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강의시스템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sign of Smart Learning System Based on Gaze Recognition Function (시선인식기능기반 스마트러닝 시스템 설계)

  • Choi, Seung-L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306-309
    • /
    • 2015
  • 현재 태블릿 PC와 스마트기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다양한 분야의 스마트러닝 시스템들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스마트러닝 시스템에서는 학습자가 강의를 정확하게 수강하였는지의 판단은 로그인과 동영상강의의 런닝타임으로 체크하여 학습자가 동영상강의를 제대로 수강하였는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스마트러닝 시스템에 스마트기기의 내장 카메라를 이용한 시선인식기능을 사용하여 학습자가 동영상강의를 수강하는 동안 시선인식이 되지 못하면 동영상이 멈추게 설계하여 강의내용을 끝까지 수강하게 한다. 그리고 각 수강생별로 시선인식이 되지않아 동영상이 멈춘 시간대와 멈춘 시간을 기록하여 강의종료 후 서버에 전송하여 전체 강의시간에 대한 집중도를 체크하며 학습자의 수강여부를 판단하고 같은 강의를 수강하는 여러 학습자들의 자료를 분석하여 교수자가 강의를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설계하려고 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Beacon (비콘 기반의 스마트 출석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Ahn, S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437-440
    • /
    • 2015
  • 대학 강의의 출석정보는 학생들의 강의 참여 상태를 확인하여 성적부여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따라서 교수는 매 강의시간 출석확인을 통하여 학생들의 강의참여도를 파악하고, 이를 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출석확인은 교수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강의시간 중 일부를 할애하여 처리하고 있으며, 이 시간동안은 강의내용과 관련된 활동이 거의 이루어지기 힘들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여 강의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동 출석체크가 가능한 시스템을 도입하는 대학교가 최근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시스템은 출석관리를 위해서 도입되어야 하는 단말기, ID 카드 등의 초기 도입비용이 매우 큰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 출석체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초기 도입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비콘 기반의 스마트 출석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학생들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출석체크에 활용함으로써 강의실에 설치된 비콘 이외에 추가적인 단말기나 ID 카드 등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강의실에 부착된 비콘과 스마트폰 간에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통하여 출석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실시간으로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강의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Smart Attendance Checking System based on BLE using a Beacon (BLE 기반의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출석 확인 시스템)

  • Ahn, Sung-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2
    • /
    • pp.209-214
    • /
    • 2016
  • In an environment of IoT services, sensors to track things and human activities are included as an essential element and smart phone is actively used as a means of collec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from sensors. Especially, wireless communication and NFC provided by the smart phone are key technologies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participants of IoT service.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implement the smart attendance checking system based on BLE using a beac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 university lecture by processing attendance information automatically. Proposed system uses the beacon sensor for being aware of attendance information and the smart phone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is information. The implemented system has the benefit to improve the lecture quality because a professor can minimize attendance checking time and spend a lot of time on the lecture.

Design of Geo-fence-based Smart Attendance System (지오펜스 기반 스마트 출결시스템 설계)

  • Hong, Seong-Pyo;Kim, Tae-Yeu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3 no.6
    • /
    • pp.496-502
    • /
    • 2020
  • The electronic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is being introduced and operated on a pilot basis by some univers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However, most of the related systems have installed and operated the existing barcode and magnetic card systems. Classroom attendance is managed by introducing RF cards, but it causes problems such as recognition distance (less than 5cm) and the need for a check process in which students have to read the card each time with a reader for attendance. Also, it is not possible to respond in real time to the situation of midterm (early leave, absence from the second lecture time, etc.) because it is used in the lecture time of one subject with the record checked onc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various mobile attendance systems proposed to solve these problems are also unable to fundamentally solve problems such as interim attendance and proxy attendance because they check attendance using only the application of a smartphone. In this paper, we use geofencing technology, which is a positioning-based technology that detects the entry and exit of people, objects, etc. in areas separated by virtual boundaries. The proposed system solves the problem of intermediate attendance and alternate attendance by setting the student to automatically record the access record when entering and leaving the classroom set as a geofence with a smartphone. In addition, it also provides a function to prevent unintentional mistakes that occur through the smartphone by limiting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smartphone such as silence, vibration, and Internet use when entering the classroom.

Development of Lecture Assistant Apps Using NFC Protocols (NFC 기반의 강의 도우미 앱 개발)

  • Kim, Dong Kwan;Kim, Min 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93-29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 강의 효율 향상을 위한 학습 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해당 시스템은 교수와 학생의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출석부를 지원하고, 학생의 스마트 폰 사용을 일정 시간 제한할 수 있다. 온라인 출석부는 별도의 서버에서 저장 관리되며,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 방식인 NFC를 통해 출석 유무를 점검한다. 효과적으로 스마트 폰을 제어하기 위해, 인터넷 모드, 매너 모드, 제어시간 등이 결정되며, 결정된 정책에 따라 학생의 스마트 폰은 관리된다.

  • PDF

Design of Smart 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s (스마트 러닝 콘텐츠 관리 시스템 설계)

  • Hwang, Eun-Hyang;Kim, Hae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539-1542
    • /
    • 2012
  • 고정된 컴퓨터에서 학습하는 e-learning에서 탈피하여 이동 중에도 학습이 가능한 u-learning이 필요하여 u-learning의 한부분인 스마트러닝은 급변하는 정보화시대의 교육경향이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상황을 그대로 반영해주는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스마트 러닝이 학습향상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스마트 러닝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최대의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며 스마트기기를 이용해 실제 학습하는 사례를 적용한 동영상 강의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을 분석 설계한다. 각종 콘텐츠를 비롯하여 동영상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여러 학습수단을 배경으로 전체적인 면에서 학습 환경을 살펴봄으로써 학습효과에 보다 나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mplementation of Augmented Reality-based Android Application Service (증강현실 기반의 안드로이드 캠퍼스 정보 서비스 시스템 구현)

  • Han, Jong-Sun;Lim,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392-39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만의 스마트폰 시스템에서 증강현실(AR)을 이용하여 지리정보 및 카메라 화면을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한다. 최근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활용이 많아지고 있으며, 카메라 기반의 영상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많이 확대 되었기 때문에, 증강현실과 지리정보를 연결한 캠퍼스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많이 있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증강현실 기반의 안드로이드 캠퍼스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개별 수업 시간표 정보와 연동하여 학생들이 제 시간에 강의실 및 그룹 토론장소, 회의장소등의 시간, 지리적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면 캠퍼스 강의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Wide Coverage Microphone System for Lecture Using Ceiling-Mounted Array Structure (천정형 배열 마이크를 이용한 강의용 광역 마이크 시스템)

  • Oh, Wooj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4
    • /
    • pp.624-633
    • /
    • 2018
  • While the multimedia lecture system has been getting smart using immerging technology, the microphone still relies on the classical approach such as holding in hand or attaching on the body. In this paper, we propose a ceiling mounted array microphone system that allows a wide reception coverage and instructors to move freely without attaching microphone. The proposed system adopts cell and handover of mobile communication instead of a complicated beamforming method and implements a wide range microphone over several cells with low cost.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unvoiced speech is similar to Pseudo Noise it is shown that soft handover are possible with 3 microphones connected to delay-sum multipath receiver. The proposed system is tested in $6.3{\times}1.5m$ area. For real-time processing the correlation range can be reduced by 82% or more, and the output latency delay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delay adaptive filter.

A Study on the Interactivity of Smart LMS in a University Class (대학 수업에서 스마트 LMS의 상호작용 효과)

  • Choi, Mi-Ya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3
    • /
    • pp.395-404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ractivity of smart LMS. To this end, smart LMS was used for one semester in the English course for economics majors and the surveys about its interactivity were conducted. The findings show that smart LMS enhanced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between students and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and learning contents. Especially in the classroom, the activity bulletin made possible the instructor's immediate feedback about team-based activity outcomes. Also, outside the classroom, Wiki made it convenient for students to collabor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ctivity outcomes in the activity bulletin and course materials uploaded on smart LMS contributed to the interactivity. However, what is recommended to do to increase the interactivity are to prepar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tudents to get used to using smart LMS and smartphones as their learning tool, to test the target systems of smart LMS in advance, and to take proper actions to solve the problems of smartphone's data and battery.

Electronic Attendance-Absence Recording System using BLE Advertising Function of Smartphone (스마트폰의 BLE 광고 기능을 이용한 전자출결 시스템)

  • Lee, Jun-Hyu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1
    • /
    • pp.7-12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electronic attendance-absence recording system using a smartphone that does not require separate BLE(Bluetooth Low Energy) devices and infrastructure by using BLE advertisement technology of smartphone. The existing BLE-based electronic attendance-absence recording system requires a BEL device to be attached to each classroom for services and a separate technology to identify the devices attached to the classroom. Also, due to th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sometimes an error occurred in the electronic conne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o solve the problems about time, place and cost,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conventional Bluetooth beacon system. BLE advertising function of the smartphone that the user is using without BLE devic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infrastructure for electronic attendance-absence recording system.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we designed the system structure and operation flow and constructed the system using the smart phone in actual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