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카이라인 질의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An Efficient Processing Method of Top-k(g) Skyline Group Queries for Incomplete Data (불완전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 Top-k(g) 스카이라인 그룹 질의 처리 기법)

  • Park, Mi-Ra;Min, Jun-Ki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7D no.1
    • /
    • pp.17-24
    • /
    • 2010
  •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skyline queries. Most of works for skyline queries assume that the data do not have null value. However, when we input data through the Web or with other different tools, there exist incomplete data with null values. As a result, several skyline processing techniques for incomplete data have been proposed. However, available skyline query techniques for incomplete data do not consider the environments that coexist complete data and incomplete data since these techniques deal with the incomplete data on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skyline group processing technique which evaluates skyline queries for the environments that coexist complete data and incomplete data. To do this, we introduce the top-k(g) skyline group query which searches g skyline groups with respect to the user's dimensional preference. In our experimental study, we show efficiency of our proposed technique.

Survey for O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of Skyline Query Methods (스카이라인 질의 기법의 객관적 성능 평가를 위한 연구 조사)

  • Choi, Jong-Hyeok;Nasridinov, Aziz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1a
    • /
    • pp.49-52
    • /
    • 2018
  • 스카이라인 질의는 데이터들 사이의 비교 연산을 통해 지배되지 않은 데이터들의 최소 집합을 스카이라인으로 탐색하며 이때 지배되지 않고 스카이라인으로 선택된 데이터들은 지배된 데이터들을 대표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금융, 네트워크, 웹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스카이라인의 활용을 이끌어냈다. 하지만 스카이라인 질의는 데이터의 양이나 차원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전체적인 성능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연구 및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스카이라인 질의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객관적 성능 평가를 통해 주어진 상황에서 최적의 성능을 보일 수 있는 기법을 선택해야할 필요가 있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성능 평가에 있어 각 기법이 목표한 문제들에 대한 단편적인 실험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스카이라인 성능 평가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에 앞서 스카이라인 질의 기법의 객관적 성능 평가를 위한 품질 요소 선택 기준을 선택하기 위해 기존 연구들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진행한다.

  • PDF

Scored k-dominant Skyline Queries (차등 k-지배 스카이라인 질의)

  • Kim, Yong-Sung;Jung, Ha-Rim;Sung, Min-Kyung;Chung, Yon-Doh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149-152
    • /
    • 2011
  • 스카이라인 질의는 대량의 데이터들의 집합에서 데이터들 사이의 지배관계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데이터들만을 반환하는 질의로서 의사결정문제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스카이라인 질의는 데이터의 차원이 높아질수록 사용자에게 아주 많은 데이터를 반환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배관계 정의를 완화하여 모든 차원 대신에 k개의 차원을 고려한 k-지배 스카이라인 질의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k-지배 스카이라인 질의의 경우 데이터들 사이에 k-지배 순환관계를 이루기도 하는데, 이 경우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데이터들이 그 결과에서 제외되기도 한다. 또한 k의 값이 감소함에 따라 k-지배 스카이라인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k-지배 관계를 점수화 하는 새로운 질의인 차등 k-지배 스카이라인 질의 및 질의처리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해 차등 k-지배 스카이라인 질의 효율성을 입증한다.

An Efficient Query Processing Scheme using the Local Skyline Merge in Mobile P2P Network Environments (모바일 P2P 환경에서 로컬 스카이라인 병합을 이용한 효율적인 질의처리 기법)

  • Lee, sang-kyu;Bok, kyoung-soo;Park, yong-hun;Lim, jong-tae;Lee, hyun-jung;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3-14
    • /
    • 2012
  • 최근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기존 유선 P2P기반의 서비스를 확장하여 무선 환경에서 이동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P2P에 대한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P2P 환경에서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로컬 스카이라인 병합을 이용한 효율적인 질의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동적인 속성을 고려한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를 위해 질의 피어를 중심으로 로컬 스카이라인을 생성한 후 배포함으로써 불필요한 피어에 대한 가지치기를 수행한다. 모든 피어들에 대한 스카이라인 집합을 병합하여 전체 영역에 대한 글로벌 스카이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은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 PDF

Region Decision for Continuous Skyline Queries (연속적인 스카이라인 질의를 위한 영역 결정 기법)

  • Na Hyoung-Seok;Kim Jin-Ho;Park 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73-75
    • /
    • 2005
  • 최근에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s : LBS)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고, 다양한 서비스들이 연구되고 있다. 기존의 이동 객체에 대한 위치 의존 질의(Location-dependent Query)들은 단순히 대상 객체와의 거리만을 고려하였고, 스카이라인 질의(Skyline Query)는 질의의 위치와 무관한 대상 객체의 정적인 속성만을 고려하였다. 이동 객체에 대한 스카이라인 질의는 스카이라인 질의의 다중 속성과 이동 객체의 동적인 속성인 대상 객체와의 거리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 객체의 위치 변경에 따른 연속적인 질의가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동 객체의 연속적인 스카이라인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Voronoi Diagram(VD)기반의 스카이라인 영역(Skyline Region)정의와 효율적인 영역 결정 기법을 제안한다.

  • PDF

An Efficient Pre-computing Method for Processing Continuous Skyline Queries in Road Networks (도로망에서 연속적인 스카이라인 절의처리를 위한 효율적인 전처리기법)

  • Jang, Su-Min;Yoo, Jae-Soo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6 no.4
    • /
    • pp.314-320
    • /
    • 2009
  • Skyline queries have recently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searching services. The skyline contains interesting objects that are not dominated by any other objects on all dimensions. Many related works have processed a skyline on static data or on moving objects in Euclidean space. However, this paper assumes that the point of a skyline query continuously moves in road networks.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efficiently processes continuous skyline queries in road networks through pre-computed shortest range data of objects. Our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about 100 times faster than previous methods in terms of query processing time.

Continuous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Methods for Moving Query Objects (질의 객체가 이동하는 환경에서 연속적인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기법)

  • Lim, Jong-Tae;Park, Yong-Hun;Bok, Kyoung-Soo;Kim, Hyun-Ju;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17-20
    • /
    • 2011
  • 최근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가 발달함에 따라 이동 객체에 대한 다양한 질의 처리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 다중 속성을 고려할 수 있는 스카이라인 (skyline)과 스카이라인을 응용한 기법으로 리버스 스카이라인 (reverse skyline) 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기존에 연구된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기법은 객체들의 이동성은 고려되지 많은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질의 객체가 이동하는 환경을 고려한 연속적인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가지치기(pruning) 기법을 통해 질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객체들을 제외하고, 남은 후보 객체들을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연속 리버스 스카이라인을 점진적으로 처리한다.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최대 10배 우수한 성능을 모임을 확인하였다.

Efficient Skyline Query Processing Scheme in Mobile P2P Networks (모바일 P2P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기법)

  • Bok, Kyoung-Soo;Park, Sun-Yong;Kim, Dae-Yeon;Lim, Jong-Tae;Shin, Jae-Ryong;Yoo, Jae-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7
    • /
    • pp.30-42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kyline query processing scheme to enhance accuracy of query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cost in mobile P2P environments. The proposed scheme consists of three stages such as the pre-skyline processing, the query transmission range extension policy, and the continuous skyline query processing. In the pre-skyline processing, a peer selects the candidate filtering objects who have the potential to be selected. By doing so, the proposed scheme reduces the filtering cost when processing the query. In the query transmission range extension policy, we have improved the accuracy by extending the query transmission range. In addition, it can handle continuous skyline query by performing the monitoring after the first skyline query processing.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we compare it with the existing schemes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the existing schemes.

Clustered Hash Index-based Skyline Query (해시 색인 군집화 기반 스카이라인 질의)

  • Choi, Jong-Hyeok;Nasridinov, Aziz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1a
    • /
    • pp.45-48
    • /
    • 2018
  • 스카이라인 질의는 지배라는 개념을 활용, 주어진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대표할 수 있는 데이터들을 탐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청에 부합하는 최적의 결과를 탐색하거나 기업에서 의사결정을 이루기 위해 사용되는 등 넓은 활용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스카이라인 질의는 데이터의 차원이 증가하는 경우 전체적인 성능의 감소와 함께 스카이라인으로 선택되는 데이터의 수가 급증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결과를 반환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Top-k 질의 기반의 방식이나 군집화 기반의 기법을 적용한 방식의 스카이라인 질의들이 새롭게 제안되고 있지만 이들은 데이터의 편향이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k에 큰 영향을 받는 등 해당 질의 결과가 데이터들을 충분히 대표하거나 다양성을 만족시키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해시 색인 기법과 군집화 기법인 DBSCAN을 통해 주어진 데이터들을 충분히 대표함과 동시에 다양성을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스카이라인인 CHI-SQ의 이론적 배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Skyline Query Algorithm in the Categoric Data (범주형 데이터에 대한 스카이라인 질의 알고리즘)

  • Lee, Woo-Key;Choi, Jung-Ho;Song, Jong-Su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7
    • /
    • pp.819-823
    • /
    • 2010
  • The skyline query i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to deal with the large amounts and multi-dimensional data set. By utilizing the concept of 'dominate' the skyline query can pinpoint the target data so that the dominated ones, about 95% of them, can efficiently be excluded as an unnecessary data. Most of the skyline query algorithms, however, have been developed in terms of the numerical data set. This paper pioneers an entirely new domain, the categorical data, on which the corresponding ranking measures for the skyline queries are suggested. In the experiment, the ACM Computing Classification System has been exploited to which our methods are significantly represented with respect to performance thresholds such as the processing time and precision ratio,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