신경망 기반 초해상화를 이용한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Scalable Video Coding using Super-Resolution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Video Transmission over Very Narrow-Bandwidth Networks)

  • 김대은;기세환;김문철;전기남;백승호;김동현;최증원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32-141
    • /
    • 2019
  • 매우 제한된 전송 대역을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필요성은, 광대역을 통한 비디오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현 시점에서도 꾸준히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협대역 네트워크를 통한 저해상도 비디오 전송을 위해, 공간 확장형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프레임워크에서 기본 계층의 부호화된 프레임을 심층 신경망 기반 초해상화 기법을 이용하여 업스케일링 하여 향상 계층 부호화 시에 예측 영상으로 활용하여 부호화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스케일러블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표준에서는 고정된 필터로 업스케일링을 하는데 비해, 본 논문에서는 초해상화 수행을 위해 학습된 심층신경망을 기존의 고정 업스케일링 필터를 대체하여 적용하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스킵 연결과 잔차 학습 기법 등이 적용된 심층 콘볼루션 신경망 구조를 제안하고, 비디오 코딩 프레임워크의 실제 응용 상황에 맞추어 학습시켰다. 입력 해상도가 $352{\times}288$이고 프레임율이 8fps인 영상을 110kbps로 부호화 하는 응용 상황에서, 기존의 스케일러블 HEVC 프레임워크에 비해 제안하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프레임워크의 화질이 더 높고 부호화 효율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케일러블 동영상 부호화를 위한 적응적 GOP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aptive GOP Structure for SVC)

  • 정세윤;박민우;박광훈;김규헌;홍진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통권29호
    • /
    • pp.463-47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JVT에서 표준화가 진행중인 스케일러블 동영상 부호화의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영상 시퀀스의 시간적변환 특성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GOP의 크기를 선택하여 부호화를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SVC에서는 한 영상 시퀀스에 대해서 GOP의 크기를 고정하여 부호화를 하는데, GOP의 크기와 영상 시퀀스의 시간적 특성에 따라 부호화 효율이 변하게 된다. 이에 비디오 시퀀스의 지역적인 시간적 특성에 따라 GOP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가변 하여 부호화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적응적 GOP 구조 (Adaptive GOP Structure) 부호화 방법의 부호화 효율이 개선되었으며, Crew 시퀀스에서는 0.63dB 가 향상되었다.

GPB 메카니즘을 활용한 스케일러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를 위한 효율적인 DPB 설계 기법 (An Efficient DPB Design Scheme for Scalable Multi-view Video Coding Using GPB Mechanism)

  • 정태준;고명필;서광덕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921-92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스케일러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참조화면 재순서화, 마킹 프로세스, 참조픽처 리스트 구성을 포함하는 DPB (Decoded Picture Buffer) 작동을 위한 새로운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다양한 실험 결과를 통해서 제안된 방법에 의해 스케일러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에 있어서 개선된 압축효율을 얻을 수 있고 BD-Rate 및 BD-PSNR 측면에서 향상된 비디오 화질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한다.

암호화된 SVC 비트스트림에서 조건적 접근 제어 방법에 관한 연구 (Method for Conditional Access Control in Secured SVC Bitstream)

  • 원용근;배태면;노용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51-15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스케일러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조건적 접근제어가 가능한 암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현재 표준화가 진행중인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방법인 JSVM(Joint Scalable Video Model)은 부호화한 동영상에 대해 공간, 시간, 품질의 스케일러빌리티(Scalability)를 지원하는데, 각 스케일러 빌리티를 고려한 조건적인 접근제어기술은 스케일러빌리티에 따라 사용자를 제한해야 하는 경우를 위해 필수적인 기술이다. 제안하는 방법은 공간, 시간, 품질의 세가지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하도록 부호화(Encoding)후 구성되는 NAL(Network Abstract Layer)을 지원하는 스케일러빌리티에 따라 구분하고, 구분된 NAL 의 종류에 따라 암호화 key 를 다르게 제공하는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접근제어 수준에 맞게 암호화 key 를 조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JSVM 에서 공간, 시간, 품질의 스케일러빌리티가 보장되고, 이때 생성되는 Key 의 조합으로 조건적 접근제어(Conditional access control)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다중 레퍼런스 프레임 움직임 보상 기반의 효율적인 스케일러블 동영상 부호화 알고리듬 (Efficient Scalable Video Coding Based on Multiple Reference frame Motion Compensation)

  • 김승환;김용관;이상욱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제14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63
    • /
    • 2001
  • 기존 스케일러빌러티(scalability) 동영상 부호화 알고리듬 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중 레퍼런스 프레임 방법을 기저 계층(base layer)과 확장 계층(enhancement layer)의 움직임 보상시 사용하여, 부호화 효율 및 드리프트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전산 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 알고리듬은 기존의 H.263+ 알고리듬에 비해 스케일러빌러티 모드를 작동하였을 때와 작동하지 않았을 경우 모두에 대해 더 나은 부호화 효율을 보여 주고, 이전 레퍼런스 확장 계층이 네트웍 사정으로 전송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제안하는 알고리듬은 거의 화질의 손실이 없이 복원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무선 네트워크에서 요구되는 평균 최대 신호 대 잡음비와 수신 비디오 데이터양을 고려하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계층 선택 (Selection of Scalable Video Coding Layer Considering the Required Peak Signal to Noise Ratio and Amount of Received Video Data in Wireless Networks)

  • 이현노;김동회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89-96
    • /
    • 2016
  • 비디오 부호화 기술 중 하나인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은 공간적, 시간적, 화질적 스케일러빌리티를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프레임율과 해상도 및 화질을 가지는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의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부호화된 비디오 스트림은 하나의 기본계층과 다수의 향상계층을 이루고 있고 무선 기지국은 변화하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수신 단말들의 수신 전력에 따라서 적합한 계층을 선택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지원하는 수신 단말들은 자신의 수신 전력 상태에 따라 적합한 해상도 및 화질을 가지는 영상을 수신하여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하여 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계층 수에 따른 수신전력, 패킷 손실률, 최대 신호 대 잡음비, 비디오 화질 레벨, 수신 비디오 데이터의 양들에 대한 성능 분석을 수행한 후에 요구되는 최대 신호 대 잡음비를 만족하면서도 수신 비디오 데이터양을 최소화하는 비디오 계층 수를 선택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에 적합한 Scalable HEVC

  • 최진혁;최해철
    • 방송과미디어
    • /
    • 제20권1호
    • /
    • pp.31-42
    • /
    • 2015
  • 근래의 무선망 및 인터넷의 초고속화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특히 방송 통신 융합망의 등장으로 인해 압축 부호화 기술만을 개발하던 시기와 달리 멀티미디어의 생성, 전송 및 소비 환경의 다양한 조건들에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해 비디오 부호화의 스케일러빌러티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고, 차세대 압축 표준인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를 기반으로 시간적, 공간적, 화질적 스케일러빌러티를 제공하는 SHVC(Scalable HEVC)의 표준화와 이를 이용한 기술 개발 동향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