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빌딩

Search Result 10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istributed Server based Data Management and Device Control Scheme for Efficient IoT Service in Smart Building (스마트 빌딩에서의 효율적인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분산 서버 기반 데이터 관리 및 제어 기법)

  • Choi, S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547-550
    • /
    • 2017
  • With the deployment of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s, the interest of smart building management system is rapidly increased. However, existing smart building management system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single point of failure, scalability, processing delay by using the centralized service platform serv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is paper, the distributed server based smart building management scheme is proposed. In the proposed scheme, it is possible to provide fast and efficient IoT services, regardless of the scale of smart building, by using the distributed server of each floor. From the numerical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scheme provide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centralized scheme in terms of stability of database and service processing delay.

  • PDF

Hybrid energy system for fuel consumption reduction of smart green building (스마트그린빌딩 에너지 시스템의 연료소모 절감을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

  • An, Boguen;Lee, KyungKyu;Choi, Jaeho;Song, Yuj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11a
    • /
    • pp.105-10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디젤발전기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 그린 빌딩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빌딩 하이브리드 에너지시스템은 다양한 전력원을 가질 수 있는데 기존의 디젤발전기에 화석연료를 저감할 목적으로 풍력발전시스템이나 태양광발전시스템과 같은 형태의 신재생에너지원들이 연계 운전될 수 있다. 연료소모를 최소화하고 디젤발전기의 느린 출력응답특성으로 인한 계통 전압 불안정화를 보상하기 위해 응답특성이 빠른 배터리와 슈퍼커패시터로 이루어진 에너지저장장치와 태양광발전원과의 연계운전 기술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 하였다.

  • PDF

Modeling and simulation of Hybrid energy system for smart green building (스마트 그린 빌딩을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 An, Boguen;Lee, KyungKyu;choi, Jaeho;Song, Yuj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154-15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디젤발전기와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이용한 스마트 그린 빌딩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빌딩 하이브리드 에너지시스템은 다양한 전력원을 가질 수 있는데 기존의 디젤발전기에 화석연료를 저감할 목적으로 풍력발전시스템이나 태양광발전시스템과 같은 형태의 신재생에너지원들이 연계 운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젤발전기의 느린 출력응답특성으로 인한 계통 전압 불안정화를 보상하기 위해 응답특성이 빠른 배터리와 슈퍼커패시터로 이루어진 에너지 저장장치와의 연계운전 기술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Multi-function Sensor Integration Module System for Smart Green Building (스마트 그린빌딩 구현을 위한 다기능 센서 통합 모듈 시스템 개발)

  • Kim, Bong-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0
    • /
    • pp.4799-4804
    • /
    • 2013
  • Green IT technology for the growth of low-carbon green environment and future development of the new technology. Therefore, in this paper, data generated by the security module for RFID applications, smart green building Sung multi-function sensor integrated module that can be integrated environment for building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a thermal sensor, temperature sensor, smog sensor, CO2 sensor, O2 sensor, tension sensor and damage detection sensor module with integrated system module integrated multi-functional sensors implemented in the paper. In real-time monitoring by allowing was design and developed system that can be implemented smart green building environment for the environment inside buildings.

Smart Grid Use Case and Service Requirement Based on M2M: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Buildings (M2M 기반 스마트 그리드 적용 사례 및 서비스 요구사항에 관한 연구: 공공빌딩 에너지 관리)

  • Hwang, Sung-Il;Park, Tae-Jun;Sohn, Young-Keun;Jeon, Gun-Py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C no.7
    • /
    • pp.612-620
    • /
    • 2013
  • Problem of energy worldwide reduction had to research on the requirements of services and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energy management of public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is paper, we research the SmartGrid case studies and services requirements based on M2M service. As a result, operation of devices for energy management, network, and application services for a variety of energy-efficiency requirements for the profile was defined. In this study is possible to provide in survey of the smart grid system of M2M-based in public institutions, schools and universities, and large buildings.

Design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for optimized operation (대형 빌딩 전력 운영 최적화를 위한 빌딩 전력 관리 시스템 설계)

  • Yang, Mi-Nuk;Kim, Kern-Joong;Kwon, Hyng-S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334-335
    • /
    • 2011
  • 국내에는 다양한 스마트 전력기기들이 충분히 개발되어 있는 상황으로 빌딩의 전력 관리 시스템(이하 BEMS)를 구축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인프라가 충분히 갖추어 있다. 하지만 기존 건물 내배선의 유연성 부족으로,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 설비 구조 변경 공사를 통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리고 빌딩의 대형화에 따라 전력 사용량이 커짐으로, 운영을 통한 효율성 관리 여지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문에서는 빌딩 내 전력 배분의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전력 설비를 투자하고 이를 운영하기 위해 취득 데이터를 바탕으로 3상 급전 해석 코어를 설계하고 BEMS에 추가적으로 운영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대형 사회기반시설물의 스마트 건전성 평가기술

  • 윤정방;이진학;김정태
    • Journal of the KSME
    • /
    • v.44 no.6
    • /
    • pp.59-67
    • /
    • 2004
  • 최근 교량 및 발전구조물, 고층빌딩과 같은 대형 사회기반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스마트 계측 및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관심과 연구개발 및 적용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과거 '한강의 기적'이라 일컬어지는 초고속 경제성장과정에서 교량, 터널, 항만, 공항, 발전소, 댐 등 대형 사회기반시설물의 건설이 급증하였으나, 설계 당시에 고려되지 못하였던 각종 하중 조건과 환경 요인으로 인해 구조 건전성(structural integrity)의 저하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최근 도서생활권의 향상 및 물류비용의 개선, 고속전철사업 등으로 인한 장대 교량의 건설, 효율적 국토이용을 위한 초고층빌딩의 건설, 석유자원의 고갈에 대비한 다양한 형태의 발전구조물의 건설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사회기반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스마트 계측 및 모니터링 시스템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