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 해상물류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초

스마트 해상 물류 분야 선진 국가의 정책 및 시사점

  • 김지영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5-105
    • /
    • 2019
  • 전세계적으로 스마트 항구 및 스마트 해상물류 시장의 패권을 장악하고자 EU, 싱가폴, 일본, 중국 등 범국가적으로 스마트 물류(해운, 내륙, 항공) 생태계 촉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이에 각 국의 스마트 해상물류 정책 동향과 향후 기술 개발 방향성을 전체적으로 조사하고 시사점을 공유하고, 특히,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만청와 로테르담 시는 전 세계 항만 시설 중에서도 체계적인 전략과 방법으로 혁신적 스마트 물류 시스템을 빠른 속도로 만들어 나가고 있기에 스마트 해상물류와 연관된 로테르담 항구의 혁신 (Innovation) 전략과 디지털화 (Digitalization)를 중심의 정책 현황과 ICT기술의 적용 전략과 주요 프로그램을 소개함.

  • PDF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자동화 서비스 실증 모델 개발 연구

  • 이준호;박순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3-235
    • /
    • 2023
  •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자동화 서비스 실증 모델 개발 연구는 자율운항선박과 스마트항만이 도래되었을 때 스마트 해상 물류 통합을 위해 자동화할 수 있는 일부 업무들을 해상물류 중심의 프로세스와 상호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관련 업무의 분야별 데이터를 통합하여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자동화 서비스 실증 모델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연구 내용이다.

  • PDF

스마트 해상 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기술을 위한 데이터 처리 연구

  • 최우근;박순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35-437
    • /
    • 2022
  • 스마트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기술을 위한 데이터 처리 연구는 스마트 해상 물류 통합을 위한 메시지 관리 패턴 정의로 해운-항만-내륙물류의 다양한 서비스와의 연계 데이터 관리 패턴 설계, 디지털 문서의 수용 및 데이터 교환을 위한 상호운용성 보완 기술 설계 그리고 프로세스 기반 거래검증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내용이다.

  • PDF

스마트 해상물류용 최신 에지 컴퓨팅과 인공지능을 구성한 자율접안 시뮬레이터의 개발 (A Development of the Autonomous Berth Simulator(ABS) consisting of the newest Edge Comput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useful for Smart Offshore Logistics)

  • 강윤모;강윤호;신재성;유승형;박승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89-592
    • /
    • 2020
  • 본 논문은 스마트 해상 물류에 필요한 최신 Edge Computing과 인공지능을 구성한 자율 접안 시뮬레이터의 개발이다. 먼저, 스마트 해상 물류에서 선박의 접안에 관한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그 분석된 결과를 사용하여 서비스, 시스템, 핵심부품을 설계하고 제작한다. 결국, 본 논문은 스마트 해상물류에 필요한 자율접안 시뮬레이터를 개발한다. 향후, 본 논문은 실제 스마트 해상 물류에 필요한 Edge Computing과 인공지능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개발할 계획이다.

스마트 해상 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프로토타입 구현

  • 박순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9-241
    • /
    • 2022
  • 스마트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자동화 및 간소화 기술 설계를 위해 해운-항만-내륙 물류의 다양한 서비스와의 연계 데이터 관리패턴을 설계하고, 디지털 문서 수용 및 데이터 교환을 위한 상호 운용성 보완 기술 설계, 프로세스 기반 거래검증 알고리즘 개발 및 데이터교환 트랜잭션 자동화 기술 개발을 통해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 해상 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기술 연구

  • 양서윤;박순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0-211
    • /
    • 2021
  • 해상 물류 영역별 정보 및 데이터 분석에 따른 단위 서비스, 이벤트 데이터 연계분석, 해상 물류 통합 프로세스 모니터링, 테이터 처리 흐름분석 및 의사 결정 지원 데이터 및 운영 효율성 개선을 위한 클라우드 운영 기반 플랫폼 기술 설계를 목표로 한다.

  • PDF

스마트 항만물류 민간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

  • 안성순;이형락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2-274
    • /
    • 2019
  • 4차 산업혁명으로 산업간 기술융합이 가속화되면서 세계 선진항만들은 스타트업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국내에서 혁신성장 정책으로 스타트업을 장려하고 있으나, 항만물류 분야에서 스타트업 등장은 요원하다. 이 주제에서는 국내에서 항만물류 민간비즈니스 생태계 조성에 대한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 항만물류 지원센터 추진과정과 실증사업 효과를 설명한다.

  • PDF

스마트 자율운항선박(MASS)의 도입정책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Smart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MASS))

  • 박한선;박혜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4-235
    • /
    • 2019
  • 스마트 자율운항선박(MASS)은 해사안전 및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안전성, 신뢰성, 효율성 기반의 친환경 스마트 해상운항 서비스의 제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해운 해사 항만 물류, 조선 및 기자재산업 등 해양과 관련된 산업 전반에 걸쳐 급격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 도입과 관련한 정책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산업별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해운 항만 조선 분야를 포괄하는 스마트 해상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스마트물류, 그리고 패키징 (Smart Logistics and Packaging)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40호
    • /
    • pp.42-61
    • /
    • 2013
  • 물류 표준화의 핵심은 수송, 보관, 포장, 상/하역, 정보/보안의 물류활동간의 호환성과 연계성의 확보이다. 국제표준 채택을 의무화하고 있는 WTO/TBT 협정을 차치하더라도 물류표준화의 정도는 국가의 물류경쟁력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척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한 중 일 3국의 경우 교역랑만 5조 3,236억불로 전 세계 교역량의 17.6%(2010년 기준), GDP 합계 12조3443억 달러로(2010년 기준) 세계전체 GDP 62조 9093억 달러 중 19.6%, 해운물동량은 전 세계 물동량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물류경쟁력은 곧 국가경쟁력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아직도 국내에서는 물류분야 간 연계와 첨단정보기술이 결합된 현장중심의 융 복합 표준이 미비하고 대부분의 경우 해외국가들이 자신들의 입장대로 추진하거나 선점한 표준을 따라가기 바쁜 실정이었다. 스마트물류표준화는 이러한 현실에서 탈피하여 글로벌 물류표준을 선도하고 국내 현실에 적합한 현장물류표준을 반영하자는 취지에서 출발한다. 스마트물류는 i-ULS(Intelligent-Unified Logistics System) 체계, 즉 IT와 각 물류기술을 융합하여 표준화시키는 것은 물론 기존 표준을 산업현실에 맞게 반영해 나가는 것이 국가표준코디네이터로서의 주요한 목표가 되고 있다. 본 고는 전년도 스마트물류 표준화로드업에 작성된 표준화기술 중 산업체 설문을 통하여 10대 주요 표준화 트렌드를 선정하여 정리한 것이다. 10대 표준화 기술로는 순환물류포장시스템, 실시간 위치추적기술, 스마트컨테이너(Smart Freight Containers), 해상용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CTMS), 글로벌 포장 표준모듈, 친환경물류 표준지표, 스마트물류 포장용기, 스마트그린물류센터(Passive Warehouse), 모바일 RFID 물류 적용 기술, Modal Shift(전환교통) 등이 선정되었다. 이번 4월호 특집에서는 10대 표준화 전략트렌드 가운데, 스마트물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 PDF

스마트 해상물류 시스템을 위한 컨테이너 설계 및 개발 (Container Design and Development for Smart Marine Logistics System)

  • 강지수;김현진;박다원;배소영;이시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80-283
    • /
    • 2019
  • 통신기술이 1 세에서 5 세대로 발전하는 동안 해상물류의 핵심인 컨테이너는 기능상의 큰 발전없이 과거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수기로 관리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IoT 장비를 활용해 실시간 위치 파악, 상태 모니터링 및 자동화 등을 통해 물류의 가시성을 확보하고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재배치함으로써 비용 절감 및 새로운 서비스 창출하기 위한 스마트 컨테이너를 제안한다. 부가적으로, 태양열판을 이용한 전원공급,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냉방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신선 식품 배송의 핵심인 풀 코드 체인(Full Cold Chain) 플랫폼으로 활용범위를 넓히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