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디스플레이

Search Result 31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How to apply foldable display interaction to smart device (폴더블 디스플레이 인터랙션의 스마트 디바이스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Noh, Ji Hye;Chung, Seung Eun;Ryoo, Han Young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5 no.3
    • /
    • pp.151-169
    • /
    • 2016
  •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most optimal interaction in association with available functions if the foldable display is applied to smart devices. For this, I have looked into the flow of development, morphological features and the application areas of the foldable display based on review literature. I have also established five principles of interaction applicable to the foldable display through the study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oldable display interactions and previous research cases. Next, I have conducted user surveys to find the most optimal interactions with the functions of smart devices taken into account. Prior to user surveys, I have classified foldable display interactions into 36 categories based on the five interaction principles of the foldable display. In addition, I have selected 17 major functions of regular smart devices based on relevant documents. Lastly, utilizing concrete interaction methods and functions obtained in this manner, I have conducted user surveys ba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multiple relevant factors and chosen the interaction method that acquired the highest frequency and score as the most optimal one whose detailed description has been provided as well.

A Research of Smart Picture Concept design (Smart Picture 콘셉트 디자인에 관한 연구)

  • Kang, Dong-Kyun;Jhang, Jung-Jin;Roh, Jung-Hwa;Jeung, Ji-Hong;Pan, Young-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984-988
    • /
    • 2009
  • LCD를 이용해 화면상에 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액자는 디지털 카메라 사용의 대중화에 따라 지속적인 매출 증가를 보이고 있다. 디지털액자는 디지털 사진을 볼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LCD)로 된 제품으로써 현재는 디스플레이 시장 및 디지털 액자시장 성장, 디지털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포맷의 동영상을 지원하고, 음악을 재생하는가 하면 네트워크 기술까지 탑재한 다기능 디바이스(device)로 탈바꿈되고 있어 사용자를 위한 디지털 액자의 사용목적 및 기능에 따른 디지털 액자 형태의 세분화와 디자인 콘셉트는 더욱 다양화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디지털 액자와 차별화 된 스마트픽쳐(Smart Picture)라는 제품 개발 콘셉트(Concept)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스마트픽쳐(Smart Picture)라 함은 기존 디지털액자에서의 사진 및 동영상 보여주기 기능이외에도 전용화된 아트웍 (Artwork)형태의 전용화된 콘텐츠와 차별화된 형태와 재질을 가진 디지털액자를 뜻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픽쳐(Smart Picture)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의 일환으로 제품 개발을 위한 콘셉트 디자인(Concept Design)연구를 목적으로 현재 시판되는 다양한 디지털액자와 관련된 사례분석과 디스플레이(Display)가 활용되는 분야 및 사용 콘텐츠(Contents) 사례 연구 조사, 디스플레이 활용분야, 미디어 작품 사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및 아이디어 방향을 설정하고, 설정된 방향을 바탕으로 스마트픽쳐(Smart Picture)에 반영될 수 있는 아이디어 요소 도출 및 구체화 후에 스마트픽쳐(Smart Picture) 콘셉트 디자인 개념 제안까지를 연구 방향으로 한다.

  • PDF

Harmful Factors by Liquid Crystal Display Process and Research Trends on Non-Contact Liquid Crystal Alignment Methods (액정 디스플레이 공정별 유해요인 및 비접촉식 액정 배향 법 연구동향)

  • Kim, Dai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15-21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발생하는 공정별 유해요인 및 연구동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컴퓨터, 텔레비전, 태블릿, 스마트폰 등에서 사용되는 주요 디스플레이 기술로, 빠른 응답속도와 저전력 운영, 높은 해상도 등을 제공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액정 배향 기술은 러빙 천을 사용하는 물리적 배향법과 같은 기존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비접촉식 액정 배향법과 같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과정은 TFT, 컬러필터, 액정, 모듈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화학물질은 작업자에게 노출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해요인의 관리와 분석, 공정의 개선, 그리고 화학 물질 사용 최소화와 같은 기술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최근에는 비접촉식 액정 배향법 및 박막 제작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소자 오염 및 배향 공정 등에서 발생하는 유해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 PDF

스마트폰 중심의 N-Screen 기술

  • Gwon, O-Cheol;Kim, Ju-Seong;Lee, Chang-Geon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7 no.1
    • /
    • pp.51-58
    • /
    • 2012
  • 최근 부각되고 있는 N-Screen 기술은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를 PC, TV, 휴대폰을 통해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와 달리, 본 고에서는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 주변에 있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해 보다 편리하게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N-Screen 기술을 소개한다. 또한, 이러한 스마트폰 중심의 N-Screen 기술의 핵심인 적응형 디스플레이 전환 방법(Adaptive Display Switching Method)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안드로이드 모바일 플랫폼에 적용한 사례를 보인다.

Analysis on Patent Trends for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s (투명전자소자 분야의 특허 동향 분석)

  • Lee, B.N.;Park, W.;Hwang, C.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1
    • /
    • pp.124-131
    • /
    • 2010
  • 지속적인 발전을 해 온 디스플레이 시장은 LCD 시장이 주도하고 있으며, LCD는 2006년 600억 달러에서 2009년에는 62% 성장한 약 980억 달러의 시장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분야 중에서 최근에 각광받는 투명전자소자 관련 분야는 투명반도체, 투명전극, 투명유전체를 기반으로 제조된 전자소자에 관한 기술 분야이며, 투명전자소자는 정보인식, 정보처리, 정보표시의 기능을 투명한 전자기기로 구현함으로써 기존 전자기기의 공간적/시각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투명전자소자는 u-IT 스마트 창에 사용될 수 있으며 스마트 창은 스마트 홈이나 스마트 자동차용 창으로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투명전자소자를 이용한 스마트 창, 스마트 쇼 윈도, 투명 내비게이터 등 투명 IT 전자기기는 2010년부터 시장을 형성해 2015년에 200억 달러 규모로 급성장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투명전자소자 분야에 대한 시장 동향과 전세계 특허 동향을 심층 분석해보고, 아울러 미국에 출원된 특허를 대상으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국제경쟁력을 분석하여 향후 투명전자소자 분야의 연구개발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Implementation of Stereoscopic Image Using 3D Smart Phone (3D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 영상 구현)

  • Jang, Seong-Eun;Lee, Dong-Woo;Kim, Man-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390-391
    • /
    • 2012
  • IT산업은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되던 과거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이동성과 서비스가 결합된 스마트 산업으로 변모하였다[1]. 추세에 맞추어 3D산업도 대형 디스플레이에서 이동성이 있는 3D게임기와,3D 스마트폰과 같이 소형 디스플레이로 초점이 옮겨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 3D영상을 스마트폰으로 처리하기에는 많은 연산량으로 인하여 제약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입체 시청이 가능 3D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하여, 스마트폰에서의 3D 영상처리의 가능성과 향후 개선방법을 제안한다.

  • PDF

휴대용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

  • Han, Jun-G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2
    • /
    • pp.29-36
    • /
    • 2014
  • 일상 생활에서 우리는 스마트 폰을 비롯한 휴대용 디지털 기기를 자주 활용하고 있다. 휴대용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는 단순히 보여주는 출력 용도뿐 아니라 입력 장치로서도 효용성이 매우 높으며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주요 부품으로 그 기술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한편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은 최근 몇 년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몇몇 상용화에 근접한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현재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가 커다란 광학 시스템으로 구현되고 있지만 많은 연구자들은 궁극적으로 휴대가 가능할 만큼 단순하고 경량화된 구조로 실현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아직 휴대용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가 구현되지 못한 현시점에서 앞으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가 구현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 기술들의 동향과 전망을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