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폰 악성코드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Malware Behavior Analysis based on Mobile Virtualization (모바일 가상화기반의 악성코드 행위분석)

  • Kim, Jang-Il;Lee, Hee-Seok;Jung, Yong-Gyu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5 no.2
    • /
    • pp.1-7
    • /
    • 2015
  • As recent smartphone is used around the world, all of the subscriber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is up to 47.7% about 24 million people. Smartphone has a vulnerability to security, and security-related incidents are increased in damage with the smartphone. However, precautions have been made, rather than analysis of the infection of most of the damage occurs after the damaged except for the case of the expert by way of conventional post-countermeasure.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mobile-based malware analysis systems apply a virtualization technology. It is designed to analyze the behavior through it. Virtualization is a technique that provides a logical resources to the guest by abstract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mputing resources. The virtualization technology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resources by integrating with cloud computing services to servers, networks, storage, and computing resources to provide a flexible. In addition, we propose a system that can be prepared in advance to buy a security from a user perspective.

Malicious application detection method of the Android platform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악성 어플리케이션 탐지 방안)

  • Hwang, Jun-Ho;Kim, Min-Gyu;Kim, Seok-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871-874
    • /
    • 2013
  • 기존 PC에서 발생되는 악성코드가 안드로이드 모바일 플랫폼에서 스미싱 어플리케이션으로 급증하고 있다. 스마트 폰 사용자는 SMS에 의해 악성코드를 설치하게 되며, 악성코드가 소액결제 서비스 인증번호를 가로채어 C&C 서버 등으로 송신함으로써 30 만원 이내의 금전적 손해를 일으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GCM(Google Cloud Messaging)과 MDM(Mobile Device Management)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서 동작하고 있는 악성 어플리케이션을 탐지하고, 악성 행위를 통제시키며 사용자로부터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길 권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Privacy Situation and Countermeasures of Financial Apps based on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모바일 앱 개인정보 침해현황 및 대응방안 (금융,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중심으로))

  • Kim, Bo;Lim, Jong-In;Jo, Yong-Hyu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4 no.6
    • /
    • pp.267-272
    • /
    • 2014
  • Customers who register at mobile banking service through startphone has 40Mil in first quarter of 2014, which was increased 8.5%(3.6Mil) compare to figure from end of year 2013. Average 1 trillion 627.6billion won is dealing through smartphone banking in daily and three for increased psychological bullying caused by malignant code which change normality to maligna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urrent state of affairs of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management authority required in finance smartphone app service and also recommend solution for protecting finance consumers plans to minimized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in smartphone finance app service.

Cloud based Android Mobile Malware Detection Using Stage by Stage Analysis (단계적 분석 기법을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 모바일 악성코드 탐지)

  • Lee, Jina;Min, Jae-Won;Jung, Sung-Min;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076-1079
    • /
    • 2012
  • 스마트폰의 사용이 생활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스마트폰 특징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 할 수 있다는 점이기에 스마트폰의 콘텐츠 시장 또한 빠르게 커지고 있다. 오픈 마켓인 안드로이드의 특성 상 누구나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 원하는 곳에 배포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는 소스도 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폰 보안을 위협하는 악의적인 어플리케이션에 노출되기 쉽다. 개인적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핸드폰의 특징 상 악성코드에 노출 될 경우 전화번호부 유출로 인한 인한 스팸이나 피싱에서 크게는 금융정보 유출까지, 입을 수 있는 피해가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해 단계적으로 악의적인 어플리케이션을 걸러 내고 클라우드 서버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기기를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Study on DNN Based Android Malware Detection Method for Mobile Environmentt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DNN 기반의 악성 앱 탐지 방법에 관한 연구)

  • Yu, Jinhyun;Seo, In Hyuk;Kim, Seungjoo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6 no.3
    • /
    • pp.159-168
    • /
    • 2017
  • Smartphone malware has increased because Smartphone users has increased and smartphones are widely used in everyday life. Since 2012, Android has been the most mobile operating system. Owing to the open nature of Android, countless malware are in Android markets that seriously threaten Android security. Most of Android malware detection program does not detect malware to which bypass techniques apply and also does not detect unknown malware. In this paper, we propose lightweight method for detection of Android malware using static analysis and deep learning techniques. For experiments we crawl 7,000 apps from the Google Play Store and collect 6,120 malwares. The result show that proposed method can achieve 98.05% detection accuracy. Also, proposed method can detect about unknown malware families with good performance. On smartphones, the method requires 10 seconds for an analysis on average.

Counterplan of the XSS Attack to QR Code (QR 코드의 XSS 공격에 대한 대응방안)

  • Bahn, Kee-Bong;Jung, Jae-Wook;Won,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d
    • /
    • pp.102-104
    • /
    • 2011
  •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QR(Quick Response)코드가 새로운 마케팅 및 정보의 전달 수단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또한, QR코드는 인터넷 주소(URL), 사진 및 동영상 정보, 지도 정보, 명함 정보 등을 제공하는 매우 효율적인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으로 무심코 인식한 QR 코드로 인해 악성코드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 사용자 주의가 필요하다. 로그인된 웹 사이트에서 QR 코드를 읽어 웹 브라우저로 접근할 때 XSS(Cross Site Scripting)을 통해 해당 웹사이트의 로그인 정보를 획득하거나 게시판 회원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수정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QR 코드의 XSS 공격에 대한 대응방안을 상세히 기술하여 QR 코드를 사용하는 유저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다.

Smartphone Security Threats and Reality (스마트 폰 보안의 위협과 실태)

  • Son, Young-Su;Hwang, Seon-Ho;Cho, Seong-Hwan;Lee, Gwang-Woo;Kim, Jo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977-978
    • /
    • 2011
  • 21세기 초부터 휴대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었으며 스마트폰 사용량은 급증하였고 위협요소 또한 많아졌다. 본 논문은 스마트 폰을 위협하는 악성코드의 종류와 감염경로를 파악하고 그 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제시한다.

Analysis for Security Accidents and relative methods of Smartphone (스마트폰 보안사고 분석)

  • Kim, Jung-bai;Ahn, Seok-hwa;Yi, Ok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911-913
    • /
    • 2011
  • 스마트폰 보급의 확산으로, 어플리케이션 마켓 및 다양한 인터넷 기반 서비스가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모바일 악성코드로 인한 공격 및 피해가 증가하고 있고 향후에는 더욱 지능화된 다양한 형태의 악의적 행위에 의한 정보 유출, 불법 과금, 부정 사용 등과 같은 보안 위협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스마트폰에서 보안사고의 사례와 취약점을 분석하고 대책 방안을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Feature Extraction and Response Technology of Zombie Smartphone (좀비 스마트폰 특징 추출 및 대응기술 연구)

  • Lee, Daes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6
    • /
    • pp.1374-1379
    • /
    • 2015
  • Malicious network attacks such as DDoS has no clear measures, the damage is also enormous.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a network failure, such as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damage of the communication charge in the case of zombie smartphone is infected, is expected damages of various users. In this study, we extract the zombie smartphone's phenomena and features that appear while the zombie service is running and introduce a corresponding technique to prevent zombie smartphone.

A Smart Phone Banking using motion password Athentication (모션 패스워드 인증방식을 이용한 스마트폰 뱅킹)

  • Song, Jong-Gun;Jang, Won-Tae;Kim, Tae-Yong;Lee, Hoon-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99-201
    • /
    • 2012
  • 스마트폰은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분실과 악성코로 인한 보안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을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 보안 시스템 환경을 이용하여 기존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스마트폰 뱅킹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분실 또는 악성코드를 통해 개인정보 유출, 금전적인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뱅킹 서비스 환경에서 개인정보의 통제 및 보호가 보장되는 개인인증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기존 방식과 더불어 스마트폰의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모션 패스워드 인증방식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