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 체계

검색결과 18,591건 처리시간 0.059초

API 정보 저장소를 활용한 동적 재구성 지원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The Dynamic Binding Systems using API Information Repository)

  • 윤석진;김선자;김현수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8-201
    • /
    • 2009
  • 오늘날 운영체계와 미들웨어는 수많은 API를 제공하고 있다. 최종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은 이러한 API를 활용하여 개발되어지고 있다. 기존의 문서와 같은 형태의 API에 대한 기술은 기계가 자동적으로 처리하기 힘들며 개발자 입장에서도 API를 이해하기 위해서 책을 직접 읽고 이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docgen과 같은 도구들이 있으나 결국은 개발자 관점에서는 API를 직접 숙지하여야 하며 응용 프로그램 상에서 직접 운영체계에서 제공하는 API 호출 부분을 작성하여 개발하여야 한다는 부분은 동일하다. 또한 서로 다른 다양한 운영체계에서는 형식은 다르지만 유사한 기능을 제공을 하는 API들이 있으나 개발자는 특정 운영체계의 API에 맞추어서 각각의 운용체계에 맞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PI에 대한 정보에 대한 규격을 정의하고 각각의 API의 기능 및 특성에 대하여 메타 기술언어를 사용하여 기술하여 저장소에 저장해두고 실행시에 이러한 API정보를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과 동적으로 바인딩시켜서 실행시키는 체계에 대해서 논의한다.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려고 하는 API와 운영체계에서 제공하는 API를 동적으로 결합시키는 엔진에서는 운영체계별 API의 차이에 의한 부분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체계를 활용하면 동적으로 재구성 가능한 응용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하부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향후 표준 API를 기술하는데 있어서도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메타 방식의 API 기술표현을 활용하면 보다 정확한 표준 규약 준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도로 명판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New-Address road sign board Management)

  • 황욱철;정민수;박관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96-98
    • /
    • 2000
  • 현행 토지 지번 중심의 주소체계는 불규칙적인 지번의 배열으로 상호 연계성이 부족하여 사회적 비용이 발행, 이러한 문제 해결하고 국가경쟁력을 높이고자 선진국과 같은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주소체계와 정확성, 일관성, 융통성, 경제성 등을 갖출 수 있는 도로방식에 의한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체계적으로 부여하는 새로운 주소 체계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새주소 사업에 있어 핵심이 되는 새주소 관리 시스템과 관리시스템의 부 시스템인 도로명판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제시한다.

  • PDF

고정하용 전산체제

  • 조정완
    • 전기의세계
    • /
    • 제26권2호
    • /
    • pp.10-13
    • /
    • 1977
  • 컴퓨터가 다양한 목적에 이용됨에 따라 신뢰도가 높은 즉 고장허용의 전산체계의 필요성은 증가되고 있다. 임상응용의 경우 컴퓨터의 오동작은 치명적일 수 있고 또 공정제어의 경우 귀중한 자원의 막대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허용의 전산체계에 관한 연구는 필연적이다. 역사적으로 최초의 고장허용의 전산체계는 SAGE와 같은 군사적인 응용에 시도하였다. 2절에서는 이러한 신뢰도가 높은 기계의 시험적인 결과와 실제 운영의 경험에 입각한 고장허용의 전산체계의 설계원리를 논한다. 이어서 3절에서는 현재까지 설계된 고장허용 전산체계의 구조를 기술하며 4절에서는 현재까지 범용의 컴퓨터에 사용한 고장허용기법을 소개한다.

  • PDF

국방 $C^4ISR$ 체계 개발 방향

  • 양병희
    • 국방과기술
    • /
    • 11호통권273호
    • /
    • pp.28-35
    • /
    • 2001
  • 우리 군이 정보전 능력을 갖추기 위한 최우선 과제는 $C^4ISR$체계의 구축이라 할 수 있다. 21세기 지식.정보 중심이 전장에서 $C^4ISR$체계가 가장 핵심적인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므로 $C^4ISR$능력의 확보가 없이는 적의 의도를 적시에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대응 역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군이 미래를 대비하고 향후 정보화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분산된 정보체계를 통합하고 정보화 전문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해야 하며, 21세기 지식.정보 중심의 전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는 국방 $C^4ISR$체계를 중점적으로 개척할 필요가 있다.

  • PDF

K9 자주포 전술적 사격지휘체계 개발성과 및 교훈

  • 조동성
    • 국방과기술
    • /
    • 4호통권278호
    • /
    • pp.22-31
    • /
    • 2002
  • K9 BTCS의 성공적인 개발은 디지털화된 사격지휘 전산장비체계로 종심지원작전, 근접지원작전 그리고 대화력전을 수행하는 여건을 제공하였다. 또한 K9 자주포의 전술적운용 능력과 실시간 타격전력 발휘에 질적인 발전과 변화를 가져다 주었으며, 기존의 BTCS를 기반으로 하여 화력지원 사격지휘체계를 한 단계 높은 화력을 운용하도록 성능개량한 것으로, 무선에 의한 디지털 다중임무수행, 표적획득체계와의 연동운용, 상황도시 등을 윈도우 환경에서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C^4I$체계상에서 SHOOT & SCOOT 전술적 운용과 효과중심의 탄약을 적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였고, 화력집중과 분산을 용이하게 하였다.

  • PDF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의 도메인 지식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omain Knowledge Development of Expert System for the Project Management in the Defense Information Systems)

  • 김화수;문세진;장호석
    • 지능정보연구
    • /
    • 제5권2호
    • /
    • pp.43-61
    • /
    • 1999
  • 국방정보체계는 종류가 다양하고 대규모로 추진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사업관리에 어려움이 많이 따른다. 더구나, 현재 국방정보체계의 사업관리는 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실시하지 않고 수동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고 현재의 소프트웨어 개발 표준인 ISO 12207을 수정 없이 그대로 대규모 실시간 국방정보체계의 소프트웨어 개발사업에 적용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효율적인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관리를 위해서 국방정보체계별로 적절한 개발 생명주기 모델을 선정하고, 각 단계별로 사업관리자가 수행할 태스크를 식별하는 등의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할 때 활용함과 동시에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의 일환으로 최종 산출물에 대한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험평가 방안에 대한 도메인 지식도 개발하여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 구축 시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방정보체계의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식별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관리를 위한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생명주기 모델 선정을 위한 도메인 지식, 생명주기 각 단계별 세부활동을 위한 도메인 지식, 시험평가 방안선정을 위한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도메인 지식을 전문가 시스템 개발도구에서 지원되는 각종 에디터에 사용되는 형태나 IF A, THEN B 형태로 개발하지 않고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베이스에 포함될 지식들을 식별하는 것을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즉, 본 논문에서는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검증하는 용역연구과제로써 프로토타입 혹을 완벽한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한 것이 아니며, 전문가 시스템 개발 시 가장 어렵고 중요한 지식베이스 모듈속에 포함될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도메인 지식이 국방정보체계의 사업관리를 위한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베이스 모듈 구축 시 기초/기반 및 핵심 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출생 및 사망신고체계의 현황과 발전방향

  • 박정한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예방의학회 2001년도 춘계 심포지움 연제집
    • /
    • pp.50-72
    • /
    • 2001
  • 국민건강 수준과 문제점의 파악, 보건사업의 기획 및 평가를 위해 정확한 출생과 사망에 관한 통계자료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출생신고 이전에 신생아가 사망하는 경우에 대부분 출생과 사망 모두를 신고하지 않아 영아사망률을 비롯한 보건통계를 산출하지 못하여 합리적인 보건사업의 기획 및 평가가 어려우며, OECD 회원국으로서 제시해야 할 기본적인 보건통계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행 출생신고자료에는 신생아와 산모의 건강상태에 관한 자료가 없어 보건서비스제공과 모자보건관련 역학적 연구에 활용 가치가 거의 없다. 지역보건의료정보화, 예방접종기록전산화, 미숙아 및 선천성기형아 등록 등 각종 등록 및 전산화사업이 진행중이나 이러한 사업들이 독립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같거나 비슷한 자료의 중복 입력하게 되고, 상호 연계가 되지 않아 자료의 활용성이 낮고, 그 어느 사업도 전체 분모를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전산정보체계의 확립으로 해결할 수 있다. 약 99%의 분만이 의료기관에서 일어나고, 정부의 초고속 통신망을 비롯한 의료기관과 보건소의 전산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전산정보체계를 위한 여건이 성숙되고 있다. 분만의료기관이 산모의 거주지 보건소로 직접 출생신고를 하면 보건소는 적기에 산모와 신생아에게 필요한 보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보건소가 읍 면 동사무소로 출생신고 자료를 전송하면 산모는 동사무소에 가지 않고도 출생신고를 할 수 있으며, 보건통계자료수집과 출생신고관리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정확한 생정통계를 얻을 수 있고, 예방접종기록과 미숙아 및 선천성기형아 등록은 쉽게 해결되고, 완전한 보건사업대상자의 database를 구축할 수 있어 평생건강관리체계의 기틀을 마련하게 된다. 이러한 전산신고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연자 등은 정부의 연구용역사업으로 전산프로그램과 표준신고양식과 신고체계를 개발하여, 포항과 천안시에서 2000년 3월에서 8월까지 시험 운영하였다. 시험운영결과 출생신고율은 99.9%이었으나 신생아사망의 전산신고율은 11.1%로 낮았다. 그러나 일단 출생신고된 신생아의 사망은 반드시 확인될 수 있는 것이 본 신고체계의 큰 장점이었다. 전산신고의 중요한 장애 요소는 현행법상 의료기관이 출생신고를 직접 할 의무가 없으므로 신고를 강요할 수 없고, 의료기관의 일손 부족으로 출생신고서를 충실하게 기재하지 못하는 것과 의료기관간의 전산화 수준의 차이가 심한 것이었다. 의료기관이 직접 신고를 하도록 하기 위하여 모자보건법 등 관련법 개정이 필요하며, 의료기관의 출생신고자료 송부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의료기관 간의 전산화 수준의 차이는 data warehousing과 on-line analytical processing과 같은 기술을 이용하면 해결 가능할 것이다.

  • PDF

토목공사용 정보분류 코드체계의 개발 (Project Informations Classification System for Civil Works)

  • 이배호;강인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897-905
    • /
    • 1994
  • 건설공사 정보분류체계는 공사관리기법의 적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공사의 단계별 발생정보를 네트워크와 연계가 가능하도록 하고, 효과적인 원가관리로서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사관리기법에 적용될 수 있는 표준화된 건설공사 정보분류체계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며, 연구내용은 크게 다음의 3가지로 요약된다: (i) 토목공사 전체를 시설요소, 구조요소, 공사요소의 3단계로 분류하여 코드화한 공사분할체계의 개발, (ii) 적산과 공정 관리등에 관련되는 기타정보들을 포함한 통합 정보체계의 구축, (iii) 전산적용시 입력자료로 활용가능한 연관 데이타베이스의 구축. 본 연구결과 제안된 정보분류체계는 실무설계내역서 등과의 검증결과 공사의 각 단계별로 발생되는 정보들의 체계적이고 표준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상호운용적 분류체계 관리를 위한 반자동 분류체계 관리방안 (Semi-Automatic Management of Classification Scheme with Interoperability)

  • 이원구;신성호;김광영;정도헌;윤화묵;성원경;이민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66-474
    • /
    • 2011
  • 과학기술의 융 복합현상은 21세기 지식 기반 경제하에서 더욱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과학기술 분야를 적절히 분류해내고, 미래의 신성장 분야까지 포용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콘텐츠 관리 서비스 기관이 분류체계 간 상호운용성을 갖을 수 있도록 반자동적인 입수/관리 분류체계 이력관리 및 입수-관리 분류체계 간 매핑 방안을 시스템적 측면에서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수작업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관리적 어려움과 비용적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분류체계를 이용한 관리도의 문헌고찰과 검토 (A Review and Literature Survey of Control Charts Using New Classification Schemes)

  • 최성운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6권27호
    • /
    • pp.51-71
    • /
    • 1993
  • 본 논문은 새로운 3차원 분류체계를 이용해서 관리도의 문헌을 고찰하고 검토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1차원 분류체계는 시간에 따른 연속된 관측치의 관계가 독립인가 자동상판인가로 나누어지며 2차원 분류체계는 독립관측치인 경우 가중치 방법에 따라 Shewart, MA EWMA, CUSUM Charts로 분류되며 자동상관된 관측치인 경우 모델링 방법에 따라 ARIMA, Spectral Charts로 분류된다. 3차원 분류체계는 품질특성인 변수의 수와 종속관계에 따라 일변량과 다변량으로 나누어 진다. 재래식 생산, 자동화 생산, 혹은 장치산업에 적용될 수 있는 관리도가 이 분류체계에 따라 장으로 구분되어 고찰된다. 이는 실무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