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순환수

Search Result 4,850,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 multilayer Model for Dynamics of Upper and Intermediate Layer Circulation of the East Sea (동해의 상, 중층 순환 역학에 대한 다층모델)

  • 승영호;김국진
    • 한국해양학회지
    • /
    • v.30 no.3
    • /
    • pp.227-236
    • /
    • 1995
  • A simple layer model based on isophcnal coordinate is applied to the East Sea to examine the dynamics of circulation. The results confirm the existing knowledge about role of inflow-outflow and wind in driving the circulation. It is found, however, that the buoyancy flux generates quite different circulation pattern; it enhances the inflow-outflow driven circulation and has a convective nature. The circulation considering all these effects resembles the schematic one presently known. In the circulation, the intermediate layer is outcropped in the north off the northern boundary, ventilated here and flows cyclonically in the northern part of basin. This water, however, does not flow southward directly because of the strong eastward (separating from the coast) current in the layer above. This water also loses its potential vorticity while traveling around the periphery of the outcropping region and is thus characterized by minimum potential vorticity in the interior of the basin.

  • PDF

Tissue Engineering for Cardiovascular Diseases

  • Kim, Byeong-Su
    • 순환기질환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5a
    • /
    • pp.78-111
    • /
    • 2004
  • o 골수중간엽줄기세포와 생체재료를 이용하여 소구경 동맥을 조직공학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o G-CSF의 투여는 조직공학적 소구경 인공동맥의 혈관내피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 PDF

Geochemical Study on the Genesis of Chuncheon Nephrite Deposit (춘천 연옥의 기원에 관한 지구화학적 연구)

  • 박계현;노진환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9 no.2
    • /
    • pp.53-69
    • /
    • 2000
  • To reveal the origin of the Chuncheon nephrite deposit, radiogenic isotopes of Sr and Pb, stable isotopes of 0 and H, and rare earth elements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Such geochemical data were integrated to track the stepwise changes during the various ore formation stages. All the samples from the nephrite deposit have significantly low 0 isotopic ratios compared with the marble from which they had been formed, which reflects the very important role of the crustal circulating water with low 6180 and 6D in every stage of ore formation. There were progressive decrease of 6180 and 6D during the genesis of Chuncheon nephrite deposit. Newly formed minerals during the ore formation reveal disequilibrium with existing minerals in the respect of 0 isotope, which suggests that the ore-forming fluid of circulating water origin was involved with significant water-rock ratios in every step of ore formation process. The ore samples have Sr and Pb isotopic ratios similar to the values of Kyeonggi gneiss complex within which the deposit is located, which also suggests the important role of crustal circulating water in the genesis of the deposit. In conclusion, all the geochemical data support that major portion of the ore-forming fluid of Chuncheon nephrite deposit was derived ultimately from the surface water of meteoric origin. The meteoric water supplied Sr and Pb through leaching the rocks surrounding the ore deposits.

  • PDF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the Chatancheon Catchment for the Year 2021 (2021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성분 분석)

  • Kim, Dong Phil;Chung, Il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08-408
    • /
    • 2022
  • 환경부 홍수통제소의 경우는 전국단위의 강수량(지상, 레이더), 하천수위, 유사량 관측과 국부적으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기상청 및 다른 공공기관도 각 목적에 맞게 수문기상관측이 이루어지나 유역(또는 지역) 단위의 물순환 과정(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 토양수분량 등 포함)을 규명하는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개별적인 물순환 성분별 수문조사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관점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수문량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유역(보막교 수위관측소 기준, 유역면적 88.17km2, 유로연장 18.69km, 유로경사 1.62%,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2021년 수문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지표수 물순환 성분인 강우량, 하천유출량, 증발산량의 자료를 산정하였다. 기본 관측자료인 강우량은 각 지점강우량의 관측자료의 비교·검토 등 품질관리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고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위는 기준수위표와의 검토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였으며, 하천유출량은 기존 유량측정성과와 단면검토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확정된 수위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은 유역내의 기상관측자료와 유역인근 3개 관측소(동두천, 파주, 철원)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여 추정한 값이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2021년의 차탄천 유역(보막교 수위관측소 기준)의 총강우량은 1,149.8mm이며, 하천유출량은 701.2mm(총강우량 대비 61.0%), 실제증발산량(잠재증발산량 추정값)은 381.3mm(33.2%)이며, 그 외는 유역 손실량이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understanding of infinite decimal (무한소수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 Park, Dal-Won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0 no.2
    • /
    • pp.237-246
    • /
    • 2007
  • According to 7-th curriculum, irrational number should be introduced using non-repeating infinite decimals. A rational number is defined by a number determined by the ratio of some integer p to some non-zero integer q in 7-th grade. In 8-th grade, A number is rational number if and only if it can be expressed as finite decimal or repeating decimal. A irrational number is defined by non-repeating infinite decimal in 9-th grade. There are misconceptions about a non-repeating infinite decimal. Although 1.4532954$\cdots$ is neither a rational number nor a irrational number, many high school students determine 1.4532954$\cdots$ is a irrational number and 0.101001001$\cdots$ is a rational number. The cause of misconceptions is the definition of a irrational number defined by non-repeating infinite decimals. It is a cause of misconception about a irrational number that a irrational number is defined by a non-repeating infinite decimals and the method of using symbol dots in infinite decimal is not defined in text books.

  • PDF

Evaluation of Seasonal Characteristic of Precipitation Data in Korea by Applying CSEOF analysis (CSEOF 분석을 이용한 국내 강수의 계절적 순환 특성 평가)

  • Cho, Eunsaem;Song, Sung-uk;Na, Wooyoung;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2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종관기상관측장비(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ASOS)의 강수 자료에 CSEOF 분석(Cyclo-stationary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을 적용하여 주요 성분(principle component)을 추출한 후 이를 분석하여 국내 강수의 계절적 순환 특성을 평가고자 하였다. ASOS 자료로는 전국 131개의 ASOS 중에 40년 이상의 월 강수량 자료가 구축되어 있는 47개 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기간은 1978년부터 2018년까지이다. 강수 자료의 월별 공간적인 강수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간적인 순환성을 고려한 CSEOF 분석을 수행하였다. 강수자료의 주성분을 추출해본 결과, CSEOF 분석의 경우 첫 번째 CSEOF 외의 다른 CSEOF들의 원자료 설명 비율 또한 작지 않게 나타나 다양한 강수 변동 특성을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8월의 2nd CSEOF는 한반도 전체의 강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라니냐가 7-8월 한반도 강수에 미치는 영향과 유사하다. 아울러 9월의 2nd CSEOF 결과 또한 남부를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남. 이는 엘리뇨 발생 시 9월의 강수 패턴과 비슷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 태풍과 CSEOF의 상관관계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장마와의 관계도 발견할 수 있었다. 향후, CSEOF 분석 결과에 해석방법이 개발된다면,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강수 계절적 순환 특성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in a MILD combustion waste incinerator with the change of flue gas recirculation inlet location (MILD 연소 폐기물 소각로에서 배기가스 재순환 흡입구 위치에 따른 유동 특성 연구)

  • Ha, Ji Soo;Shim, Sung Hun;Jung, Eung Ho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3 no.3
    • /
    • pp.51-57
    • /
    • 2014
  • A MILD(Moderate and Intense Low oxygen Dilution) combustion, which is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NOx, is considerably affected by the recirculation flow position of hot exhaust gas to the combustion furnace. A numerical analysis was accomplished to elucidate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he MILD combustion incinerator for several cases with or without exhaust gas recirculation. It could be seen from the result of the present numerical study that the flow recirculation could be observed in the upper region over the vertical dividing wall for the case without exhaust gas recirculation. The optimal position of exhaust gas recirculation position was derived by the comparison of %RMS of x directional velocity for the cases with exhaust gas recirculation. The case with the exhaust gas recirculation position at the upper right of free board was the most effective with the smallest value of 57.4% RMS.

A Study on Linking K-DRUM and MODFLOW (강우유출모형(K-DRUM)과 지하수유동모형(MODFLOW) 연계에 대한 연구)

  • Park, Gu Young;Hur, Young Teck;Park, Jin Hyeog;Jang, Su Hyung;Kim, Byung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11-316
    • /
    • 2017
  • 기후변화는 물 관리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주로 강우의 패턴을 변화시키며, 가용수자원의 지역적 편중을 심화시킨다. 기후변화에 적응하며 안정적이고 균등한 용수확보를 위해서는 홍수와 가뭄을 고려한 연속적인 물 순환 해석기술이 필요하다. 강우유출분석은 강우사상에 대한 수문순환과정을 통해 유출량을 산출하는 것으로, 주로 직접유출과 중간유출이 이에 해당된다. 강우발생 이후 무강우기간에 대해서는 기저시간 이후에 발생되는 유출량의 정량적 산출이 필요하다. 기저유출은 강우 발생 시점에 급격히 발생하기보다는 선행강우에 따른 유역 내 지하수위 분포와 대수층의 특성, 하천수위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지하수대의 수리학적 성분들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강우유출모의 시 지표유출량 산정과 지하수유동해석을 통한 기저유출량 산정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 국내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수문모형과 MODFLOW를 연계한 장기유출분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K-DRUM(K-water Distribution Runoff Model)은 K-water에서 자체 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으로 강우유출, 유사, 기초수질항목에 대한 3차원 분석이 가능하다. 본 모형의 A층(표층)은 지표유출을 고려한 운동파법이 적용되었고, B층과 C층(중간층), D층(지하수층)은 선형저류법이 적용되었다. MODFLOW(A Modular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Ground Water Flow Model)는 1980년대 USGS(United State Geolog ical Survey)에서 개발된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지하수유동모형이며, 모듈화 된 구조를 갖고 있어 다양한 패키지 중 필요로 하는 기능을 독립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유역의 장기 물순환 해석을 위해 강우유출모형인 K-DRUM과 지하수유동모형인 MODFLOW를 연계하고자한다. 연계방법은 K-DRUM에서 계산된 D층으로 침루되는 양을 MODFLOW의 함양량으로 적용하고, MODFLOW에서 산출된 기저유량을 K-DRUM의 하천유출에 적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성과를 갈수기 유출해석에 적용하면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age-related increase of arterial wall stiffness on the Cross-bridge dynamics of the cardiac myocyte (노화에 따른 동맥벽 탄성도 저하가 심실세포의 Cross-bridge 동역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적 연구)

  • Jun, Hyung-Min;Shim, Eun-Bo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8.11a
    • /
    • pp.1674-167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심장의 세포 변화에서부터 혈류 순환의 시스템 변화까지 일련의 과정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통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통합 모델을 이용하여 대동맥의 탄성도 변화 따른 Pulse Wave Velocity를 추정하였으며 심근의 수축 Mechanics의 변화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심장은 단순한 구 형상으로 모델링 되었다. 특히 동맥순환의 특성인 Wave propagation 과 Wave deflection의 현상을 모델링하기 위해 기존 모델에서 사용된 동맥계 순환 모델을 수정하였다. 즉 기존의 동맥 모델을 1차원의 운동방정식과 연속방정식을 기반으로 하는 Distributed arterial model로 대체하였다. Distributed arterial model은 혈액의 점성에 의한 에너지 손실, 혈관의 점탄성 효과 그리고 분지 되는 혈관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포함하는 정교한 동맥 순환 모델이다. 정교한 동맥계 순환 모델의 동맥 탄성도 값을 조절함으로써 탄성도 변화에 대한 PWV를 계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치적 방법을 사용하여 노화에 따른 동맥벽 탄성도의 저하가 심근세포의 Cross-bridge 동역학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Hydrologic Components of CAT (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CAT 모형의 수문해석모듈 개발)

  • Noh, Seong-Jin;Kim, Hyeon-Jun;Jang, Cheol-Hee;Lee, Y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9-163
    • /
    • 2009
  •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nalysis Tool)은 기존 개념적 매개변수 기반의 집중형 수문모형과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장점을 최대한 집약하여, 도시유역 개발 전 후의 장 단기적인 물순환 변화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물순환개선시설의 효과적인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물순환 해석 모형이다. CAT은 수문학적으로 균일하게 판단되는 범위를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지형학적 요인에 의한 유출 특성을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개발 공간 단위별로 침투, 증발, 지하수 흐름 등의 모의가 가능하도록 하는 Link-Node 형식으로 개발되었다. 모형의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손쉽게 모형을 적용 관리하고, 여러 시나리오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모의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모든 입력 출력 자료를 Excel이나 텍스트 형식과 연동되도록 하여 프로젝트별 매개변수 관리가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CAT의 수문해석모듈로 증발산, 침투, 유역 유출, 지하수 유거, 하도추적 등의 모듈을 개발하였다. 증발산은 기준 증발산을 외부에서 직접 입력하거나, Penman-Monteith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침투는 토양의 수리전도도에 따른 연직방향 침투 및 사면방향 복귀류를 고려할 수 있다. 노드의 지하수 유거를 고려하여 기존 노드-링크 방식 모형의 장기 유출 해석시 제한점을 보완하였으며, 하도추적을 위해 Muskingum, Muskingum-Cunge, Kinematic wave 방법 등의 해석법을 제공하였다. CAT의 수문모듈을 이용하여 설마천 유역을 단일노드 및 멀티노드로 개념화하여 모의하였으며, 모의결과를 관측유량과 비교한 결과, 두 경우 적절한 범위내의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T의 안정적인 수문해석 기능을 바탕으로 향후 물순환개선시설 모듈과의 결합을 통해 장기 물순환 해석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