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 패션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6초

PARA 태권도 선수의 통증 완화를 위한 종아리 EMS 보호대 설계 및 효과 (Design and Efficacy of Calf EMS Protective Gear for Pain Relief in PARA Taekwondo Athletes)

  • 한국현;박진희;김주용
    • 패션비즈니스
    • /
    • 제28권2호
    • /
    • pp.109-124
    • /
    • 2024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ign and evaluate calf braces that are equipped with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modules. These braces are intended to alleviate calf pain in PARA Taekwondo athletes. The paper also seeks to assess the effects of different textile electrode designs. PARA Taekwondo participants are at a heightened risk of injuries and pain due to the nature of this exercise, which is designed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dditionally, there is a significant risk of strain on the lower limb muscles in PARA Taekwondo compared to regular Taekwondo. To address this issue, calf taping methods are commonly used. In this study, we develop calf EMS protective gear and aim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textile electrode designs inspired by taping methods. We evaluate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textile electrode designs through visual analog scale (VAS) and range of motion (ROM) measurements. The results show that EMS protective gear has the potential to reduce calf pain among PARA Taekwondo athletes, with electrode designs inspired by kinesiology taping providing the most effective pain relief.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se findings may be applicable to other sports disciplines, body areas, and everyday pain relief scenarios.

쇼핑가치, 사용용이성, 유용성이 모바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hopping Value, Ease of Use, and Usefulness on Mobile Purchase Intention)

  • 채진미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73-8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패션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변수로 쇼핑가치와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는데 영향을 주는 신념 변수로 알려진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을 채택하여 경로모형을 구성하여 검정하였고, 구매경험에 따른 집단 별(중구매/경구매 집단)로 경로모형을 비교분석하였다. 온라인 설문 전문업체를 통해 스마트 폰을 통해 패션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30 대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지 분석을 시행하였고, 총 411부의 유효한 데이터를 SPSS 21과 AMOS 1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쇼핑가치는 감성적인 차원의 쾌락적 쇼핑가치와 실용적인 차원의 실용적 쇼핑가치로 분류되었고 구성변수의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경로모형의 적합성은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최근 1년 동안 스마트폰을 통해 패션제품을 구매한 횟수에 따라 중구매 집단과 경구매 집단으로 분류하여 경로모형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쾌락적 가치보다는 실용적 가치가 모바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용이성은 직접적으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유용성을 거쳐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구매 집단의 경우, 쾌락적 쇼핑가치가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과 사용용이성이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을 제외하고는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구매 집단에서는 쾌락적 쇼핑가치가 사용용이성에 주는 영향, 실용적 쇼핑가치가 유용성에 주는 영향, 쾌락적 쇼핑가치가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 사용용이성이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의 경로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분석 결과는 다양한 유통채널을 사용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현대 소비자들을 모바일 구매로 유도하기 위한 차별화된 모바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근거가 될 것이다.

SNS를 이용한 패션업체의 마케팅 실태 연구 -Facebook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ate of Fashion Marketing Using the SNS -Focused on the Facebook-)

  • 김태진;진성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305-2312
    • /
    • 2012
  • 시대의 변화에 따른 IT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전반적인 산업영역에서 예전보다 쉽게 정보를 취득하고 가공할 수 있는 여건을 형성하고 있다. 최근 각광 받고 있는 SNS의 변화를 살펴보면 스마트폰 이용이 대중화되면서 마케팅 툴로서의 가치가 더욱 급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패션 마케팅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Facebook 활용 사례를 연구하였다. 패션업체 10곳을 선정하여 활동지표의 기준이 되는 '게시글', 'like this', 'people talking about this' '이벤트'를 중심으로 페이스북 페이지를 연구하였고 spearman 순위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위 지표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게시글'과 'like this'의 관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고 다른 요인들 사이에서는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페이스북 페이지를 이용한 마케팅은 소비자와 업체와의 소통이 기존 매체에 비해 원활하였는데 이는 SNS의 마케팅의 이용이 기존의 마케팅의 한계였던 소통의 벽을 넘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QR 코드를 이용한 패션제품의 정보제공에 대한 20대 소비자의 인식과 선호조사 연구 (A Study on Consum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Fashion Products by Using QR Code)

  • 윤지원;유신정
    • 감성과학
    • /
    • 제22권2호
    • /
    • pp.59-69
    • /
    • 2019
  • 본 연구는 패션제품에 QR코드를 부착하여 소재와 세탁 등의 전문적 정보의 제공뿐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 소비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QR코드 적용 시 요구되는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선호를 조사하였다. 타 연령대보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고 1인 가구의 비율이 높아 비대면 정보교환의 필요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20대를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현행 라벨을 통한 의류제품의 정보제공 방법에 대해서 개선의 필요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불충분한 정보제공, 전문적인 용어 사용, 세탁 기호의 불확실함이 불만족의 요인이었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QR코드는 패션제품의 관리 정보제공의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응답자들은 아웃도어, 패딩, 정장 등의 고관여 의류 상품과 신체에 닿는 언더웨어류에 대해서 자세한 세탁방법, 사용 및 보관 시 유의사항, 소재의 기능성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어 했으며 캐주얼웨어, 코트에 대해서는 제품을 활용한 SNS 데일리룩, 제품과 어울리는 다른 상품, 비슷한 아이템의 추천 등 스타일링이나 의복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싶어했다. 따라서 QR코드를 이와 같은 다양한 정보 제공을 위한 웹사이트 또는 SNS의 연결수단으로 사용한다면 소비자들의 정보추구 욕구의 충족과 함께 현명한 제품 사용을 도울 수 있을 것이며 초 연결시대 패션제품의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소비자 스마트니스와 지각된 패션기업 지적자본이 가상세계에서의 가치공동창출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nsumer smartness and the perceived intellectual capital of fashion firm on value co-creation behavior intention in virtual worlds)

  • 안수경;류은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32권2호
    • /
    • pp.148-163
    • /
    • 2024
  • With the digitalization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environments, consumers are no longer merely targets of marketing, but key players in creating value jointly with companies by participating in various decision-making processes. Much virtual content in particular, such as fashion shows, exhibitions, games, social activities, and shopping, which fashion brands implement in virtual worlds, cannot be completed without consumers' active engagement and interaction. Thus, this study considers consumers' participation in virtual content provided by fashion brands as value co-creation in virtual world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nsumer (i.e., consumer smartness) and fashion firm (i.e., perceived intellectual capital) factors influence value co-creation behavior intention in virtual worlds. Data were collected from 410 consumers in their 20s nationwide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 higher-orde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consumer smartness and perceived intellectual capital positively influenced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and citizenship behavior intentions. Specifically, perceived intellectual capital had a greater impact on value co-creation behavior in the virtual world than consumer smartness. Th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the fashion firms' intangible assets and consumers' competence in the digital shopping environment encourage their intentions to co-create value in virtual worlds.

MP3 기능 스마트 재킷의 상용화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Smart Jacket Incorporating MP3 functionality for Commercial Use)

  • 조현승;김진형;박선민;유재훈;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377-383
    • /
    • 2006
  • 본 연구는 섬유 소재에 IT기술을 적용하는 디지털 의류 제품 중 하나로 여성 재킷에 MP3기능을 내장시켜 상용화 할 수 있는 디자인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 고찰 및 5가지 MP3 기능 스마트 의류 초기 모형의 착의 평가 및 사용성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MP3 입력장치 및 모듈의 위치, 이어폰선과 신호선의 경로 등을 최적화하고 직물 기반의 신호선과 입력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와 사용성 및 동적 착용성을 갖춘 MP3 기능 스마트 재킷의 상용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는 10대 후반부터 20대 초반까지의 여성복 시장을 겨냥한 것으로 최근의 패션 트렌드와 소비자의 감성적 만족도 그리고 디지털 의류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고려해 볼 때 상품적 효용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 PDF

친환경 감성 어휘의 종류별 사용빈도 및 변화 양상 (Appearance Frequency of 'Eco-Friendly' Emotion and Sensibility Words and their Changes)

  • 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207-220
    • /
    • 2011
  • 친환경 감성단어를 '환경/자연, 소재/섬유, 인간, 형용사/기타' 등의 4가지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단어에 대하여 그 출현시점, 빈도를 1999~2010년 상반기 간의 인터넷 섬유패션 신문 및 잡지를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장 빈번히 출현한 단어는 '자연, 환경, 면, 천연섬유, 건강, 신선한, 맑은, 보존, 하모니, 옥수수섬유, 로하스' 등이었다. '친환경' 관련 감성단어의 출현시점을 살펴보면, 2000년도 이전부터 '에코, 형상기억소재, 오가닉, 스파' 등이 사용되어왔으며, 2000-1년도에 '자연환경, 친환경, 스트레치소재, 웰빙의, 대체가능한, 재생가능한' 등이 등장하였다. 2002-3년도에 '스마트소재, 친환경소재, 그린' 등이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2004-5년도에 '쿨비즈, 로하스, 자연염색' 등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2006-7년도에 '한방, 지속가능한, 웜비즈' 등이 사용되었고, 2008-9년도에 '그린슈머, 그린라이프, 태양에너지, 삼림욕' 등이 섬유패션 분야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친환경 감성단어의 출현 양상을 살펴보면, 친환경 감성단어의 출현은 과거 어느 때보다 2008-09년도에 가장 많이 등장하고 있었는데 2000년도 초반에는 비교적 많이 등장하였으나 이후 다소 주춤하였고 이는 근래에 들어 다시 출현빈도가 높아졌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환경/자연' 관련 친환경 감성 단어가 과거보다 최근에 두드러지게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비해 '인간' 관련 단어는 주춤하여 약간 감소세이거나 동일한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형용사/기타' 관련 단어는 약간 증가세이거나 과거와 동일한 빈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소재/섬유' 관련 단어는 패션잡지에서는 최근에 그 빈도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인터넷 신문에서는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 PDF

스마트 패션산업 발전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의류 이미지 분류 연구 (A Study on Deep learning-based Clothing Image Classif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fashion industry)

  • 이가현;고지연;박주희;허종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12-714
    • /
    • 2022
  • 프로젝트 테마는 'CNN 딥러닝 모델을 기반으로 한 AI 가상 옷장'이다. 딥러닝 기술을 웹페이지에 적용시켜 사용자의 옷장 속에 있는 옷들을 자동으로 저장해서 관리해준다. 의류 이미지를 수집하고 딥러닝 모델을 통해 이미지를 학습시키고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사람들이 옷을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한다.

소비자 혁신성이 패션소비성향과 의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20-30대 여성 스마트폰 사용자를 중심으로 - (Impa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Fashion Consumption Propensity and Clothing Satisfaction - Focusing on Female Smart Phone Users in 20's and 30's -)

  • 제은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78-587
    • /
    • 2012
  • This study explored an impa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fashion consumption propensity and clothing satisfaction, focusing on female consumers in 20's and 30's. Specifically, the smart phone users had been the subjects of study because they accept new things earlier than others. The collection of data was carried out for one month in September 2011, and a total of 390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 statistical package SPSS 16.0 was used for analysis of data. First, the impact of innovativeness on fashion consumption propensity was explored. It was found that the innovativeness has impact on ostentation-seeking propensity and personality-seeking propensity. The impact of innovativeness on the clothing satisfaction was explored. It was found that the innovativeness has negative impacts on tangible value satisfaction and intangible value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if an innovative consumer has less ostentation-seeking propensity and less personality-seeking propensity, the innovative consumer gets more satisfaction from tangible value of clothes. On the other hand, if an innovative consumer has less ostentation-seeking propensity, the innovative consumer gets more satisfaction from intangible value of clothes. Third, the differences in consumer innovativeness, fashion consumption propensity and satisfaction dependent on the age of consumers were explored. In innovativeness and fashion consumption propensity, fashion-seeking propensity and personality-seeking propensit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In satisfaction, tangible valu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in ostentation-seeking propensity, economy-seeking propensity and intangible value satisfaction.

거북목 예방을 위한 텍스타일 센서 개발 (Development of Textile Sensors for Prevention of Forward Head Posture)

  • 김민석;박진희;김주용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4호
    • /
    • pp.125-140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mart wearable device for assessing the risk angle associated with turtle neck syndrome in patients with Video Display Terminal (VDT) syndrome. Turtle neck syndrome, characterized by forward head posture resulting from upper cross syndrome, leads to thoracic kyphosis. In this research, a stretch sensor was used to monitor the progression of turtle neck syndrome, and the sensor data was analyz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and the Gauge Factor (GF) calculation method. The scapula and cervical spine angles were measured at five stages, with 15-degree increments from 0° to 60°. During the experimental process, the stretch sensor was attached to the thoracic spine in three different lengths: 30mm, 50mm, and 100mm. Among these, the attachment method yielding the most reliable data was determined by measuring with three techniques (General Trim Adhesive, PU film, and Heat Transfer Machine), and clothing using the heat transfer machine was selected.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ed that the most significant change in thoracic kyphosis occurred at approximately 30° of forward head posture. Prolonged deformity can lead to various issues, highlighting the need for textile sensor solutions. The developed wearable device aims to provide users with real-time feedback on their turtle neck posture and incorporate features that can help prevent or improve the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