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숭어과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산 숭어과(Mugilidae) 어류, Moolgarda cunnesius (Valenciennes, 1836)의 첫기록 (First Record of Longarm Mullet Moolgarda cunnesius (Valenciennes, 1836) (Mugiliformes: Mugilidae) in Korea)

  • 서연주;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909-915
    • /
    • 2023
  • A specimen of longarm mullet Moolgarda cunnesius (Valenciennes, 1836) belonging to the family Mugilidae was collected from Yerae-dong, Seogwipo-si, Jeju-do Island, Korea, on July 19, 2023, using a hand net. The specimen was identified as Moolgarda cunnesius based on its morphological traits, including pectoral fin reaching the third or fourth spine of the first dorsal fin, anal fin hig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dorsal fin, two dorsal and caudal fin membranes with small melanophores, and a slightly convex interorbital region. Furthermore, molecular analysis, specifically comparison of the 623 base pairs of mitochondrial DNA COI sequences, confirmed that our specimen perfectly matched M. cunnesius. It is well known that the species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Indo-West Pacific Ocean, including the Red Sea, Taiwan, and northern Australia, and this study shows that it also inhabits the Jeju-do Island, Korea. Additionally,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gin-pal-sung-eo' for this species.

한국의 과학기술 어디까지 왔나 - 수산양식기술

  • 장영진
    • 과학과기술
    • /
    • 제32권12호통권367호
    • /
    • pp.20-22
    • /
    • 1999
  • WTO발족 후 농수산물 수입제한 철폐와 한일ㆍ한중 어업협상에 따라 어장이 줄어들어 정부는 어업생산량을 충당하기 위해 대규모 수산양식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우리나라 수산양식기술은 꾸준한 연구로 숭어를 담수로 양식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으며 동해안 해저의 저온해수를 뽑아내 냉수성 어류를 양식하는 공법도 개발중이다. 또 한약재료를 사료에 섞어 먹여 '인삼광어'도 생산하고 있다.

  • PDF

한국산 둥글넙치과 어류 1 미기록종 Asterorhombus intermedius (First Record of the Bothid Flounder, Asterorhombus intermedius (Bothidae,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한송헌;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9-142
    • /
    • 2012
  • 둥글넙치과에 속하는 Asterorhombus intermedius 2개체(표준체장 130.0~143.4 mm)가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해역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첫 번째 등지느러미 주위에 많은 돌기들이 산재하고, 몸과 지느러미에 크기가 다른 어두운 점들이 산재하고 있다. 이 미기록종의 속명과 국명은 각각 "깃털둥글넙치속"과 "깃털둥글넙치"로 제안하였다.

숭어 (Mugil cephalus)의 정액 성상과 정자 운동성 (Milt Property and Sperm Motility of Grey Mullet (Mugil cephalus))

  • 장영진;최윤희;임한규;고강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38-241
    • /
    • 1999
  • 숭어 정액의 종묘생산시 인공수정과 정액의 냉장 및 냉동보존에 대한 적합한 희석액을 찾고자 정액의 성상과 정자의 운동활성을 조사하였다. 숭어 정자의 농도는 $1,11 \pm0.36\times10^{10}/ml$, spermatocrit는 96.7$\pm$2.6이었고, 정 장의 삼투질농도는 370$\pm$6 mOsm/kg, pH는 7.8$\pm$0.1이었다. 정액과 인공해수의 희석비율이 1 : 10일 때 정자의 운동성이 높았으나 20분 후에는 낮아졌으며, 정장의 삼투질농도 보다 약간 높은 인공해수 (482 mOsm/kg)에서 정자의 운동성이 오랫동안 높게 지속되었다. 또한 정장의 pH 값과 비슷한 pH 7$\~$9에서 정자는 활발하게 움직였다.

  • PDF

양식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에서 최초로 분리된 갈고리벌레과 Cymothoids의 특성 연구 (First report and characteristics study of Cymothoids isolated from cultured flathead grey mullet (Chelon haematocheilus))

  • 서한길;오명주;조미영;한현자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03-408
    • /
    • 2023
  •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양식 가숭어에서 최초로 분리된 등각류는 Nerocila japonica와 가장 근연한 종으로 확인되었으나, 향후 형태학적 분류 등 명확한 종 동정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약물의 직접 노출에 의한 구충 효과를 확인한 결과 trichlorfon이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음자극에 대한 어류의 반응행동 (The Response of Fishes to Sound Stimulus)

  • 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6-270
    • /
    • 1985
  • 식이음 및 인공음에 대한 어류의 반응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농어의 식이음 및 인공음을 녹음하고 다시 이들을 수중에 방성하여 농어와 숭어의 반응행동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이음에 대한 양의 주음반응은 농어는 강하게 나타내나 숭어는 미약한 반응을 나타내는 것 같다. 2. 식이음에 대한 양의 주음반응을 일으키게 하는데는 적정음압의 식이음을 방성하것이 효과적이었다. 3. 인공음에 대한 반응은 공시어들은 부의 주음반응을 나타내었다. 4. 시어들을 음원에서 멀어지게 하는데는 방성음의 음압을 증가시켜 방성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 PDF

중국 산둥반도의 조수웅덩이 어류상 (Intertidal Fishes from the Shandong Peninsula, China)

  • 최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4-60
    • /
    • 2008
  • 2006년 8월부터 2007년 9월까지 4회에 걸쳐 중국 산둥반도의 조수웅덩이로부터 어류를 채집하여 서식어종과 분포유형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모두 6목 14과 21속 28종이었고, 이 가운데 망둑어과 어류가 종수와 개체수에서 우점하였다. 모래지역에서 숭어와 가숭어, 문치가자미의 유어들이 주로 채집되었고, 자갈과 바위지역에서는 조피볼낙과 노래미의 유어 그리고 점베도라치가 우점하였다. 한편 지금까지 한국 고유종으로 알려진 고려실횟대와 황해볼낙이 본 조사 해역에서 채집되었다. 따라서 이 2종의 어류는 한국 서해안의 태안뿐만 아니라, 중국의 산둥반도에 서식하는 것이 확인됨으로서 황해 고유종으로 수정됨이 타당하다.

보길도 소하천 담수어류상 및 군집구조 (Freshwater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Small Streams in Bogil Island, Korea)

  • 한정호;박찬서;안광국;백운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2-80
    • /
    • 2017
  •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보길도 일대의 소하천의 12개 조사지점에서 담수어류상 및 어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9과 17속 21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망둑어과(10종, 1,157개체; 상대풍부도 (RA), 40.9%)가 우점과로 나타났고, 아우점과는 잉어과 (3종, 500개체), 숭어과(2종, 168개체)순으로 나타났다. 버들치(RA 20.7%, 397개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우점종은 꾹저구(19.5%, 373개체), 사백어(17.2%, 330개체), 가숭어(8.5%, 163개체) 순으로 나타났다. 보길도에서 채집된 담수어류 중 생활형 구분으로 일차담수어가 9종(42.9%), 주연성 어종 11종(52.4%), 양측회유성 어종 1종(4.8%)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고유종 및 외래어종은 보길도에서 한종도 출현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에 따르면, 종 풍부도 지수 및 종 다양도 지수는 다른 지점에 비해 많은 종이 출현한 부황천 최하류 구간(S8)에서 각각 1.831, 1.957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류구간 (S4)에서 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우점도 지수는 중류구간(S4) 1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하류 구간(S8)에서 0.17로 낮게 나타났다.

영암산 염건 숭어알의 가공과 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cessing and Compositions of Salted and Dried Mullet Roe)

  • 조상준;이종욱;김동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2-251
    • /
    • 1989
  • 전통식 품인 영암 어란의 제조 공정을 체계화 하여 숭어알을 염지하고 정형하여 참기름을 바르면서 건조하여 제조한 염건 숭어알과, 전처리를 동일하게 한 진공건조 숭어알을 저장하면서 지질을 분획하고 그 구성지방산을 분석하고 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숭어알을 채취하여 소금물로 씻고 10% 간장액에 24시간 염지하고 건조판 상에서 두께 1.2cm로 가압하여 정형하고 참기름을 1일 2회씩 바르면서 $20^{\circ}C$, 3m/sec 풍속과 70% R. H.에서 3주간 음건하여 제조하였다. 2. 지질함량이 40.12% 이었고, 유리지질은 62mg/100mg, 결합지질은 36mg/100mg이었으나 저장 중에는 감소하였다. 유리 및 결합지질을 분획하여 얻은 유리 중성지질이 40mg/100mg으로 최대 함량이었으나 9주째는 29mg/100mg까지 감소하였으며 결합중성 및 인지질은 각각 13mg/100mg씩, 당지질은 10mg/100mg이었으며 이들은 저장중에 감소하였다. 3. 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C_{18:2}$, $C_{18:1}$, $C_{18:0}$$C_{16:0}$의 순서로 다량 함유되었으며, 홀수지방산은 $C_{13:0}$에서 $C_{21:0}$까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55% 정도 함유되었으며 저장중 다가불포화지방산의 감소 속도는 신속하였다. 4. 구성아미노산은 18종으로 Glu가 11.17%, Pro이 8.33%, Leu이 7.38%, Lys이 7.26% 및 CySH 이 7.55%로 다량성분 이었으며, 이들의 단백가는 155%, 화학가는 109%이고 필수아미노산비(EAA/TAA)는 $0.4{\sim}0.44$이었다. 또한, 진공건조한 경우의 아미노산 함량은 3주째는 많았으나 저장중의 감소량이 많았다. 유리아미노산은 Pro이 50.6l%로 절반 이상이었고. Trp과 Tyr이 다량 함유되어 총 1,376mg% 이었다.

  • PDF

염건숭어알의 가공과 저장중 당지질의 지방산 함량변화 (Fatty Acid Changes of Glycolipids during Processing and in Storage of the Salted and Dried Mullet Roe)

  • 조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6-271
    • /
    • 1991
  • 염건 숭어알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 조건들은 10%염농도의 간장에 염지하고 두께 1.2cm 정도로 압착하여 70% 습도에서 3m/sec의 풍속 및 $20^{\circ}C$에서 음건하였다. 가공돠 저장기간의 유리 및 결합지질을 분리하여 다시 중성, 당 및 인지질로 분획하였다. 주요구성 지방산은 $C_{16:0},\;C_{18:0},C_{18:1}과\;C_{18:2}$이며 합계량이 7.71mg/100mg 으로 당지질의 77% 정도 점유하였다. 불포화도는 결합당지질은 2.09로 유리당지질의 0.92와 차이가 많았다. 다가불포화 지방산비는 0.10-0.78로 낮았으며 필수지방산함량은 결합당지질의 신선어란 4.23mg/100mg에서 저장 9주째는 거의 소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