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확 시스템

Search Result 29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pplications of MCU with built-in Boost Converter using Energy Harvesting (에너지 수확을 이용한 Boost 컨버터가 내장된 MCU의 활용)

  • Kim, Hyeok-Jin;Chung, Gyo-Bum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89-9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MCU(ATtiny 43U)에 내장된 Boost 컨버터를 이용하여 열전에너지를 수확하고,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ATtiny 43U에 내장된 Boost 컨버터는 1~3[V] 입력전압을 직류 3[V]로 승압하여 ATtiny 43U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킨다. ATtiny 43U의 Boost 컨버터와 열전소자를 활용하여 에너지 수확 시스템을 구성하고 배터리의 필요성을 제거하였으며, 지능형 에너지 수확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PDF

Harvesting Cost of Tree-length Thinning in a Larix leptolepis Stands (낙엽송 간벌작업에서 전간수확시스템의 작업비용 분석)

  • Cho, Koo-Hyun;Cho, Min-Jae;Han, Han-Sup;Han, Sang-Kyun;Cha, Du-S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2
    • /
    • pp.221-229
    • /
    • 2015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broaden our knowledge on the productivity and cost of thinning operations which has become increasingly practiced in Korea. The thinning operations were conducted in a 40-year old larch (Larix leptolepis) stand, including chainsaw felling and processing at the stump, followed by yarding tree-length logs using a Koller K301-4 tower yarder. The logs were further processed and sorted into 1.8 m and 3.6 m log piles at the landing. We used a standard time study method to evaluate key variables that affect the productivity of thinning operations. The total stump-to-pile operational cost was $41,707won/m^3$. The highest cost activity was the yarding phase which cost $20,083won/m^3$ (48.2% of the total cost), followed by the costs of processing treelength materials into marketable log lengths ($12,143won/m^3$; 29.1%), and then by the costs of sorting/piling the processed logs ($5,039won/m^3$; 12.1%). It was interesting to see that felling and processing trees at the stump had low costs at $1,315won/m^3$ (3.2%) and $3,127won/m^3$ (7.5%), respectively. We used the detailed time study data to develop regression equations which were to predict yarding productivity. Our analysis showed that harvesting system cost was highly sensitive to the number of logs, yarding distance and lateral distance per turn, respectively.

Analysis of traction and power requirement for forage harvester (조사료 수확기의 견인력 및 소요동력 분석)

  • Hong, Seongha;Kang, Daein;Cho, Yongjin;Lee, Kyou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0-80
    • /
    • 2017
  • 국내에서 대부분 생산되는 사료(사일리지) 수확 작업은 베일 생산 및 비닐 래핑 작업이 독립적으로 수행되고 있어서 비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사료 수확기는 수집, 롤링, 베일 네트 생성, 래핑, 래핑 종료 및 베일 방출작업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제작하였다. 통합형 다목적 조사료수확기의 설계는 3D 디자인 툴 (CATIA V5R18)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기구부 23 파트 어셈블리, 전기제어 어셈블리, 유압요소기술을 통합하여 통합시작기를 제작하였다. 기초 프레임, 오거장치파트, 픽업장치파트, 하부롤러파트, 상부롤러파트, 하부 프레임 및 주행부 파트, 래핑회전파트, 롤러부 구동 동력부, 유압파트, 전기제어파트, 드로우바파트, 체결 및 컨트롤러 파트 등 25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작기의 견인력 및 소요동력 분석은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Brixius (1987) 제안 모델을 체택하여 분석하였다. 이 Brixius 제안 모델은 견인력 예측에서 토양변수 및 토양강도 특성을 나타내는 원추지수 (Cone Index, CI)를 이용하여 트랙터의 견인력 예측에 사용하였다. 또한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의 소요 견인력을 예측하는데 있어,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이 운용되는 토양조건과 트랙터의 마력에 따른 소요 견인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3수준의 토양조건 (CI: 356 kPa, 543 kPa, 1,429 kPa)을 적용하였으며, 베일의 개당 최대무게는 최고 수준인 옥수수 기준으로 800 kgf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3수준의 CI 조건은 연구팀에서 선행연구과정 (토양특성에 따른 최적 경운작업 시스템 개발, 2006)에서 분석한 전국 10개 지역의 33개 지점의 경반층 CI지수의 측정범위인 1,050-3,170 kPa에 대해 견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열악한 조건 수준을 적용하였다. 각 작업에 사용된 소요동력은 베일 작업시 (ASABE D497.7, 2011) 그리고 래핑작업시 (Zhortuylov et al., 2013)를 사용하였으며 두 소요마력을 트랙터-조사료 수확기 시스템의 필요 소요마력의 합계로 계산하였다.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의 최소 소요 동력, 차축 소요 동력과 PTO 소요 동력을 Zoz and Grisso (2003)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ASAE의 작업속도 및 작업효율을 적용하였는데, 적용된 조사료수확기의 현장 작업효율은 60-86%의 범위이고 일반적으로 70%를 적용하고 이때 작업속도는 2.5-8.0 km/h이며 전형적으로 5.0 km/h를 기준하고 있다. 자주식 (SP; sief-propelled machine) 조사료수확기의 경우 작업속도가 2.5-10.0 km/h의 범위에서 작업효율은 60-85% 범위이다. 적용되는 조사료 수확기의 작업효율인 60-85%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작업효율인 70%를 적용하면 트랙터의 소요동력은 95hp를 적정 작업환경으로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emi-automatic Cabbage Piling System for Tractor Implemented Chinese Cabbage Hervester (트랙터 부착형 배추 수확기용 반자동식 배추 적재시스템 개발)

  • Song, K. S.;Choi, D. Y.;Hwang, H.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7 no.3
    • /
    • pp.211-218
    • /
    • 2002
  • 배추 생산에 있어서 수확, 운반, 적재 작업은 가장 노동이 집약적으로 요구되는 작업들이다. 최근, 여러 종류의 양배추 수화기가 일본과 유럽에서 개발되었다. 하지만 국내에서 재래되는 배추는 크기와 형태에 있어 양배추와는 달라 기 개발 기종의 도입이 어렵다. 또한 수확작업의 생력화 효과는 운반, 정선, 적재 작업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어 출하시의 작업체계를 고려하여 수화에 따른 수집.반출 시스템을 개발하여야 한다. 수확시의 배추는 중량이 25~45 N 정도로 다 작물에 비하여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수확작업의 기계화를 위해서는 수확장치와 더불어 연속적으로 수확되는 배추를 적절하게 수집하여 적재하고 반출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확작업의 생력화 효과를 높이고 생력화 시스템 비용의 절감을 목적으로 작업자 1인에 의해 작업할 수 있는 반자동 형태의 트랙터 부착형 배추 수집, 적재, 반출시스템 시작기를 개발하였다. 시작기는 배추 이송장치, 적재장치, 팔렛 및 반출장치의 3개 부분과 PLC를 이용한 주 제어기로 구성하였다. 배추 수집용기로는 대략 70개의 배추를 담을 수 있는 크기가 1,050 mm$\times$1.050mm$\times$1,000mm 인 접이식 메쉬 팔렛을 사용하였으며 하단부에 롤러 안내판을 부착하여 적재한 팔렛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팔렛을 제외한 전체 시작기의 중량은 235 N 이였으며 크기는 3,940mm$\times$520mm$\times$1,630mm 이었다. 본 연구는 수확장치의 기능 및 생력화 효과를 극대화하고 배추의 손상정도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송장치는 트랙터 부착시 횡공간 점유율을 최소화하도록 하였으며 적재장치는 적재시 배추의 손상을 줄이고 배추가 놓이는 자세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주름관을 부착하였다. 시작기의 실내시험 결과 이송장치는 0.18 m/s~0.36 m/s의 범위에서 적재장치는 0.4 m/s~2.4 m/s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구동하였으며 두 장치를 동시에 구동하여 시험한 결과 이송장치는 0.26 m/s~0.36 m/s, 그리고 적재장치는 0.9 m/s~2.4 m/s 에서 적정하게 안정적으로 구동하였다. 적재장치의 성능에 있어서 1~3단 적재시에는 주름관을 이용하여 적재하고 4~5단 적재시에는 자유낙하에 의한 적재를 수행할 경우 인력에 의한 적재와 거의 동등한 적재량을 보였으며 손상정도는 거의 무시할 정도였다. 트랙터가 0.3 m/s로 주행하는 경우 노지로부터 배추를 뽑아 이송하는 뽑기벨트의 적정속도가 0.46 m/s인 점을 고려할 때 배추 이송 컨베이어는 0.34 m/s 이상의 속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었으며 적재 컨베이어는 2 m/s~2.4 m/s의 속도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였다. 배추의 주간 거리가 대략 30~40 cm 인 점을 감안하면 적재장치는 초당 1개의 적재성능을 보였다. 실내에서 수행한 시스템의 성능은 배추에 큰 손상없이 전반적으로 성공적으로 구동하였으나 향후 노면이 고르지 못한 포장에서의 성능 시험이 필요하다.

Drone-mounted fruit recognition algorithm and harvesting mechanism for automatic fruit harvesting (자동 과일 수확을 위한 드론 탑재형 과일 인식 알고리즘 및 수확 메커니즘)

  • Joo, Kiyoung;Hwang, Bohyun;Lee, Sangmin;Kim, Byungkyu;Baek, Joong-Hwan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6 no.1
    • /
    • pp.49-55
    • /
    • 2022
  • The role of drones has been expand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griculture, construction, and logistics. In particular, agriculture drones are emerging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 of labor shortage and reduce the input cost. In this study therefore, we proposed the fruit recognition algorithm and harvesting mechanism for fruit harvesting drone system that can safely harvest fruits at high positions. In the fruit recognition algorithm, we employ "You-Only-Look-Once" which is a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algorithm and verify its feasibility by establishing a virtual simulation environment. In addition, we propose the fruit harvesting mechanism which can be operated by a single driving motor.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is converted into a linear motion by the scotch yoke, and the opened gripper moves forward, grips a fruit and rotates it for harvesting.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chanism is verified by performing Multi-body dynamics analysis.

Productivity Analysis of Single Truss Tomato Production System for Korean Locations (싱글트러스 토마토 생산시스템의 국내 적용을 위한 생산성 분석)

  • K. C. Ting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8 no.3
    • /
    • pp.164-171
    • /
    • 1999
  • Tomato yield and harvest date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productivity of Single Truss Tomato Production System(STTPS) for four regions in Korea. It was found that the solar radiation was not sufficient to get the maximum tomato yield during the low light seasons. The difference of total annual yield between Suwon and Jinju regions was about 12kg.m$^{-2}$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al ligh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yield. The availability of natural light should be considered in deciding the locations of tomato greenhouses. The harvest date could be adjusted by using supplemental light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lighting control strategies are required for reducing electricity expense.

  • PDF

An Analysis of the Operational Productivity and Cost for the Utilization of Forest-biomass(II) - the Analysis of Operational Cost - (산림바이오매스 이용을 위한 산림작업 공정 및 비용 분석(II) - 작업비용 분석 -)

  • Mun, Ho-Seong;Cho, Koo-Hyun;Park, Sang-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2
    • /
    • pp.230-238
    • /
    • 2015
  • This study was analyzed the operational cost of logging and chipping operations in order to develop the efficient logging operation system for the utilization of forest-biomass. Analysis of the operational cost of logging operation systems, the operation system D which include chain saw, tower-yarder, mini-forwarder and truck was calculated the lowest cost to be $68,498Won/m^3$. In the utilization of forest-biomass, the operation system E which include chipping by mini-chipper at the site, forwarding of chips by mini-forwarder, transportation of chips by truck was estimated to be 90,770 Won/Ton. Thus, These results are determined as an effective operating system for logging operation and the utilization of forest-biomass.

Development of Automatic Sorting and Grading Systems for the Green Perilla Leaves (들깻잎 선별 및 등급 자동화시스템 개발)

  • 정쌍양;장동일;방승훈;송영호;한원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335-340
    • /
    • 2003
  • 들깻잎은 식생활의 변화로 인한 육류소비의 증가와 더불어 수요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들깻잎은 특유의 향취로 인해 육류나 생선회, 영양탕 등의 음식점에서 상추와 함께 대량소비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들깻잎의 수확은 반촉성 재배시 40-50일 뒤부터 수확하게 되며 봄가을에는 10일, 여름에는 5-7일 간격으로 수확한다. 들깻잎의 수확기간은 만생종은 150일, 조생종은 110일 정도이다. 1회 수확 시 보통 주당 1-2장(1마디)의 잎을 수확하며 숙련된 노동자의 경우 7,000-1l,000장 정도의 잎을 수확할 수 있다. (중략)

  • PDF

한국의 농산물 콜드체인시스템 현황과 발전방향

  • Kim, Byeong-Sam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40 no.6
    • /
    • pp.24-33
    • /
    • 2011
  • 콜드체인시스템이란 수확 직후부터 소비자에게 전달될 때까지 전 유통 과정을 적절한 저온을 유지시켜 수확 직후의 신선도 상태 그대로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유통체계로 주요목적은 선도유지, 출하조절, 안전성 확보에 있다.

  • PDF

Harvesting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Pick-up Type Pulse Crop Harvester for Sprout Bean (시험용 수집형 두류 수확기의 나물 콩 수확성능)

  • Choi, Yeong-Soo;Yoo, Soo-Nam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51 no.2
    • /
    • pp.165-173
    • /
    • 2017
  •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pick-up type pulse crop harvester for harvesting sprout bean, its pick-up and discharging grain loss ratios, grain quality such as whole grain ratio, damaged grain ratio, unthreshed grain, and foreign material ratio in grain tank, germination rate of threshed grain, and theoretical field capacity of the harvester were analyzed according to engine speeds of 2000, 2400 and 2800 rpm and harvesting speeds of 0.6, 1.0 and 1.4 m/s. It is considered that the harvester showed optimum performance at the engine speed of 2800 rpm and the harvesting speed of 1.0 m/s, and then average pick-up grain loss ratio of 2.7%, discharging grain loss ratio of 0.5%, whole grain ratio of 99.3%, damaged grain ratio of 0.2%, unthreshed grain ratio of 0.0%, foreign material ratio of 0.2%, and germination rate at 8 days after seeding of 72.8% were shown. It is considered that the harvester has lower grain loss and higher grain quality than the imported bean combines. And also as it could harvest 3 rows of cut and dried sprout bean crop width of which was about 2 m, its effective field capacity was estimated for about 50 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