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숲체험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5초

국유림 경영제도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mander's Consciousness of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System)

  • 박경석;이성연;최수임;김현식;정세명;안기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80-390
    • /
    • 2010
  • 본 연구는 국유림 경영제도(공동산림사업 및 국민의 숲 제도)에 대한 수요자의 인지정도 및 참여의사, 제도에 대한 중요성 정도, 제도 참여에 대한 원하는 수혜, 국유림 역할에 대한 중요도, 제도의 목적달성도 등 변수 측정을 통해 국유림 경영제도에 대한 수요자의 의식 차이를 규명하고 동시에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은 국유림 경영제도의 수요자인 제도 미참여 환경단체(158, A Type), 제도 참여 환경단체(181, B Type), 사회 공헌활동 관련 환경백서를 발간하는 기업(169, C Type), 지자체(249, D Type)의 4 Type으로 분류하였다. 조사 결과, C Type의 62.7%는 제도에 참여할 의사를 나타냈고, 참여 희망분야는 나무심기와 숲 가꾸기(56.2%) 등 직접 참여를 선호하였다. 참여 의사가 없는 37.3%는 산림을 활용한 사회공헌보다는 타 분야 사회공헌활동의 이점이 더 크기 때문(72.2%)에 국유림 활용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단, 다양한 국유림 관련 시설(사원 연수 등)이나 산림청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책이 제공된다면 산림을 활용한 사회적 참여를 고려하겠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A Type의 61%는 국유림 경영제도를 사전에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를 활용하지 않은 주요인으로 참여장소의 확보문제, 현지 참여에 대한 번거로움을 제시하였고, D Type은 국민의 숲 제도(3.69)의 산림휴양 교육 문화시설(4.15), 산림레포츠의 숲(3.90) 참여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경기/강원권 지자체에서는 체험의 숲을, 전라/충청권 및 경상권 지자체에서는 산림레포츠 숲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수요자 의사를 반영하는 국유림 경영제도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참여대상, 범위를 확대하는 법적 요건의 정비, 기업의 사회공헌요구에 의한 자발적 참여 유도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방안, 제도 운영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담 비정부 전문기관의 설립 등을 제시하였다.

산림치유 효과 검증 연구의 주요어 분석을 통한 치유 발현과정 해석 (Interpretation of the Forest Therapy Process and Effect Verification through KeyWord Analysis of Literature on Forest Therapy)

  • 박경자;신창섭;김동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1호
    • /
    • pp.82-90
    • /
    • 2021
  • 본 연구는 산림치유인자를 활용한 숲 활동이 면역력증진과 건강증진으로 이어지는 산림치유 효과의 발현과정을 이론적 그리고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산림치유 개념을 정밀화하고 체계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분석자료는 산림치유 관련 기관 웹사이트와 2000년에서 2020년 3월까지 산림치유로 검색되는 33편의 석·박사 학위논문과 33편의 전문학술지 논문의 주요어, 2016년 산림치유 체험수기 공모전 입상작에 나타난 명사와 형용사 빈도수에 근거하여 워드클라우드를 생성하였다. 단어 빈도수를 근거로 한 해석으로 산림치유 요인을 도출하고 치유 효과의 발현과정을 추론하여 산림치유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산림 치유력의 원천은 산림치유인자와 함께 숲에 대한 긍정적 경험과 자연에 대한 태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유효과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을 통해 극대화되고, 신체적 정신적 회복력과 저항력으로 이어지며, 결과적으로 건강증진, 면역력 증진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란 "대상자들의 숲에 대한 긍정경험 및 태도와 산림의 환경요소를 매개로 대상자들의 심리적, 신체적, 영적 회복력을 위한 건강증진 활동"이라 제안한다.

숲 체험 통합 중재가 재가 암 환자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Forest-experience-integration Intervention for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Depression and Resilience)

  • 최연희;하영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9-11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forest-experience-integration intervention in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Methods: The study was done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53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in a community health center in Gyeongsangbuk-do.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26) who participated in the forest-experience-integration intervention and a control group (n=27) who did not participat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in 2011.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C+ 19.0 through $x^2$ 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depression (t=-4.51, p<.001), self-regulation resilience (t=6.95, p<.001), interpersonal resilience (t=10.10, p<.001), positivity resilience (t=9.67, p<.001), and total resilience (t=13.93, p<.001) measurements. Conclusion: The forest- experience-integration intervention delivered to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was an effective method for relieving depression and enhancing self-regulation resilience, interpersonal resilience, positivity resilience, and total resilience, and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아이들의 숲 체험과 그에 대한 인상적인 기억에 관한 질적 탐구 (Qualitative Inquiry on Impressive Memories of Children Experienced in Forest)

  • 진영은;조규성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3호
    • /
    • pp.97-11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inquiry the narratives on the most impressive memories of children experienced in the forest. Considering Pestalozzi's argument that nature is a true teacher, the authors of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and understand what kinds of experiences children did in the forest and what they learned from the experiences via the narratives of the children. In the process of analysis, the children's narratives were classified into 'narrative on the forest,' 'narrative on the most impressive moments,' 'narrative on changes,' and 'narrative on narratives.' Via the narrativ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when, with whom, where, why the children went to the forest and that how their thoughts and behaviors on 'the forest,' 'other people,' and 'oneself from the emotions and experiences in the specific moments in the forest were changed. Furthermore, the thoughts and attitudes of the children on the forest narratives including what they wanted to friends on their experiences in the forest and their impressions on talking about the forest in this research were identified.

  • PDF

청소년의 숲 체험을 통한 치유효과 분석 (An Analysis of Healing Effects through Youth Forest Experience)

  • 송경환;이상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85-396
    • /
    • 2021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atisfaction of agro-healing and analyzed i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gro-healing in the future. First, a survey of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agro-healing found that the ratio of participation was 55.6% (125 people). It is analyzed that more than half of teenagers who have experienced agro-healing programs are willing to participate again. Second, a survey of satisfaction with agro-healing showed the highest improvement in agricultural awareness, including increased public interest value of agriculture. This can be seen as a way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agriculture, as well as the effects of mental and physical health recovery, social integration contributions, and social safety contributions. Third,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awareness on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gro-healing showed that the less significant it was, the higher the awareness,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other words, various information delivery means, such as public relations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raise awareness of agro-healing. Fourth, it can be seen that those with low satisfaction with expected effects such as health recovery, social safety, social integration, and improved agricultural awareness have a clear difference in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gro-healing program,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agro-healing industry in the future.

치유농업프로그램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능적 이미지와 감정적 이미지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Care Farming Program on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Functional Image and Emotional Image-)

  • 오신영;허철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95-112
    • /
    • 2021
  • 본 연구는 치유농업프로그램이 기능적 이미지와 감정적 이미지를 매개하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치유농업프로그램 유형의 하위변수를 원예치유, 가축동물치유, 음식치유, 숲치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전국에 거주하는 치유농업프로그램 체험자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328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2.0과 프로세스매크로 v3.4을 사용하여 매개변수 간 인과관계가 없는 병렬다중매개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치유농업프로그램 유형 중 원예치유를 제외한 가축동물치유, 음식치유, 숲치유는 기능적 이미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유농업프로그램 유형 모두가 감정적 이미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능적 이미지와 감정적 이미지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치유농업프로그램 유형 중 음식치유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나머지는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기능적 이미지는 치유농업프로그램 모두와 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감정적 이미지는 치유농업프로그램 유형 모두와 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프로그램 유형별로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후속 연구로는 본 연구의 매개변수 외에 다양한 의미있는 매개변수의 발굴 연구 또는 조건부과정 모형을 통한 조절된 매개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 대표 도시공원에 대한 평가 - 만족도 및 경관이미지 특성을 중심으로 - (Assessment of Contemporary Urban Parks in Korea - Satisfaction and Landscape Images -)

  • 주신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6-47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 현대조경을 대표하는 공원들을 대상으로 실제 이용자들이 느끼는 만족도, 선호도, 이미지 등을 분석하여 개별 공원의 기능적, 경관적인 차이점과 공통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공원시설 유형으로는 관리상태, 공원활동시설, 편의시설, 동선 및 밀도, 조경 및 휴게시설 등으로 구분되었다. 공원이용행태 만족도에 대해서는 대화, 휴식, 한가로움 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학습, 체험, 경험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공원 이용행태의 유형으로는 공원활동, 정서 및 체험, 자연활동 등으로 구분되었다. 공원의 이미지 분석 결과 조사대상 공원은 주로 안정적이고 편안하며 자연적인 느낌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자연/조화성 요인, 개방감 요인, 독특성 요인 등의 요인으로 요약되었다. 선호도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양호한 선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만족도, 이용행태, 경관이미지, 선호도 등을 기준으로 공원을 유형화한 결과 다목적공원(일산호수공원, 여의도공원, 하늘공원, 양재천, 올림픽공원), 자연적 요소를 가진 종합공원(선유도공원, 평화의 공원), 개방된 도시공간(서울광장, 청계천), 상대적 개선필요 공원(파리공원, 서울숲), 생태공원(길동자연생태공원) 등의 5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유형별 특징에 대한 분석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수도권에 위치한 공원을 대상으로 한 계절 동안 설문조사의 결과로 일반적인 도시공원의 유형화를 위한 기초연구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보다 다양한 도시공원에 대한 일반적이고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겠다.

신월정수장을 재활용한 서서울호수공원 설계 (Design of West Seoul Lake Park in Reusing the Sin-Wol Filtration Plant)

  • 최신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4-30
    • /
    • 2009
  • 일반인들의 접근이 통제되며 도시의 기반시설의 역할을 하던 신월정수장은 서남권의 대표적인 테마체험형 공원으로 조성된다. 도시민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정수장이라는 특수한 기존 성격을 공원 조성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재활용함으로써 도시공원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주변 도시구조와의 단절로 인한 밀집된 주거지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없는 공간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도시속의 섬처럼 떠다니고 있다. 중요한 자원 요소인 숲을 공원의 한 요소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주변 도시구조와 연결하였으며, 도시 공원의 경계를 열고 확장하여 도시민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고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공원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장소와 재료를 활용한 계획으로는 기존의 침전조는 몬드리안 정원으로 여과조는 문화센터로 기존연못은 생태적 연못과 소리분수로 기존관사지역은 열린풀밭(Open Green Field)으로 설계하였다.

덕유산국립공원 건강 숲 체험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호르몬(코티솔)에 미치는 효과 분석 (Effects of Stress Hormone (Cortisol) from the Healthy Forest Experience Program in Deogyusan National Park)

  • 김희경;손석준;허영범;최형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02-513
    • /
    • 2018
  • Objectives: Stress hormone (cortisol) can be used to analyz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and healing effects before and after in blood and saliva. Here it is applied to scientifically validate the effects of the healthy forest experience in Deogyusan Mountain National Park. Methods: A healthy forest experience program was provided to college students (males and females) at Deogyusan National Park. Stress, hormones (cortisol), blood pressure, pulse, oxygen saturation and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jectively analyze the effects of stress hormones before and after. Results: Depression, stress, anxiety, and satisfaction with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in Deogyusan National Park were very high in reliability in terms of Cronbach's Alpha: depression scored 0.910, stress 0.558, anxiety 0.934, program satisfaction 0.826, and program effectiveness 0.894.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utilized the Healthy Forest Experience Program and the 'Health and Medical Center Health Record Book' of the Health Forest Experience Program (Ministry of Environment's Environmental Education Certification Program). In the future, we will seek ways to utilize saliva since it is easier to collect than blood samples and apply the stress hormone cortisol as a saliva authentication program. In addition, by implementing ecological welfare programs in which nature and human beings coexist through systematic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the national park management can utilize ecological, scenic and cultural services wisely. We expect to be able to provide exploration and welfare services.

숲길 특성에 따른 이용객의 이용행태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itor's Behavior as a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orest Trails)

  • 손지원;하시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309-316
    • /
    • 2012
  • 숲길은 산림휴양서비스의 주요한 축으로 기존의 정상정복형 등산문화에서 벗어나 숲길이 가진 자연 및 역사문화자원을 이용한 다양한 활동에 대한 국민의 요구와 수준도 동시에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각 숲길 특성에 따른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이용유형에 적합한 방향으로 숲길의 관리 및 운영, 휴양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접근성, 물리적 속성 등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북한산 둘레길, 울진 숲길, 지리산 둘레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숲길 이용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탐방동기, 이용행태 등에 있어 전반적인 특성을 도출하였고 숲길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북한산 둘레길은 중 노년층의 이용이 많고 등산, 트레킹 및 건강프로그램을 선호하며 인근주민의 가벼운 산책코스로써 이용이 두드러진다. 울진 숲길은 일부러 시간을 내어 방문하는 유형이 많았고, 트레킹 외에도 다양한 체험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산 둘레길은 젊은 층의 이용이 많고, 트레킹에 대한 선호와 보행편의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 다른 숲길에 비해 걷는 것 자체를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