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카메라

Search Result 69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스마트폰 부품의 기술 현황 및 전망 - 중국시장과 VCM 특허로 본 스마트폰 카메라 동향

  • Kim, Yeong-Jun
    • The Optical Journal
    • /
    • s.146
    • /
    • pp.28-32
    • /
    • 2013
  • 카메라 없는 모바일 기기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스마트폰 카메라가 대중화되어 있다. 모바일 기기에는 카메라가 필수 요소이며, 특히 스마트폰에는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카메라모듈 시장은 더 이상의 논의가 무의미할 정도로 전망이 아주 밝다. (그림1)은 기본적인 카메라모듈의 구조로 국내 공급업체와 증권사의 자료를 참조하였다. 스마트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만큼 기술적으로나 사업적으로 많은 이슈가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 시장과 자동초점 카메라모듈에 적용되는 액추에이터의 일종인 VCM(Voice Coil Motor)의 특허 분석을 통해 스마트폰 카메라의 동향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 PDF

Technical Trends of Smart Cameras (스마트 카메라 기술동향)

  • Kim, M.S.;Han, J.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6
    • /
    • pp.139-153
    • /
    • 2011
  • 1990년 후반 이후, 스마트 카메라가 널리 대중화되면서 비디오 감시(video surveillance) 분야와 머신 비전(machine vision) 분야의 산업에서 스마트 카메라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스마트 카메라는 단순히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기존의 카메라 기능에서 벗어나, 미리 정해진 여러 가지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비전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능이 확대되면서 카메라 내부에서 지능형 영상처리나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술을 이용해서 스마트 카메라는 움직임 감지, 오브젝트 측정, 차량의 번호판 인식뿐만 아니라 인간의 행동까지도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스마트 카메라는 빌딩관리나 빌딩제어 분야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디바이스가 되었으며, 향후에는 우리 주변 곳곳에 스며들어 주변 환경에 따라 지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스마트 카메라의 기술적인 정의와 특징을 살펴본 후에 스마트 카메라의 기술적인 동향들을 살펴볼 것이다.

  • PDF

Geometric Calibration and Accuracy Evaluation of Smartphone Camera (스마트폰 카메라의 기하학적 검정과 정확도 평가)

  • Kim, Jin-Soo;Jin, Cheong-Gil;Lee, Seong-Kyu;Lee, Sun-Gu;Choi, Chul-U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3
    • /
    • pp.115-125
    • /
    • 2011
  • The smartphones which have been recently are embedded with high resolution quality camera, assisted GPS, accelerometer, gyroscope and various sensors including magnetometer sensor that could be directly used for measuremen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ossible application of smartphone camera providing high resolution images in terms of photogrammetry by calibrating it and assessing its accuracy. First of all, prior to the accuracy assessment of smartphone camera, camera calibration was conducted to correct lens distortion of each camera and the accuracy of image coordinates and object coordinates calculated by bundle adjustment during this procedure was analyzed. Also regarding three-dimensional positioning, result analysis depending on considering lens distortion coefficients was conducted, and finally relative accuracy of smartphone camera on metric camera was assessed. The result showed that in terms of distortion correction of smartphone camera, also higher order symmetric radial lens distortion coefficients should be considered, and three dimensional position determined by smartphone images was a little difference from that by metric camera.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martphone images have huge possibility to be used for photogrammetry.

Implementation of Control System with Remote Control for Mobile Appliance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모바일 카메라 제어 및 응용 시스템 구현)

  • Park, Minhyuk;Yun, Hyunjune;Lee, YeSeoul;Lim,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45-47
    • /
    • 2015
  • 모바일 시스템의 카메라 용용 어플리케이션은 기본적인 이미지 저장 및 영상 촬영뿐만 아니라 카메라 기반의 증강현실 및 위치 기반 서비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셀프 활동에 많이 활용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문제점은 셀프 촬영이 힘들다는 것이다. 스마트폰 카메라를 자유롭게 제어하고, 나아가서는 카메라 촬영 및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보조해줄 수 있는 시스템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반의 카메라 제어 모듈과 카메라 제어 모듈을 활용한 이미지 프로세싱 보조 시스템을 구현해보도록 한다. 카메라 제어 모듈은 리모트에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카메라 촬영을 제어할 수 있으며, 여러 대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연동해서 다양한 각도에서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 촬영이 가능하도록 통신 제어 시스템이다. 이를 활용하면 모바일 카메라 응용 서비스를 좀 더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Camera Module for Measuring a Shooting Object (피사체 계측을 위한 스마트 폰 카메라 모듈 특성 연구)

  • Oh, Sun-J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2 no.5
    • /
    • pp.99-105
    • /
    • 2012
  • With the rapid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smart phone applications, mobile users are able to use various useful mobile services in humdrum life. Especially, interesting applications like QR code using camera module in a smart phone are developed continuously nowadays. We realized that the size and shape of shooting objects taken by a smart phone camera module are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versions of the android-based smart phon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pplications for measuring the shooting object using camera module of a smart phon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major differences among smart phone types and system versions when we take specific object with camera module of smart phones, analyze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camera modules that influencing the real size of the shooting object taken by a smart phone, and apply them to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camruler application.

An Development of Security System based on The Home Gateway (홈 게이트웨이 기반 보안 시스템 개발)

  • Cho, Soo-Hyung;Lee, Sang-H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99-302
    • /
    • 2010
  • 보안 시스템에 사용되는 많은 감시 카메라들이 RS-485 통신 방식을 통해 제어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RS-485 연결을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무선 연결로 대체할 수 있다면 선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쉬워지고 카메라의 배치 또한 자유로워 질 것이다. 본 논문은 RS-485 연결을 대체할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발로 홈게이트웨이와 무선 센서 노드, 스마트폰 감시 카메라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구현에 대해 설명한다. 홈 게이트웨이는 유 무선 인터넷 뿐만 아니라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었으며 MicaZ 기반의 센서 노드는 RS-485 인터페이스로 카메라와 연결된다. 넓은 지역에 분산된 보안 카메라들을 제어하기 위해 멀티-홉 또한 지원하도록 구현되었다. 보안 시스템의 감시 카메라들은 스마트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 된다. 실제 환경에 배치하여 실험한 결과, 스마트폰에서의 카메라 제어에 대해 실제 카메라가 매우 빠르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Selection of the Optimal Region of Interest for Smartphone Photoplethysmography (스마트폰의 PPG 신호를 위한 최적의 관심영역 선택에 대한 연구)

  • Shin, Suhae;Hong, Jieun;Moon, Chanki;Nam, Y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572-574
    • /
    • 2015
  • 최근 스마트폰 내장 카메라와 플래시를 사용하여 PPG 신호를 측정하고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카메라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PPG신호는 스마트폰 카메라와 플래시 위치에 따라 각 측정 영역의 신호의 세기가 다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카메라와 플래시 위치에 따라 강한 PPG 신호를 가지는 ROI를 찾기 위해 비교, 분석하였다. ROI를 계산하기 위해 PPG 신호를 측정하고 ROI를 선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각 ROI의 PPG 신호의 편차를 계산하고 가장 최적의 영역을 실험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Smartphone Camera Control System in connection with Personnel Access Rights (인원 출입 권한과 연계한 스마트폰 카메라 제어 시스템)

  • Jeon, Byung-Jin;Han, Kun-Hee;Shin, Seung-S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11
    • /
    • pp.93-10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mart phone camera on the company's employees or employees of partner companies, we want to block things in adv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mart phone camera control system which is connected with the personnel access right which enables to share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authorized user and the data shot only within the enterprise. To this end, we have developed the installation status of smart phone control program (MCS: Mobile Camera Control System) of employees, employees and visitors of company, and experimented and analyzed whether the smart phone control program installed in the authorized area. In addition, when visitors visited the company, the effect of prevention of photograph shooting through smart phone camera and the cost of seal sticker attached to the smart phone camera lens part were reduced.

Development of a Realtime Surface Image Velocimeter without Reference Points (참조점이 필요없는 실시간 표면영상유속계 개발)

  • Yu, Kwonkyu;Yoo, Bye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3-73
    • /
    • 2015
  • 자연 하천의 홍수 유량 측정은 매우 어렵고 많은 비용과 시간, 노력을 요하는 작업이다.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유량 측정의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하천 표면의 영상 분석을 이용하는 표면영 상유속계이다. 본 연구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표면영상유속계를 개발하는 것이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 GPS, 방향 센서, CPU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현장에서 하천의 표면유속을 측정하는 것이다. 먼저, 스마트폰의 GPS를 이용하여 측정 현장의 위치를 잡고, 경사계(방향 센서)를 활용하여 카메라와 촬영면의 기하적인 관계를 설정한다. 수표면과 카메라의 높이차만을 입력하고, 측정된 카메라의 경사에서 하천 수표면의 위치관계를 추정할 수 있는 카메라 모형을 작성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기존 표면영상유속계의 단점 중 하나인 참조점 보정이 필요없도록 하였다. 내장된 카메라로 정해진 시간(3초) 동안 동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은 개방 소스의 영상처리 라이브러리인 JavaCV를 이용하여 프레임별로 분할하고, 이를 시공간 영상 분석하여 하천 표면의 2차원 유속장을 추정한다. 영상의 시공간 분석에는 상호상관 시공간분석법을 이용하였다. 모든 코드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도록 Java로 작성하였다. 시판되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적용하여 현장 시험한 결과 3초간의 영상 처리에 5초 정도를 소요하여, 거의 실시간으로 유속을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유속 측정 오차는 일반적인 영상 처리의 오차인 5% 내외였다.

  • PDF

A Preliminary Study on Pupillary Light Reflex Measurement using a Smartphone Camera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동공반응 검사에 대한 기초연구)

  • Kim, Namik;Lee, Hyeonsu;Im, Soobin;Moon, Chanki;Nam, Y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534-537
    • /
    • 2015
  • 본 논문은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공 반응 검사를 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접사 렌즈를 부착한 후, 카메라 렌즈를 실험자의 눈 앞에 위치시켰으며, 빛 자극에 따른 전안부 영상을 촬영하였다. 스마트폰으로 얻은 전안부 영상을 HSV 컬러 모델로 변환 후 전처리와 필터를 걸쳐 동공을 검출하였다. 실험은 5명의 젊은 남성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실험결과 71.2%의 동공 검출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