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윈도우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UML Profile for Smart Device Application Modeling based on Windows Phone 7 Platform (윈도우폰7 플랫폼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모델링을 위한 UML 프로파일)

  • Min, Bup-Ki;Kuk, Seung-Hak;Kim, Hyeo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120-123
    • /
    • 2011
  •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폰, 태블릿PC 등)가 모바일 시장에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새로운 스마트폰 플랫폼들이 등장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도 스마트폰 경쟁에 뛰어들기위해 스마트폰의 요소를 강화한 윈도우폰 7을 발표하였다. 윈도우폰7 플랫폼이 현재는 스마트폰만 지원하지만 향후에 iOS나 안드로이드와의 경쟁을 위해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들은 플랫폼은 같으나 디바이스의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하드웨어 장치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설계시점에서 다양한 장치들을 반영할 수 있게 모델링이 되어야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UML의 확장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윈도우폰7 애플리케이션의 모델링을 위한 확장 프로파일을 정의한다. 이를 위해 윈도우폰7이 가지는 특성을 분석하여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와 하드웨어 리소스들을 분류하여 정의하였다. 이에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부분을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윈도우폰7 플랫폼 기반의 새로운 스마트 디바이스가 출시되더라도 쉽게 확장이 가능하다.

적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투명 전도성 다기능 스마트 필름

  • Seo, Mun-Seok;Jo, Ji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311.1-311.1
    • /
    • 2013
  • 건축물의 유리창을 통하여 유입되는 태양광을 조절하여 냉난방 부하를 절감하고자 사용하는 스마트 윈도우 필름(Electrochromic (E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Suspended Particle Display (SPD))의 방식이 있다. 이러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은 건물 외피에 적용할 때 여름철 태양으로부터 유입되는 열선 차폐만을 목적으로 유리를 완전히 불투명하게 가려버리는 것은 맑고 투명해야하는 창호의 기본적인 용도를 무시한 단편적 기술로서,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작동하여 투명하게 할 경우 외부에서 열선이 유입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만들 때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전극필름으로 플렉서블 기판에 투명 전도막이 형성됨과 동시에 적외선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필름을 제조하여 단열 성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스마트 필름의 다양한 적용을 위한 발열 실험도 실시하였다.

  • PDF

Fabriation of Smart Window Using PDLC (PDLC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제작)

  • Kang, Mik-Ki;Yun, Tae-Uk;Han, Ga-Ram;Jang, Jae-Hoon;Kim, Chang-K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58-158
    • /
    • 2010
  • 최근 유리산업은 에너지 절감효과와 친환경 재료의 사용을 바탕으로 하여 기존 유리의 특성을 변화시켜 보다 양질의 재료를 생산해 내고자 한다. 또한 인위적으로 가시광선 전파장에 대한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유리 제작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라는 신소재유리가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 윈도우는 태양광의 투과율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을 윈도우에 삽입함으로써 필름을 장착하는 방식에 비하여 태양광의 투과율이 대폭 신장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고도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액정과 고분자 매트릭스를 혼합한 PDLC용액을 이용하여 $3{\times}4cm^2$ 크기의 스마트 윈도우를 제작하여 유리 두께, 광량, 스페이서 크기에 따른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 PDF

Daylighting Performance of Office Space Applied with Electrochromic Façade System (전기변색 외피시스템 적용 업무공간의 채광 성능 분석)

  • Kim, Jae-Hyang;Han, Seung-Hoo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1
    • /
    • pp.131-140
    • /
    • 2022
  • A smart window is a new building material that can realize energy savings in a building. Smart windows can freely adjust Visible Light Transmittance (VLT) and solar gain coefficient (g-value) according to the situation. Smart windows include such technologies as Electrochromic (EC), Suspended Particle Device (SPD), and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Recent research on building energy savings through the VLT and g-value control functions of smart window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nd meaningful results are being drawn. However, since most of the research is focused on energy savings, research on the indoor environment is somewhat lacking. A building is a space where people live and the comfort of life should be prioritized before energy savings. Therefore, in this study, analysis on the daylight performance of an office space was carried out. Through green building standards such as LEED, BREEAM, CASBEE, and G-SEED, the daylight performance was reviewed according to VLT value changes of the smart window. In addition,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VLT range of the electrochromic façade that can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he smart window used electrochromic control with a wide range of VLT. The study showed that the minimum VLT of a smart window that can satisfy G-SEED is 25% or mo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VLT change of the electrochromic smart window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uniformity of the room. When the LEED standard was applied, the minimum VLT value of the electrochromic smart window that must be maintained according to each orientation of the building was derived.

윈도우즈 폰 7의 보안 체계 연구

  • Park, Min-Woo;Kim, Jong-Myoung;Chung, Tai-Myoung
    • Review of KIISC
    • /
    • v.21 no.1
    • /
    • pp.38-43
    • /
    • 2011
  • 스마트폰은 어플리케이션 마켓의 활성화와 SNS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사람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휴대기기이다.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개인화 할 수 있는 특징을 지녔다. 따라서 스마트폰은 사용자에 따라 다량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 GPS 모듈과 같이 상황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을 내장하고 있어 신뢰할 수 있는 강한 보안 서비스가 요구된다. 윈도우즈 폰 7은 기존의 윈도우즈 시스템이나 Xbox LIVE, Zune, Windows Azure 등과 연동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모바일 운영체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운영체제 중 국내에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윈도우즈 폰 7의 보안 체계에 대해 분석한다.

Fabrication of Visible Light Transmittance-variable Smart Windows Using Phase Retardation Films (위상지연 필름을 이용한 가시광 투과율 가변형 스마트윈도우 제작)

  • Kim, Il-Gu;Yang, Ho-Chang;Park, Young-Min;Hong, Young Kyu;Lee, Seung Hyun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29 no.4
    • /
    • pp.29-34
    • /
    • 2022
  • A fabrication process of smart windows with controllabl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by using retardation films is proposed. The 𝛌/4-phase retardation films that can convert a linearly polarized light into circularly polarized light are achieved through photo-alignment layers and reactive mesogen (RM) coating process. Two sheets of the fabricated retardation films with different orientation angles induced to light transmission mode (45°/-45°) and light blocking mode (45°/45°) for visible wavelength. We evaluated retard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irefringent RM material and found out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film with 𝚫n·d of 𝛌/4-phase. The proposed structure of the smart window exhibited the light blocking ratio improved by more than 20% in the visible wavelength (380 nm to 780 nm).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feasibility of the window structure by applying to a prototype for a smart window with a size of 150 × 150 mm2.

Forensic Evidence of Search and Seized Android and Windows Mobile Smart Phone (압수 수색된 안드로이드와 윈도우모바일 스마트폰의 포렌식 증거 자료)

  • Yoon, Kyung-Bae;Chun, Woo-Sung;Park, Dea-W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2
    • /
    • pp.323-331
    • /
    • 2013
  • There are three ways how to extract forensic evidence from mobile phone, such as SYN, JTAG, Revolving. However, it should be a different way to extract forensic evidence due to the differences of their usage and technology between them(mobile phone and smart phone). Therefore, in this paper, I will come up with extraction method that forensics evidence by search and seizure of a smart phone. This study aims to analyze specifications and O.S., backup analysis, evidence in smart to analyze for search and seizure of a smart phone commonly used google android and windows mobile smart phone. This study also aim to extract forensics evidence related to google android and phone book, SMS, photos, video of window mobile smart phone to make legal evidence and forensics repor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on smart phone forensics technology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mobile forensics technolog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 Virtual Keyboards for the Large Multi Touch Display (차세대 대형 멀티 터치 디스플레이를 위한 멀티 가상 키보드 설계 및 구현)

  • Kim, Junghan;Kim, Inhyeok;Eom, You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73-74
    • /
    • 2013
  • 터치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를 이용한 스마트 폰을 비롯한 스마트 테이블, 스마트 월 등 다양한 HW 플랫폼들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터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이용하는 서비스들은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한명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의 주요 입력 도구인 가상 키보드 역시 마찬가지의 요구사항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환경에서 차세대 윈도우즈 매니저(Wayland/Weston)을 기반으로 가상 키보드 등록, 생성 및 사용 과정에 대해 분석하고, 멀티 가상 키보드를 지원하는 윈도우 매니저를 설계 및 구현한다.

  • PDF

A Smart Window Using Intelligent Controller (지능제어기를 활용한 스마트 창문)

  • Han, Jae-Woong;Kim, Tae-Hoon;Kim, Ju-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749-751
    • /
    • 2022
  • 본 논문은 코로나19로 인해 가정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진 현재 스마트 IoT시스템을 기반으로 각종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창문을 여닫는 "지능제어기를 활용한 스마트 창문"(이하 "윈도우 플러스")을 제안한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가지 센서와 모터,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센서 입력 값에 따라 창문 개폐를 결정한다. 둘째,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과 윈도우 플러스-휴대폰 간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창문에 입력되는 대기 환경 수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셋째, 실내모드와 실외모드를 구분지어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실내 대기 상태를 최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창문의 개폐 여부를 telegram을 통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며, 실내 환경의 보안성을 제공하고. 채팅을 통해 원격제어를 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 수동방식의 창문으로부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자동 환기를 통해 코로나19의 전파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윈도우 플러스"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Fabrication of 3-Step Light Transmittance-variable Smart Windows based on λ/2 Retardation Film (λ/2 Retardation Film을 이용한 3단계 투과율 가변 스마트윈도우 제작)

  • Il-Gu Kim;Ho-Chang Yang;Young-Min Park;Yo-Han Suh;Young Kyu Hong;Seung Hyun Lee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30 no.3
    • /
    • pp.78-82
    • /
    • 2023
  • A fabrication of smart windows with controllabl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in three steps by using λ/2 retardation films based on a reactive mesogen (RM) material and polarizing films is demonstrated. The phase retardation films with a Δn·d value of λ/2 (λ: wavelength) convert the direction of a traveling light to the optical axis of the film symmetrically. In this work, the retard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M thickness were evaluated and henceλ/2 phase retardation film can be fabricated. The phase retardation film with Δn·d of 276.1 nm, which is close to λ/2 (=275 nm @550 nm), was fabricated. The light transmittance of a smart window with the structure of (polarizing film)/(glass)/(alignment layer)/(λ/2 retardation film) was measured in the transmission mode, half mode and blocking mode.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transmittance of the smart window can be controlled in three steps with 35.8%, 27.8%, and 18.2% at each mode, respectively. In addition, by fabricating a smart window with a size of 15×200 mm2, the feasibility of use in various fields such as buildings and automobiles was ver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