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기기 의존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초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이 아동 초기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자 반응성의 단기종단적 매개효과 (The short-term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responsiveness in the effect of mother's smart device overdependence on children's overindulgence tendency)

  • 김연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81-28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어머니 스마트기기 과의존의 영향과 반응성의 매개효과를 단기종단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3-5세 유아-어머니 144쌍(남아 73명, 여아 71명)을 대상으로 시점 1에서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과의존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 6개월 후인 시점 2에서 유아의 몰입경향성과 모-아 상호작용 동안 양육자 반응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스마트기기에 대한 어머니의 과의존과 유아의 몰입경향성은 어머니 보고를 통해, 양육자 반응성은 모-아 상호작용 녹화 자료에 대한 관찰자 코딩을 통해 수집하였다.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시점 1에서의 유아의 몰입경향성을 통제했을 때, 시점 1에서의 어머니의 과의존 경향성은 시점 2에서의 양육자 반응성을 매개로 시점 2의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을 간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을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양육자의 스마트기기 사용 특성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코로나19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와 스마트기기 과의존의 관계 :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with Stress and Smart Devices Overdependence in the COVID-19 Pandemic :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 구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591-597
    • /
    • 2021
  • 사회적으로 스마트기기를 통한 활용교육이 증가하고, 메타버스 등의 다양한 콘텐츠가 증가하면서 하면서 대학생들의 스마트기기의 과의존 또는 중독, 학습효과의 저하 등에 대한 부작용이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의 과의존은 왜 발생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를 통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마음챙김 정도에 따라 이러한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스트레스 대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극적 대처가 높아질수록 스마트기기의 과의존이 낮아지고, 소극적 대처가 높아질수록 과의존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음챙김의 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에 대해 적극적 대처가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과의존은 낮아지며, 마음챙김의 정도가 낮을수록 스트레스에 대해 소극적인 대처가 이루어짐으로 인해 스마트기기의 과의존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스마트기기 과의존 영향 및 결과 요인 고찰: 부모의 자녀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통제 방법, 지도관찰 방법, 주 사용 콘텐츠 종류에 따른 조절효과의 탐색적 분석 (The Influencing Factors and Consequences of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for Infants and Toddlers: An Exploratory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Control Method, Supervision Method, and Type of Contents on Children's Smart Device Use by Parents)

  • 이애리;박용완;오주현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3호
    • /
    • pp.173-199
    • /
    • 2021
  •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 스마트기기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1세 부터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등 사용 시작 시기가 앞당겨 지고 있으며, 영유아 및 미취학 아동의 스마트기기 사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즐거움과 지식 획득의 편리한 수단이 된 스마트기기는 그 혜택만큼이나 중독 및 과의존의 부작용이 이슈화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 현상에 주목하고, 어린 아이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모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인식 및 통제·관찰 행동 측면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자녀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이 결과적으로 아이의 활동성, 감정적 예민성, 사회성 측면의 특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고찰하였고,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대한 영향요인과 그 결과가 조절변수(부모의 자녀 스마트기기 사용 통제방법, 지도관찰 방법, 주 이용 콘텐츠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지 탐색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영유아 자녀들을 위한 부모의 효과적인 스마트기기 활용 방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유의해야 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Analysis of the Difference on Elementary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by Dependence on Smart Devices

  • Lee, KyungHee;Park, Hye-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213-22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과 학업수행능력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스마트기기 과의존 문제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 중 12차 년도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자료를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비계층적 군집화분석(K-means), 일원변랑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Scheffé 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 의존과 학교적응 및 학업수행능력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기기의 의존도가 높은 잠재적 위험군과 고위험군의 학생이 안전군의 학생과 비교해 학교적응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위험군의 학생이 잠재적 위험군과 일반군의 학생과 비교해 학업수행능력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기기 과의존 초등학생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지원과 더불어 학교생활 적응 상담 지원 같은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을 위한 인간 이동성 모델

  • 홍성익;김성진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7호
    • /
    • pp.63-73
    • /
    • 2013
  • 스마트 폰/탭 등 소형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로 모바일 트래픽은 급증하고 있다. 사람이 들고 다니는 모바일 기기에 의해 트래픽이 발생되는 네트워크의 특성상, 그 성능은 사람의 이동 패턴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실험이 필수이나, 실제 모바일 기기들을 사용한 실험은 그 비용이나 소요 시간 등을 고려할 때 불가능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의 이동성 모델을 사용한 다양한 시뮬레이션으로 실험을 대신해 왔다. 본 고에서는 그 동안 제안된 수많은 인간 이동성 모델을 소개하고, 그 특성을 알아본다.

스마트폰 과의존 방지 애플리케이션 평가 및 서비스 주체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Applications for Smart-phone Overdependence Prevention)

  • 임규건;김해연;황혜민;조혜원;안재익
    • 서비스연구
    • /
    • 제12권1호
    • /
    • pp.36-48
    • /
    • 2022
  • 디지털 기술의 발전, 스마트폰 보급의 확대,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인한 스마트폰 사용이 급속히 증가하여 스마트폰 과의존과 인터넷 과의존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의 해결방안 중 하나로 정부 및 민간기업에서는 스마트폰 과의존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과의존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25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FGI 조사방법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과의존 방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기능적, 서비스적 측면에서 평가를 진행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연구결과 기능 평가에서 불법/유해 앱/웹사이트 차단, 스마트폰 이용시간 제한, 스마트폰 이용현황 모니터링의 기능은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비스되고 있어 기본적인 기능이라 볼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만족도 점수도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위치 확인, 스몸비 방지, 몸캠피싱 방지 등의 기능은 효용성은 높으나 수행 정확성이 떨어져 점수가 낮게 평가되었다. 서비스 제공 주체별로 분류하여 보면 정부제공 애플리케이션은 기능들의 정확한 수행 및 사용 편의성 제고가 필요하고, 사용 수준의 스펙트럼을 보다 넓게 고려하여 서비스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통신사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타 통신사와의 연계와 스마트폰 외 스마트기기와의 호환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기타 민간 기업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유지보수의 향상을 위하여 상담원, 챗봇 상담과 같은 AS채널의 개설이 필요하다.

모바일 스마트 기기들 간의 확장성 있는 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자율적인 Ad hoc 네트워크 형성 기법 (Autonomous Ad hoc Network Construction Method for Scalable Media Streaming Between Mobile Smart Devices)

  • 권동우;제희광;김현우;주홍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3호
    • /
    • pp.516-52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소스 미디어를 가진 단일 모바일 스마트 기기로부터 나머지 다수의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 효율적이며 규모 확장성 있는 미디어 스트리밍을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ad hoc 네트워크 구조와 그 구조의 자율적인 네트워크 형성 기법을 제안한다. 스트리밍 트래픽을 분산 전송하는 확장성 있는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서 IEEE 802.11 infrastructure 네트워크와 ad hoc 네트워크를 혼합하여 계층적으로 구성하며, 소스 미디어를 가진 기기는 무선접속점을 통하여 각 네트워크 그룹 소유자에게 스트리밍 트래픽을 전송한다. 이 구조는 특정한 기기 노드의 역할에 의존하지 않고, 기기의 상태 및 성능과 무선 네트워크 상태를 기반으로 한 장치별 경쟁을 통하여 자율적으로 형성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모바일 운영체제 수준의 수정이나 관리자 권한 획득 없이 상용 모바일 스마트 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며, 제안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단일 무선 랜 환경에서 다수의 스마트 기기 간의 효율적인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안하는 계층적 스트리밍 네트워크 구조는 성능 실험을 통하여 단일 IEEE 802.11 infrastructure 네트워크보다 성능 및 규모 확장성 측면에서 더 우수함을 보였다.

스마트폰용 경사시험 앱 개발 (Development of Incline Test Application for Smart Phone)

  • 이경훈;진재훈
    • 선박안전
    • /
    • 통권33호
    • /
    • pp.32-52
    • /
    • 2012
  • 선박의 경사시험에 사용되는 수동식 계측기기는 측정 자체가 사람의 관능에 의존하기 때문에 현장계측자 개인의 경험에 따라 측정 데이타의 신뢰도에 편차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다. 그러나 경험치에 의존하지 않고 경사시험의 신뢰성을 담보할 측정방법의 개선이나 개발은 현재까지 없었다. 경사시험 시 정밀한 계측센서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계측한다면, 선박의 복원성판정에 정확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자식 자이로 센서가 내장된 스마트폰(태블릿 PC)을 이용하여 선박의 경사각을 계측하고, 아울러 그에 따른 선박의 경하 상태의 배수량 및 중량중심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하여 선박 복원성판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PDF

하이브리드앱기반의 자동시험관리 시스템 (Hybrid App based Auto Exam Management System)

  • 허태성;김인겸;김준호;강성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227-228
    • /
    • 2016
  • 본 논문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CBT(computer-based training)를 사용자 지향적인 목표를 두고 개발 하여 체계화, 단순화, 간편화하였다. 오늘날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일상화 되어있어, 과거의 종이에 의존하던 시험시스템이 스마트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의 현재 시험 중 가당 일반화되어 있는 정보처리 기사 자격증 필기시험을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전자 문제깁의 편의성과 휴대성, 접근성에 수익성까지를 고려하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스마트 워치를 이용한 실내 복합 동작 인식 (Indoor Combined Motion Recognitions using Smart Watch)

  • 신규철;김동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71-874
    • /
    • 2016
  • 본 논문은 실내 환경에서 스마트 워치(smart watch)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원시 데이터를 수집, 가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복합 동작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방법들은 다양하다. 특히 최근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들이 각광받으면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인체 동작이나 활동 상태 등의 생체신호를 인식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동작이나 활동 상태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센서를 허리에 부착하는 등의 특정한 상황만을 상정하거나 위성항법장치(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존한 실외 환경에 국한되어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시간을 가정과 직장, 이동 수단 등의 실내 환경에서 소비하는 현대인들의 시간 소비 패턴과는 거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워치의 가속도계(accelerometer), 각속도계(gyroscope), 심박계(heart bit), 압력계(barometer) 등 다양한 센서를 통해 원시데이터를 수집, 가공하여 사용자의 앉기, 서기, 오르막이나 내리막의 걷고 뛰기, 계단의 오르내리기 등 실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복합 동작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