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그리드

Search Result 76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스마트그리드 홈 서비스

  • Lee, Geun-Cheol;O, Jae-Yeong;Kim, Yun-G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4
    • /
    • pp.38-42
    • /
    • 2010
  • 최근 지식경제부는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통한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 조성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국가단위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위한 지능형 전력망, 소비자, 수송, 신재생, 서비스 등 5대 분야에 대한 로드맵을 포함하는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을 확정했다. 이러한 스마트그리드의 국가적 비전을 공유하고 스마트그리드의 성공적 구축 및 정착을 위해 통신 사업자로서 KT에서는 기 보유된 통신인프라와 핵심 ICT 기술 역량을 활용하여 KT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스마트그리드와 홈네트워크 동향을 살펴보고 KT의 스마트그리드 홈 서비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Analysis for Smart Grid System (스마트 그리드의 동향분석에 관한 연구)

  • Kim, So-Hee;Heo, Sang-Woon;Song, Seok-Hwan;Kim, Seob-Han;Rho, Dae-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147-150
    • /
    • 2010
  • 현재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스마트 그리드 실증단지를 만들어 한국형 스마트 그리드의 효용성과 실효성을 검증하려고 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 적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실행하기 위한 범 정부 차원의 프로젝트다. 또한 다른 국가들도 자국의 정치, 경제, 기술, 기타 환경에 맞는 최적의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찾기 위해서 구상하고 실행에 옮기고 있다. 따라서 다른 국가의 스마트 그리드 동향을 알아봄으로써 우리나라가 스마트 그리드의 국제 표준화 선점 및 핵심기술 확보 등을 통한 신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고, 최적의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찾아 궁극적으로는 전기 에너지의 고효율화 사용으로 온실가스를 감축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스마트 그리드의 동향 및 미국, 일본, 중국, 유럽등의 스마트 그리드 동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 PDF

스마트 그리드 보안 동향

  • Jung, Young-Gon;Choi, Hyun-Woo;Youm, Heung-Youl
    • Review of KIISC
    • /
    • v.20 no.4
    • /
    • pp.66-79
    • /
    • 2010
  • 세계적으로 그린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 기존의 전력망에 IT기술을 결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지능형 전력망을 이루는 스마트 그리드 사업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스마트 그리드 구축을 위한 로드맵을 확정하고 이에 기반한 실행계획을 실행하고 있다. 한국의 좁은 국토는 국가단위의 스마트 그리드 구축에 좋은 이점으로 작용하여 세계최초의 스마트 그리드 모델 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러한 순기능에 더해 역기능으로 전력망에 IT기술을 적용함에 기인해 다양한 위협 시나리오가 나타날 수 있다. 이 위협을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보안 기술이며,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 기술은 스마트 그리드 사업의 성패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이를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정보보호관련 법제도도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의 필요성 등을 살펴보고, 스마트 그리드 보안 위협, 위협 대응을 위한 산업체 이니셔티브 등의 국내외 추진 동향을 분석한다.

Special Issues - 스마트 그리드 해외 기술동향 - 일본의 스마트 그리드

  • Cha, Dong-Uk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399
    • /
    • pp.53-55
    • /
    • 2010
  • 대한민국은 2009년 G8 확대정상회의에서 지목한 '향후 세상을 바꿀 7대 신기술' 중의 하나인 스마트 그리드 분야에서 선진국들을 제치고 이탈리아와 함께 선도국가로 지정되었다. 사실 대한민국은 이전부터 '전력IT 10대 과제'라는 형태로 스마트 그리드 관련 기술들을 꾸준히 연구해 오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해외의 스마트 그리드 관련 기술들을 주목해온 것도 사실이다. 이젠 전 세계로부터 스마트 그리드 선도국으로 공식 인정을 받게 된 동시에, 전세계가 주시하고 있는 제주 스마트 그리드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 해외 관련 기술 및 이슈들에 대해 좀 더 심층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지면에서 이미 스마트 그리드를 추진하고 있는 나라들 중, 가장 가까운 이웃 나라인 일본의 스마트그리드 동향에 대해 먼저 살펴 본다.

  • PDF

스마트그리드 정보통신기술

  • Lee, Il-U;Lee, Jeong-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11
    • /
    • pp.3-11
    • /
    • 2010
  • 스마트그리드는 저탄소 녹색성장이 전지구적 과제로 등장하면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그린에너지 산업 혁신의 핵심으로 출현하였다. 대한민국은 에너지 위기 및 기후 변화에 대웅하고 안정적 전력 공급과 효율적 수요 관리 그리고 신성장동력원으로써 필요성을 내세워 스마트그리드를 정책 및 기술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스마트그리드는 전통적인 송배전 역량 강화와 전력 IT화에 따른 사용자 서비스 확장의 2가지 측면에서 진화방향을 모색중이다. 특히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통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ICT)기술을 융합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여, 전력공급자와 소비자 사이의 전력거래에 대한 정보를 양방향, 실시간으로 교환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전력 서비스로서의 역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ICT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그리드 구조와 네트워킹과 정보 인프라로서의 스마트그리드 정보통신 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리해 보고자 한다. 스마트그리드 내에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연계된 통신구조에 대하여 알아보고, 적용 가능한 다양한 통신기술에 대하여 살펴본다. 또한 현재 운영중인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조직 및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중 전력시스템과 종단 응용 서비스 및 부하를 포함하는 에너지기술, 정보기술운영 관점에서의 스마트그리드 상호운용성 및 표준 현황에 대하여 기술해 보고자 한다.

Estimating the Benefit of the Smart Water Grid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조건부가치평가법을 이용한 스마트워터그리드의 편익 추정)

  • Ryu, Mun-Hyun;Choi, Hanju;Suh, Jinsuh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20-120
    • /
    • 2015
  • 기후변화에 대비한 지속가능한 물 관리를 위해 첨단 ICT를 물 관리에 접목한 스마트워터그리드(Smart Water Grid)가 미래 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기되고 있다. 스마트워터그리드를 활용한 안정적인 물공급을 위해서는 다양한 수자원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터그리드의 편익을 산정하기 위하여 조건부가치평가법을 이용하여 스마트워터그리드 사업을 추진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이를 통하여 생기게 될 경제적 상황을 설명하면서 응답자들에게 기꺼이 추가적으로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에 대해 질문하였다. 조사로부터 얻은 정보를 활용하여 과학적인 통계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평균 지불의사를 추정하고 이를 스마트워터그리드 편익으로 산정하였다. 추정결과 2014년 10월 기준으로 스마트워터그리드에 대한 추가지불의사액은 3,514원(원/가구/년)이고 2013년 12월 기준 불변가격으로 환산하면 3,221원(원/가구/년)으로 추정되었다. 2013년 12월 불변가격 기준 스마트워터그리드의 연간 편익은 59,452백만원으로 추정되었다.

  • PDF

스마트그리드와 사이버 보안

  • Lee, Geon-Hui;Seo, Jeong-Taek;Lee, Cheol-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4
    • /
    • pp.23-30
    • /
    • 2010
  • 스마트그리드는 정보통신 기술과 전력망의 융합으로 탄생한 새로운 형태의 차세대 전력망으로, 전력공급의 중추인 스마트그리가 사이버 공격에 피해를 입으면 국가 전력마비와 같은 큰 피해를 입게 될 것이다. 실제 최근 전력망에 대한 사이버 공격 위협이 증가하고 있고 실제 공격 사례도 지속적으로 보고되는 등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사이버 보안 위협은 간과할 수준의 것이 아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사이버 보안 위협과 스마트그리드 사이버 보안성 강화를 위한 국내 외의 다양한 노력에 대하여 살펴보고, 국내 스마트그리드의 보안성 강화를 위해 향후 서둘러 수행해야 할 사이버 보안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스마트그리드 통신 네트워크 구성과 전력선 통신의 역할

  • Yun, Seong-Gu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1
    • /
    • pp.95-101
    • /
    • 2014
  • 정보통신기술과 전력에너지기술의 융합 기술인 스마트그리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스마트그리드 통신 네트워크는 전력 계통 시스템이 송전, 배전, 소비자로 구분되는 것에 맞춰 세 가지로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이 세 부분에서 사용될 스마트그리드 응용 분야를 소개하고 해당 분야가 요구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과 후보 기술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추가적으로 전력선 통신이 스마트그리드 통신 네트워크에 활용될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 Study on Key Influencing Factors in Smart Grid Consumer Engagement (스마트그리드 소비자 수용성 요인 연구)

  • Kim, Hyun-Jae;Park, Ji Hyeon;Bak, Chan-Kook
    • Informatization Policy
    • /
    • v.19 no.1
    • /
    • pp.91-106
    • /
    • 2012
  • We should set up a policy objective to obtain consumer engagement in smart grid and analyze the key influencing factors in smart grid consumer engagement in oder to deploy smart grid successfully. It is because the successful deployment of smart grid depends on whether the end users accept the smart grid products and services. So fa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in Korea which focus on the smart grid consumer engagement. Therefore, we carried out an literature review in terms of smart grid consumer engagement and tried to suggest related policy implications. As a result, we identified key influencing factors such as monetary benefits, environment-friendly characteristics, cyber security and understanding of smart grid. Futhermore, we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customer education, linkage between smart grid policies and other environmental ones, cyber security enhancement, etc.

  • PDF

스마트그리드 표준 기술

  • Park, Chang-M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4
    • /
    • pp.31-37
    • /
    • 2010
  • 본고에서는 그린 ICT기반의 에너지 효율 향상과 $CO_2$ 배출절감을 목표로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성공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표준의 필요성에 대하여 소개하고 표준을 기반으로 스마트그리드 시스템 설계 전략과 한국형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위한 5대 전략서비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하여 스마트그리드 시스템 구성 요소간 상호 호환성 제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IT 인프라 기술인 통신, 정보 기반의 상호 호환성 제공 기술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그리고 통신기반의 상호 호환성 제공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과 통신네트워크 기술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