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그리드

Search Result 761,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Protection Coordination Study in Smart Grid with Diesel Generator (디젤발전기가 포함된 스마트그리드 보호계전 방안 연구)

  • Lee, Kang-Wan;Hong,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784-785
    • /
    • 2011
  • 보호계전시스템은 전력계통 운영 상태를 감시하여 전기 사고시 고장부분을 분리함으로써 전력공급 신뢰성 제고 및 고장파급 억제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그리드는 신재생에너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분산전원을 구비하고 있어, 전기 고장시 이들 분산전원으로부터 고장전류가 고장점으로 유입된다. 앞으로 보급 확산이 예상되는 소규모 스마트 그리드 구성 및 운전 형태별 고장전류를 해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현 가능한 스마트그리드 보호계전시스템의 구현 및 이의 동작 설정 값을 계산한다. 아울러 스마트그리드에 발생한 고장전류 크기 및 분포에 관련한 보호계전시스템의 적정성을 조사 및 분석한다.

  • PDF

A study of the Intergrated Voltage stabilization method based Smart PowerGrid due to Large Amount of Distributed Generation (스마트파워그리드 계통에서의 통합 전압관리방법에 관한 연구)

  • Shin, Dong-Hwi;Hwang, Woo-Hyun;Kim, Kyeng-Hwan;Kim, Ja-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08-1309
    • /
    • 2011
  • 스마트그리드가 출현함에 따라 향후 배전계통에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전력저장장치, 전기자동차(V2G) 등의 분산전원의 연계는 급속도록 증가할 것이며 더불어 배전계통은 더욱 더 복잡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는 계통의 전압변동 문제이다. 복잡한 전압변동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스마트그리드 계통의 전력품질과 안정도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다. 스마트그리드 계통 하에서 분산전원의 위치는 변전소 근처 전원단부터 부하 말단까지 전원사업자의 필요에 따라 설치하게 될 것으로 지금까지의 전압변동, 조류계산 등의 모델링 방법으로는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분산전원 배전계통 연계 용량 확대를 위해 실 선로의 실시간 전압 측정값을 이용한 분산전원 연계 스마트그리드 계통의 통합 전압관리안정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MI 보안 취약점 점검 항목에 관한 연구

  • Kim, Sin-Kyu;Jeon, Yu-Seok;Seo, Jung-Taek
    • Review of KIISC
    • /
    • v.22 no.5
    • /
    • pp.73-78
    • /
    • 2012
  • 스마트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IT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전력망이다. 전력망에 IT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운영효율이 증가하고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창출되지만 반대로 사이버 보안위협은 증가하게 된다. 사이버 보안위협의 기술적 증가요인으로는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으로 인한 전력망 연결 접점 증가와 실시간 양방향 통신으로 인한 스마트그리드 기기 공격, 양방향 통신 프로토콜 공격 가능성 존재 등이 있다. 또한, 환경적 증가요인으로는 스마트그리드는 전력망 특성상 사고 발생시 피해 규모가 크므로, 상대국 및 테러집단에 의한 주요 공격대상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그리드 사이버 보안위협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는 AMI의 보안 취약점을 발견할 수 있는 현실적인 취약점 점검 항목을 제시한다.

A Design of Home Smart Grid for Power Utilization (전력활용을 위한 홈 스마트그리드 설계)

  • Kim, Do-Goan;Han, Eun-Mi;Lee, Yoon-Hee;Moon, Hee-Kyung;Jeong, Ch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283-284
    • /
    • 2011
  • 본 논문은 효율적 전력 활용을 위한 유무선 센서기술을 활용한 홈 스마트 그리드를 제안한다. 특히,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과 절약을 유도하기 위한 스마트 그리드 기술은 현재 전력의 공급처와 사용자 간의 전력 수급과 관련된 효율적 정보의 수집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나, 전력의 주요 사용자인 일반가정에서의 계획성 있는 전력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파급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논문은 공급처와 사용자 사이의 스마트 그리드가 아닌 가정에서 전력의 사용처를 쉽게 파악하여, 에너지 활용을 계획 및 통제하고, 나아가 에너지의 절약을 유도하기 위한 EMS(Energy Management System)에 대해 기술한다.

  • PDF

Research of Smart Grid Project Benefits Analysis (스마트 그리드 확산사업 편익분석 연구)

  • Hyun, Sung-Sik;Kim, Jin-Ho;Kim, Sung-Soo;Chun, Yeong-H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67-468
    • /
    • 2015
  • 양방향 전력정보 교환을 통하여 합리적 에너지 소비를 유도하고, 고품질의 에너지 및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며, 산업간 융 복합을 통한 새로운 사업모델을 창출하고자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을 통해 에너지 사용절감, 전력피크완화, 온실가스 배출 감소 등의 목표가 대두되고 있으며,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으로 인해 사회적 후생이 얼마나 증가하는지에 대한 편익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편익의 구성요소를 파악하여, 실제 사례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보았다.

  • PDF

Development of Plan Making to Ensure Safety of Client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mart Grid System (스마트그리드 체제하에서의 고객전기설비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책 방안의 수립)

  • Jeon, Jeong-Chay;K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186-189
    • /
    • 2011
  • 최근 전력의 효율적 사용을 통해 에너지절약과 발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가적으로 스마트그리드 실증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그리드 특별법, 기술개발 지원 등 제도적 지원을 통해 기술 보급 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하지만 스마트그리드는 전력의 생산, 전송 및 사용을 중심으로 투자 및 개발에 집중되고 있고 전기안전의 확보에 대한 정책 및 기술적 투자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의 성공적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되어야 할 고객전기설비 안전성 확보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스마트 그리드 기술 동향

  • Lee, Il-U;Park, Wan-Gi;Park, Gwang-Ro;Son, Seung-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9
    • /
    • pp.24-33
    • /
    • 2009
  • 본 고에서는 스마트 그리드(또는 지능형 전력망)의 기술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스마트 그리드는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 신 재생 분산형 전원의 보급 확대 기반, 무정전/고품질 전력서비스 제공, 에너지/환경 문제의 주요 해법, 신성장동력 그리고 전국민 녹색생활 가속화를 위해 반드시 이루어야 할 국가적 아젠다의 대표 주자로 평가 받고 있다. 특히 본 고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에서의 IT역할에 대해 기술하였는데, 전력망 자가치유, 사용자 수요반응, 전력품질 보장, 전력 거래/유통, 전력망 보안 및 표준 등과 같은 스마트 그리드의 특징과 속성을 실현시키는 필수 도구로서의 역할에 대해 살펴본다.

HCI 기반 스마트그리드 제어시스템의 인증 기술 동향

  • Lee, Seokcheol;Kwon, Sungmoon;Kim, Sungjin;Shon, Taeshik
    • Review of KIISC
    • /
    • v.25 no.3
    • /
    • pp.5-10
    • /
    • 2015
  • 스마트그리드(Smartgrid) 시대의 도래 및 제어시스템으로의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기술 도입으로 외부 인터넷망과의 접점이 증가하면서 스마트그리드 제어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위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대한 피해 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그리드 제어시스템에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기술이 악의적인 내부 공격자는 전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비교적 쉽게 제어시스템을 조작 및 오작동 시킬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HCI가 적용된 스마트그리드 제어시스템에서의 내부자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 및 구성 장비에 대한 인증 기능을 강화하여 제어시스템 사용자와 구성 장비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A Study on Threat Identification Using Attack Tree for Personal Information in Smart Grid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Attack Tree를 이용한 개인정보 위협 식별에 관한 연구)

  • Baek, Man-Ki;Cho, Chae-Ho;Won, Yoo-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339-342
    • /
    • 2016
  • 스마트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의 비효율적인 운영, 이산화탄소 과다 배출, 전력피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ICT가 도입되고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개인정보를 침해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 내에서 개인정보를 다루는 기기, 시스템, 데이터와 같은 자산을 식별하여 공격자 입장에서의 공격 목표를 설정한 뒤, Attack Tree 방법을 통하여 세부적인 위협을 식별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그리드 환경은 기존의 ICT 기술이 접목되기 때문에 스마트그리드 구조상 발생할 수 있는 위협뿐 만 아니라 기존의 기술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협도 함께 존재했다.

스마트그리드 보안기술 동향분석 및 대응방안

  • Yu, Seong-Min;Kim, Nam-Gyun;Kim, Yun-G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5
    • /
    • pp.8-14
    • /
    • 2014
  •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게 되면서 에너지의 효율적인 운영관리가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기존 전력 및 신재생에너지 기술에 ICT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그리드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기 시작하였다. 스마트그리드 기술은 사용자와 공급자에게 양방향 정보교환을 통하여 더욱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의사결정은 에너지의 효율적인 공급과 효율적인 사용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제거 그리고 에너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스마트그리드의 경우 ICT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공유를 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버 침투에 취약하다는 약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보안과 관련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이번 본 고에서는 스마트그리드 보안 취약점과 그에 따른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하여 간략히 기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