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시대

Search Result 82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스마트시대의 기술혁신을 위한 R&D 전략

  • Kim, Heung-Nam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
    • /
    • pp.33-38
    • /
    • 2012
  • 스마트시대는 전 산업분야, 더 나아가 사회 전반에 IT가 활용, 재생산되어 인류 삶의 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시대로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기술(스마트 기술)의 혁신은 타산업과의 융합은 물론, IT산업발전을 위한 총체적(holistic)접근이 요구되며, 단기적이고 금전적인 성과를 지향하기 보다는 비금전적(non-financial)이며, 사회성과 등 미래 성과를 지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스마트시대 기술 진화방향을 생태계(CPND) 활성화 차원에서 조망하고, 혁신을 위한 R&D 전략을 기술도메인의 발굴 및 선택을 위한 기획전략, 효과적 성과창출을 위한 수행전략 그리고 효율성 제고를 위한 성과 활용전략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즉, 미래 스마트시대에 부합하는 기술혁신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공간/아날로그적 형식에서 가상(Virtual) 공간/디지털 형식으로, 폐쇄적 플랫폼에서 개방형 플랫폼으로, 음성/데이터중심에서 지능화된 디바이스로, 대인통신에서 사물통신으로 진화하는 메가트렌드를 고려하여, 지향점에 따른 차별적 기획체계 구축, 다양한 가치생성방식의 활용, 성과극대화형 R&D 수행방식 수립, 그리고 특허경영과 같은 활용체계 구축 등의 R&D 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스마트카/자율주행에서 스마트폰의 역할

  • Son, Dae-Rim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4
    • /
    • pp.34-40
    • /
    • 2016
  • 본고에서는 스마트 카/자율주행에서 스마트 폰과의 연결성에 대해 알아본다. 2008년 스마트폰이 막 등장한 시점에 자동차와의 연결에 대해 연구를 진행했던 당시에는 매우 획기적인 일이었지만 이제는 스마트폰과 스마트카는 연동되는 것이 당연한 시대가 되었다. 스마트폰의 기능 중 자동차와 연동하는 기능이 제공되기 시작했고 스마트 카의 핵심기능으로 마케팅 아이템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차량과 스마트 폰 연결성의 표준화 동향과 스마트 폰 플랫폼 사와 자동차 제조사간의 영역 다툼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다가올 무인주행시대에서 스마트 폰의 역할에 대해 전망해 본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카와 자율주행 차의 컨테츠로 자율주행 네비게이션과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The Case Study of Promising Contents and Promotion Strategy for Smart Era (스마트 시대의 유망콘텐츠 사례분석 및 활성화전략)

  • Park, Yong-Jae;Rim, M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43-444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스마트 기기의 등장과 급속한 확산과 함께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콘텐츠산업의 트렌드를 분야별로 분석해보고, 스마트시대의 유망콘텐츠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스마트 시대의 콘텐츠산업의 주요이슈를 분석하고 콘텐츠산업을 촉진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 PDF

Science Technology - 전기와 식수를 한번에 해결하는 스마트 원자로

  • Kim, Hyeong-Ja
    • TTA Journal
    • /
    • s.134
    • /
    • pp.20-21
    • /
    • 2011
  • 온 지구촌이 '스마트' 열풍이다. 스마트 TV, 스마트폰, 스마트 자동차 등등. 여기에 스마트의 또 다른 프로젝트가 하나 더 있으니, 바로 스마트 소형 원자로 개발이다. 2009년 말 우리나라는 처음으로 UAE(아랍에미리트)에서 400억 달러 규모의 원자력발전 플랜트 수주에 성공하면서 원자력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했다. 하지만 UAE에 건설되는 대형 용량(기당 150만kW)의 원자로는 웬만한 국가의 전력 규모로는 수용하기 힘든 용량이다. 따라서 소형 원자로가 원자력 르네상스 시대의 또 다른 대안으로 떠올랐다. 그것이 바로 스마트 원자로이다.

  • PDF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도래 및 발전 방향

  • Yun, Jang-U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8 no.1
    • /
    • pp.10-22
    • /
    • 2013
  •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의 등장으로 촉발된 스마트혁명은 "똑똑한 매체"라는 이름의 스마트미디어 개념을 탄생시켰으며, 스마트TV를 필두로 디지털 방송 영역에 개방형, 실감형, 참여형, 개인형, 감성형의 특성을 가진 서비스의 등장을 예고했다. 본 고에서는 진화하고 있는 스마트 시대의 미디어의 변화 모습을 살펴보고 그 진화 방향에 대하여 고찰해 본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화로부터 시작된 방송 환경 변화와 스마트 기기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며 융합, 지식, 실감, 사용자경험의 네 가지 관점에서의 스마트미디어 발전 방향에 대하여 고찰한다.

프린팅월드 - 일본 인쇄산업 리포트 'SMATRIX 2020'

  • Kim, Sang-Ho
    • 프린팅코리아
    • /
    • v.12 no.8
    • /
    • pp.124-127
    • /
    • 2013
  •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시대가 열리면서 급격하게 진행된 인터넷의 획기적인 진화가 엄청난 파급력을 행사했고, SNS의 출현도 인쇄업계에 엄청난 변화와 충격을 선사했다. 이른바 스마트시대가 열림에 따라 인쇄업계에서는 전통적인 종이 중심의 매체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플랫폼의 출현을 경험했다. 지난해 설립 25주년을 맞아 사단법인 일본인쇄산업연합회는 '인쇄산업 장래전망검토위원회'를 설치, 인쇄산업비전 발표를 계획한 바 있다. 이번에 발표된 인쇄산업비전은 '인쇄산업이 목표로 하는 미래상은 무엇인가'라든가 '각 사의 개성을 강조하면서도 미래를 스스로 개척해 나가고 성공을 성취할 수 있도록 일조'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

Bluetooth Smart Board (블루투스 스마트 칠판)

  • Cho, he won;Kim, jin seoung;Jeong, im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47-448
    • /
    • 2016
  • 현재 대부분의 학교 혹은 회사에서의 강의와 발표 방식은 강연자의 일방적인 필기와 말하기 방식이다. 또한 거의 모든 사람이 스마트 기기를 최소 하나씩은 가지고 있는 스마트 시대에서 여전히 칠판에 분필로 필기를 하고 화이트보드에 마커로 필기하는 아날로그적인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교육 방식을 스마트 시대에 맞게 바꾸는 방법을 제시한다. 스마트 칠판과 청중들의 스마트 기기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기존의 일방적인 강의 방식에서 양방향 참여 가능한 강의 방식이 가능하다.

  • PDF

스마트폰 정보보호

  • Jeong, Hyeon-Cheol
    • TTA Journal
    • /
    • s.132
    • /
    • pp.28-33
    • /
    • 2010
  • 지난 10년 동안 인터넷은 우리 생활에 가히 혁명적인 영향을 끼쳐 왔습니다. 그러나 지난 10년이 인터넷 혁명의 시대였다고 한다면 향후 10년간은 모바일 혁명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들 이야기합니다. 모바일 혁명 시대의 핵심에는 스마트폰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작년 이맘때쯤 국내에 아이폰이 도입되면서 국내에도 불붙기 시작한 스마트폰 광풍은 모든 비즈니스와 우리 생활에서 혁명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플랫폼 개발업체, 이동통신업체, 단말 기업체, 콘텐츠 개발자 등 다양한 플레이어들이 모바일 생태계 속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들을 탄생시키고 있고, 개인들의 생활속에서도 스마트폰은 깊숙이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 산업 전반과 삶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스마트폰은 과연 안전한 것일까요? 스마트폰은 다양한 앱이 구동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을 가지고 있고, 앱스토어를 통해 누구나 앱 사용자이자 제공자도 될 수 있습니다. 또한, 3G뿐만 아니라 Wi-Fi, Bluetooth, PC Sync 등 다양한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해 줍니다. 이러한 개방성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지만 개방성은 악성코드 감염, 해킹, 프라이버시 침해 등 역기능이 발생할 수 있는 여건도 마련해 주고 있습니다. 실제로 스마트폰 해킹 사고는 국내외에서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고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올 4월에 국내에서도 첫 스마트폰용 악성코드가 발견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524건의 모바일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습니다. 이처럼 스마트폰 해킹은 현실화되어 우리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본 특집에서는 스마트폰 보안과 관련한 정부의 정책방향, 보안위협과 사례, 프라이버시 이슈, 보안시장 전망, 국내외 표준화 동향, 전문인력 양성계획 등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PDF

스마트카 맞춤 인재 양성 : SMART-School

  • Hwang, Seong-Ho;Lee, Yeong-Nam;Heo, Min-Jeong
    • Journal of the KSME
    • /
    • v.57 no.7
    • /
    • pp.30-34
    • /
    • 2017
  • 이 글에서는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카 융합신산업 창출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성균관대학교의 '스마트-스쿨(SMART-School)'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Suggestion on the Key Factors of Smart Education (스마트교육의 핵심요소에 대한 제안)

  • Lee, Sung-Keun;Ryu, Heui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7 no.2
    • /
    • pp.101-113
    • /
    • 2013
  • The rapid spread of smart devices initiated by the launch of iPhone and the development of state-of-the-art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opened up a new chapter for today's age, accelerating a paradigm shift. It is defined as 'the smart era' that is characterized by a DNA of mobile. The meaning of the term 'smart' depends on in which field it is used and who uses it, but the term is basically based on 'human being,' namely people. Accordingly, people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this smart era, and what only people can do will become more important for that reason. In addition, there will be a drastic progress in today's technology, which is expected to make human life more convenient and to even make it possible to read human sentiment and emotion. Such social changes have affected education as well, and the education sector is making prepar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smart education,' as there is a consensus that an absolutely new paradigm shift is mandatory. Smart education is not merely to introduce smart devices, ICT technology and SNS in education. New competent people are required in globalization age, and smart education is to attempt a new education to nurture new competent people. In this study, 4C (that were creativity, collaboration, contents and curation) were suggested as the key factors of smart education, and in which direction smart education should be led in our country was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