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위치보드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4 seconds

인공지능 기반 화물관리 시스템 개발

  • 차지혜;윤인근;임범현;박종진;이인;정두훈;김민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45-247
    • /
    • 2022
  • 컨테이너선에서 스위치보드와 리퍼컨테이너의화재 발생 전과 후를 CCTV 및 열화상카메라, 추가센서류로 상시 모니터링하여, 화재 전 이상감지와 화재 후 불꽃, 연기 등의 화재 종류를 선내 알림하여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화물관리시스템을 설계하고, 정확도 높은 화재 감지를 목적으로 데이터 학습을 위한 영상 및 전류 데이터 수집과 실제 컨테이너 스위치보드 및 리퍼컨테이너 레이아웃을 모사한 Testbed를 구축하였습니다.

  • PDF

Power Monitoring System of Smart Homes using Embedded System (임베디드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홈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 Kim, Woo-Sung;Park, Kyeong-Jin;Park, Sang-C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8
    • /
    • pp.5201-5206
    • /
    • 2014
  • A 'Light switch remote control' was made with an android smartphone and a smart light switch, which can use wireless communication on this paper. A smart light switch uses an embedded board and Bluetooth communication to receive and transmit data, and it receives and sends data again with a smartphone and wireless communication. This study used the flexibility of sensors that could be added later to utilize the embedded board as a gateway. This skill is being serviced now in a new apartment and building. On the other hand, existing households that do not support this skill can use it if they change only the switch. In conclusion, this system ensured user convenience and flexibility of system.

Room Lighting System Switch Operated by Touch (터치식 조명 스위치)

  • Choi, Joon-Young;Lee, Chang-Ik;Kim, Chang-Su;Kang, Byung-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247-2248
    • /
    • 2008
  • 비접촉 터치식 조명 스위치의 감도에 관한 실험을 하였다. 유리, 목재(파티클 보드), 플라스틱의 세 종류 재질에 대해 다양한 두께의 판을 이용하여 스위치 전극을 고정한 후, 스위치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커패시턴스를 실험적으로 찾아보았다.

  • PDF

Constant Voltage and Constant Current On-board DC Power Supply (정전압, 정전류 온보드 직류전원장치)

  • Geum, Jae-Beom;Baek, Ju-Won;Kim, Jong-Hyun;Ryoo, Myung-Hyo;Kim, Heung-Ge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7.11a
    • /
    • pp.40-42
    • /
    • 2007
  • 최근 컴퓨터 및 통신, 정보화산업 발전 및 수요에 따라 전원장치의 고집적화, 고효율화 및 고 기능화를 통한 소형화 기술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스위칭모드 전원장치는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을 이용하여 전력변환을 하며 이를 보다 소형화하고 고밀도화시키며 시스템에 직접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 전원장치가 온보드 전원장치이다. 본 논문에서는 온보드 전원의 고밀도, 고집적화와 더불어 정전압 온보드 전원에 기능을 추가하여 정전류원으로 동작하는 온보드 전원을 제안한다. 제안한 회로는 능동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를 사용하였으며 2 차측 동기스위치를 이용하였다. 또한 정전압원과 정전류원으로 동작시 입력의 변화와 부하의 변화에 따른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는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제안회로는 이론적인 해석과 100W 실험장치를 통해 시험하며 그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Optical Switch Structure Analysis Evaluation and Line Competition Avoidance Test using Wavelength Converters (광 스위치 구조 분석 평가와 파장 변환기를 이용한 회선 경합 회피 실험)

  • Lee, Sang-Wh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
    • /
    • pp.466-474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the line contention avoidance experiments with an optical switch, which was selected based on the compariso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various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function, structur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optical switches. After considering the nonblocking, modularity, upgrade ability and optical power loss of the several kind of the switch fabrics, a switch was selected. The selected switch fabric by using wavelength converters was controlled to avoid contention of the optical lines. In this experiment shows an example of three cases.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optical signal shows a changed peek of optical power in output. By showing a peak it confirms that the contention was avoided. By analyzing of changed optical power according to the channel setting time and release time to control of the switch could be determined. If this analysis applied to the network design, economical and efficient structures can be formed.

Switch Circuit Design in 0.18㎛ BCDMOS for Small Form Factor Automotive Smart Junction Box (자동차 스마트 정션 박스 소형화를 위한 0.18㎛ BCDMOS 기반 스위치 회로 설계)

  • Lee, Ukjun;Kwon, Geono;Lim, Hansang;Shin, Hyuncho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2 no.3
    • /
    • pp.82-88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of the enable switch circuit, which is consist of discrete device at smart junction box(SJB) board. The Enable switch circuit, which receives ignition signal (IG) for input, sends a drive signal to linear regulator and other elements. The circuit design is carried out in a BCDMOS $0.18{\mu}m$ technology, and the performances are verified through simulations according to AEC-Q100 and ISO 7637-2. Die area of the designed Enable switch circuit is $1.67mm{\times}0.54mm$ in layout, and it is shown that the die can be housed in $3mm{\times}3mm$ HVSON8 package. The designed enable switch circuit is expected to be widely adopted in various automotive SJB's since i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overall printed circuit board form factor.

The Initialazation and Calibration Methods for a Touch-Screen LCD of an Embedded System (임베디드 시스템의 터치스크린 LCD 구동을 위한 초기화 및 좌표보정)

  • Oh, Sam Kweon;Park, Geun Duk;Kim, Byoung K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35-36
    • /
    • 2009
  • 터치스크린 구동을 위해서는 터치된 위치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해 주는 ADC의 모드와 인터럽트 요청 발생을 위한 ADC의 채널에 연결된 스위치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해야 한다. 본 논문은 터치스크린 LCD 모듈인 LP35가 부착된 LN2440SBC 임베디드 보드의 터치스크린 구동을 위한 초기화 방법과 터치스크린의 위치 좌표를 LCD의 픽셀 좌표로 변환해주는 좌표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 터치스크린의 구동은 크게 인터럽트 요청 대기/처리 상태로 구분된다. ADC 모드와 채널 스위치의 활성화 여부를, 인터럽트 요청 대기 상태에서는 인터럽트의 요청을 대기하며, 인터럽트 발생시 터치된 위치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자동으로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도록 설정하고, 인터럽트 요청 처리 상태에서는 인터럽트 요청을 처리하는 동안 새로운 인터럽트 요청을 마스킹(masking)하도록 설정한다. 좌표 보정은 터치된 위치 좌표 2개와 이에 대응되는 2개의 픽셀 좌표를 구하고, 이 좌표 값들을 이용하여 좌표 보정 일차 함수를 구함으로써 구현한다.

An Implementation of Monitoring system for using M-JPEC (M-JPEG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안탁현;전광탁;박한엽;양해권;최연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8.11a
    • /
    • pp.525-528
    • /
    • 1998
  • 본 논문은 현재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MS사의 M-JPEG을 이용하여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감시 시스템의 구현에 대해 설명한다. 기존 아날로그 감시 시스템의 단점인 여러번 재생시 화질 저하와 카메라에 비디오를 연결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이 시스템은 사용자들에게 최대의 감시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무인 감시 시스템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화상 처리와 화면 전환을 컴퓨터로 처리함으로서 여러 가지 다양한 모드의 감시환경을 제공하고 뛰어난 화면 capture기능으로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여 감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원하는 장면을 찾기 위한 검색 기능을 제공함으로서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시스템 구현에 사용된 H/W는 펜티엄-II 333과 카메라 16대 그리고 스위치 보드, MPEG capture 보드를 사용했으며 구동 S/W는 Visual C++로 제작하였다.

  • PDF

Asynchronous LED Current Control Method for Flyback LED Driver without Boost Converter (부스트 컨버터가 없는 LED 구동 플라이백 컨버터의 비동기식 LED 전류 제어 방법)

  • Park, Jae-Sung;Baek, Seung-Jae;Choi, Seo-Woo;Ryu, Dong-Kyun;Hong, Sung-S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307-308
    • /
    • 2013
  • 기존 LED(Light Emitting Diode) 백라이트 LCD(Liquid Crystal Display) TV 용 전원 장치는 다중출력 플라이백 컨버터를 사용하여 로직 보드, 영상 보드, LED 백라이트 등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전원들을 생성, 공급한다. 특히, 기존에는 LED 백라이트의 구동을 위한 출력단에는 부스트 컨버터를 추가하여 LED 전류를 제어하였다. 따라서, 부스트 컨버터에 의한 부피 및 원가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부스트 컨버터 없이 보조 스위치 하나만을 사용한 LED 구동회로를 이용하여 LED의 정전류 제어가 가능한 저 가격형 LED 구동회로의 비동기식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최종적으로 제안 회로를 32인치 LCD TV 용 LED 백라이트에 적용하여 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 회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a Switch-based LED Art Logic Circuit for Basic Digital Logic Circuit Practice (기초디지털논리회로 실습을 위한 스위치 기반 LED Art 논리 회로 구현)

  • Hur, Kyeong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8 no.2
    • /
    • pp.95-101
    • /
    • 2016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implementation method of switch-based LED (Light Emitting Diode) Art logic circuits to help understand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digital logic circuits. Digital logic circuit practice using bread board is widely practiced in colleges or high schools in South Korea. However, actual digital logic circuit practice lacks examples of basic implementation, and as results of this problem, study with more complicated examples disturbs understanding the basic operation principle of digital logic circuits. Therefore, we proposed and tested an implementation method of switch-based LED Art logic circuits to help understanding the necessity of digital logic circuits which control signals of multiple output devices simultaneous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