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건설

Search Result 62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mpirical Study of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to Increase Construction Disaster Prevention Effect - Centered on Construction Machinery (건설재해 예방 증대를 위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실증연구 - 건설기계 중심)

  • Choi,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57-158
    • /
    • 2023
  • 본 연구는 건설기계에 의한 협착 및 충돌재해의 예방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중 건설기계 근접 방지시스템의 재해예방 효과를 분석하여 그 안전성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건설기계 중 재해다발 및 위험성이 높은 굴삭기를 대상으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의 유무에 따라 근로자(1,000명 기준)의 행동 변화를 라이다 센스 장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근로자-건설기계와 최단 이격거리, 위험구역 내 근로자의 체류시간, 위험구역 주변 근로자의 이동 경로 및 체류시간에 따른 근로자의 분포도 등 근로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한 결과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치한 건설기계가 미설치한 건설기계보다 근로자와의 이격거리 확보와 위험구역내 체류시간을 단축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이 건설기계와 관련한 협착 및 충돌 등에 의한 재해로부터 근로자의 안전성을 확보한 결과라 분석되었다.

  • PDF

Smartphone based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스마트폰 기반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 Yoon, Su-Won;Park, Jae-Hyun;Choi, Cheol-Ho;Chin, Sang-Yoo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437-440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은 단순히 일상생활 뿐 만이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건설 산업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많은 건설 기업에서 이미 스마트폰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건설 산업에서 요구되고 있는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이루고자 한다. 건설 산업에서는 건설 현장 관리를 위하여 이미 PDA를 비롯한 여러 기술의 도입을 통해 이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PDA의 경우 PDA가 가진 여러 한계점으로 인하여 도입 효과가 다소 미미하였다. 반면에 스마트폰은 별도의 장비 도입이 아닌 단순히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건설 기업의 현장 인터뷰 및 설문을 통한 요구사항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테스트함으로써 개발 시스템의 효과 및 보완 사항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Activate Field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건설안전 기술의 현장의 스마트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연구)

  • Choi, J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73-174
    • /
    • 2022
  • 최근 건설업계의 높은 사고율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스마트 건설 안전 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며, 일부 제도적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선기관의 효과를 파악하고, 스마트 안전기술의 현장적용 확산을 위한 개선의견을 추가로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건설산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건설현장에서 스마트 안전기술 확산을 위한 제도개선 인식 및 추가요건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스마트건설 안전기술의 현장 적용에 대한 높은 관심이 확인되었으며, 안전관리비, 현장 안전서류 중복 등 일부 문제가 제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의견은 건설현장에 스마트건설 안전기술 도입 및 확산을 위한 향후 제도개선 기준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스마트건설기술의 적용을 위한 건설안전 제도개선 연구)

  • Park, Kyungsoo;Im, Seokbeen;Kim, Sehoon;Koo,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Safety
    • /
    • v.3 no.1
    • /
    • pp.9-1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legal improvements needed for extended application of smart technologies in construction site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t first, a literature review is conducted to define the concept of construction safety. Secondly, the statistics of construction accidents are assessed and systems and policies for construction safety in developed countries are then analyzed. Also, the applicability of smart safety technologies in the field is examined through recent application cases of construction & related industries. Finally, institutional issue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smart technology are assessed and policy improvement directions are then introduced. As a result, additional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ies for small construction sites and continuous policy supports are required.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eline data for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related to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for domestic construction sites.

Empirical Study of Smart Safety System to Increase Construction Disaster Prevention Effect - Centered on Construction Machinery (건설 재해 예방효과 증대를 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실증연구 - 건설기계 중심)

  • Seung-Yong Choi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2
    • /
    • pp.421-43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effects of the Smart Safety System us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construction machinery and demonstrate its safety. Method: Among construction machines, the behavioral patterns of work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mart safety system were analyzed for excavators with high risk and frequent accidents. Result: When the smart safety system was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machine, the safety of workers from accidents caused by constriction and collision with the construction machine was secured.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the smart safety system installed in construction machinery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reduction and major disaster prevention related to construction machin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