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행능력향상

Search Result 1,49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Results of Curative Radiotherapy for the Uterine Cervical Cancer (자궁경부암의 근치적 방사선치료 성적)

  • Kim, Hyoung-Jin;Kim, Jung-Soo;Kwon, Hyoung-Cheol;Kim, Jin-Kee;Oh, Byung-Cha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14 no.3
    • /
    • pp.191-199
    • /
    • 1996
  • Purpose : To evaluate 5-year survival rate, patterns of failure and complications of cervical cancer treatment, fifty nine patients treated by curative radiotherapy for the uterine cervical cancer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 From March 1986 to May 1990, fifty nine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uterine cervical cancer were analyzed. According to FIGO stage, there were 2 patients ($3.4\%$) in stage Ib, 2 patients ($3.4\%$) in stage IIa, 31 patients ($52.5\%$) in stage IIb, 15 patients ($25.4\%$) in stage IIIb, 9 patients ($15.3\%$) in stage IV. External RT was per formed by 6 MVLINAC with daily 1.8 Gy, 5 times per week and followed by ICR. A point dose of ICR was calculated to 30-43.66 Gy (median: 34.6 Gy). These techniques delivered total A Point dose of 80.4 to 109.8 Gy (median: 85 Gy). Patients had been followed up from 2 to 110 months (median: 61 months) Results :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 disease free survival rate were $55.9\%$ and $55.0\%$ respectively. According to FIGO stage, the 5-year survival rate for less than IIa, IIb, IIIb, IV were $75.0\%$, $74.8\%$, $26.7\%$, $33.3\%$, respectively. In univariate analysis, the 5-year survival rate for stage IIb and below versus stage IIIa and above revealed $74.8\%$, $29.2\%$ respectively (P<0.005). According to the hemoglobin level during RT, the 5-rear survival rate of was $73.3\%$ for patients with Hg 10 gm/dL or higher, in contrast to $0\%$ for those with lower than 10 gm/dL (p<0.005). In 18 patients with nonbulky tumor (<5cm), the 5-year survival rates were $71.8\%$. The 5-rear survival rates for 18 patients with 5 cm or greater in tumor diameter were $22.2\%$ (p<0.005). The 5-year survival rate for Patient age of above 50 years and below were $65.3\%$ $34.2\%$ respectively (p<0.05). ECOG performance status. pathologic finding, total dose, total treatment tim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verall 5-year survival rate by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e hemoglobin level during RT (P=0.0001), tumor size (p=0.0390), FIGO stage (p=0.0468). Total recurrence rate was $23.7\%$ local failure $15.2\%$ (9/59), distant metastasis $6.8\%$ (4/59), local and distant metastasis $1.7\%$ (1/59). According to the RTOG/EORTC Soma Scales, the late complication rate was $23.8\%$ (14/59) The late complication rate of colorectum and genitourinary tract were $15.3\%$ (9/59), $8.5\%$ (5/59), respectively: 10 patients ($17.0\%$) were grade 2, 3 Patients ($5.1\%$) were grade 3 and one patient ($1.7\%$) was grade 4. The late complications were radiation proctitis, rectal bleeding, radiation colitis, diarrhea and radiation cystitis in decreasing order. Conclusion : For improvement of therapeutic results, prospective randomized trials are recomended to discover new prognostic factors and more aggressive radiation therapeutic methods are needed for poor prognostic patients. The adjuvant chemotherapy or radiation-sensitizing agents must be considered to inhibit regional and distant metastasis.

  • PDF

The Effects of Seeding Pattern and Rate on the Yield and Agronomic Characters of Barley Under Different Cultural Conditions (대맥의 파종양식 및 파종밀도가 몇가지 재배조건하에서의 수량 및 주요실용형질에 미치는 영향)

  • Pyeong-Ki Yim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1 no.1
    • /
    • pp.136-179
    • /
    • 1976
  • Effects of seeding pattern and rate on the yield and some agronomic characters of barley under different cultural conditions were observed at Suweon, Daejeon and Jinju during the barley growing season from 1972 to 1974. Plant height and culm length were increased by dense seeding, shading, heavy fertilization, moving location down to the lower latitude. The tiller number per plant, dry matter weight, leaf number on main stem, percentage of valid tillers, RGR, NAR, and $R_{A}$ were increased by heavy fertilization, sparse seeding, reduced furrow width and drilling likewise the length, width and angle of leaf. The newer cultivar had higher RGR and NAR. The higher yielding cultivars had higher potential for carbohydrate assimilating ability. Straw weight and grain yield were increased by dense seeding, reduced furrow width, drilling, heavier fertilization and moving the location to the south, and then decreased by shading and late seeding. High yield increase by drilling was found in late seeding. The optimum seeding rate for the yield increase were 15l/10a for furrow and 25l/10a for drilling. The spike number type cultivars were favourable for the sparse seeding and the spike weight type cultivars seemed to be suitable to the dense seeding, The repeatability of days to heading due to location and fertilizer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seeding time and seeding method. Repeatability of culm length was extremly high in seeding method and comparatively high in fertilizer level while low in location. The repeatability of yield due to location and seeding methods was comparatively high, but the tendency was different along with different cultivars. Also the repeatability of yield due to the fertilizer level was generally high except cultivar Haganemngi.

  • PDF

Transfer Learning using Multiple ConvNet Layers Activation Features wit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Image Classification (전이학습 기반 다중 컨볼류션 신경망 레이어의 활성화 특징과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이미지 분류 방법)

  • Byambajav, Batkhuu;Alikhanov, Jumabek;Fang, Yang;Ko, Seunghyun;Jo, Geun Sik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4 no.1
    • /
    • pp.205-225
    • /
    • 2018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onvNet) is one class of the powerful Deep Neural Network that can analyze and learn hierarchies of visual features. Originally, first neural network (Neocognitron) was introduced in the 80s. At that time, the neural network was not broadly used in both industry and academic field by cause of large-scale dataset shortage and low computational power. However, after a few decades later in 2012, Krizhevsky made a breakthrough on ILSVRC-12 visual recognition competi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at breakthrough revived people interest in the neural network. The success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s achieved with two main factors. First of them is the emergence of advanced hardware (GPUs) for sufficient parallel computation. Second is the availability of large-scale datasets such as ImageNet (ILSVRC) dataset for training. Unfortunately, many new domains are bottlenecked by these factors. For most domains, it is difficult and requires lots of effort to gather large-scale dataset to train a ConvNet. Moreover, even if we have a large-scale dataset, training ConvNet from scratch is required expensive resource and time-consuming. These two obstacles can be solved by using transfer learning. Transfer learning is a method for transferring the knowledge from a source domain to new domain. There are two major Transfer learning cases. First one is ConvNet as fixed feature extractor, and the second one is Fine-tune the ConvNet on a new dataset. In the first case, using pre-trained ConvNet (such as on ImageNet) to compute feed-forward activations of the image into the ConvNet and extract activation features from specific layers. In the second case, replacing and retraining the ConvNet classifier on the new dataset, then fine-tune the weights of the pre-trained network with the backpropagation. In this paper, we focus on using multiple ConvNet layers as a fixed feature extractor only. However, applying features with high dimensional complexity that is directly extracted from multiple ConvNet layers is still a challenging problem. We observe that features extracted from multiple ConvNet layers address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which means better representation could be obtained by finding the optimal combination of multiple ConvNet layers. Based on that observation, we propose to employ multiple ConvNet layer representations for transfer learning instead of a single ConvNet layer representation. Overall, our primary pipeline has three steps. Firstly, images from target task are given as input to ConvNet, then that image will be feed-forwarded into pre-trained AlexNet, and the activation features from three fully connected convolutional layers are extracted. Secondly, activation features of three ConvNet layers are concatenated to obtain multiple ConvNet layers representation because it will gain more information about an image. When three fully connected layer features concatenated, the occurring image representation would have 9192 (4096+4096+1000) dimension features. However, features extracted from multiple ConvNet layers are redundant and noisy since they are extracted from the same ConvNet. Thus, a third step, we will us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o select salient features before the training phase. When salient features are obtained, the classifier can classify image more accurately, and the performance of transfer learning can be improved. To evaluate proposed method, experiments are conducted in three standard datasets (Caltech-256, VOC07, and SUN397) to compare multiple ConvNet layer representations against single ConvNet layer representation by using PCA for feature selection and dimension reduction. Our experiments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feature selection for multiple ConvNet layer representation. Moreover, our proposed approach achieved 75.6% accuracy compared to 73.9% accuracy achieved by FC7 layer on the Caltech-256 dataset, 73.1% accuracy compared to 69.2% accuracy achieved by FC8 layer on the VOC07 dataset, 52.2% accuracy compared to 48.7% accuracy achieved by FC7 layer on the SUN397 dataset. We also showed that our proposed approach achieved superior performance, 2.8%, 2.1% and 3.1% accuracy improvement on Caltech-256, VOC07, and SUN397 dataset respectively compare to existing work.

축산식품중(畜産食品中)의 Cholestrerol에 관(關)한 고찰(考察)

  • Han, Seok-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1995.11a
    • /
    • pp.1-48
    • /
    • 1995
  • 식생활은 인간 생활의 주체이고 먹는다는 것은 그 수단이다. 그중 중요한 하나의 명제는 인간이 놓여진 여러 환경에서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고 그 개체가 소유하고 있는 능력을 최대치까지 생리적으로 성장 발전시킴과 동시에 최대한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식물 섭취방법을 마이크로 레벨까지 해명하는데 있다. 인간은 일생동안 엄청난 양의 음식물을 먹는다(70세 수명일 경우 200만 파운드 즉 체중의 1,400배). 그러나 먹기는 먹되 자신의 건강과 장수를 위하여 어떤 음식을 어떻게 선택하여 어떻게 먹어야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나라도 국민 소득이 늘면서 식생활은 서구화 경향으로 기우는 듯하다. 공해를 비롯한 수입식품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자연식과 건강식을 주장하는 소리가 높이 일고 있다. 그중에는 축산 식품이 콜레스테롤 함량이 다른 식품에 비하여 높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심혈관질환의 주범인양 무차별 강조하는 나머지 육식공포 내지는 계란 등의 혐오감 마저 불러 일으키는 경향까지 있는 듯하다. 따라서 본논고에서는 축산식품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수준이 과연 성인병의 주범인지 아니면 다른 지방산과 관련해서 올바르게 평가하고 그 문제점과 대책을 개관해 보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은 유사이래 본능적으로 주변의 식물이나 동물의 고기를 먹고 성장하여 자손을 증식시키고 어느 사이에 늙으면 죽음을 맞이 하는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기나긴 세월동안 진화를 하여 오늘날의 인간으로서의 자태를 이루었다. 유인원과 같은 인류의 선조들은 수렵을 통해 육식을 많이 하였을 것이므로 인간은 원래 육식동물이 아닐까? 구석기시대의 유물을 보면 많은 뼈가 출토되고 “얄타미라”나 “라스코” 동굴벽화가 선명하게 묘사되고 있다. 2. 우리나라 선조 승구족의 일파가 백두산을 비롯한 만주 송화강 유역에 유입되면서 수렵과 목축을 주요 식품획득의 수단으로 식품문화권을 형성하면서 남하하여 한반도 민족의 조상인 맥족(貊族)으로 맥적(貊炙)이라고 하는 요리(오늘날의 불고기)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3. 인간의 수명을 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뉴질랜드가 세계최장수국(호주는 2위)로서 평균수명은 남자 58세, 여자 69세인 반면 일본과 한국은 당시 남자 36세, 여자 37세이던 것이 일본은 1989년에 이르러 세계 최장수국으로 등장했으나 1990년 당시 뉴질랜드${\cdot}$호주 등은 목축 및 밀(小麥) 생산국가였기 때문이라는 것과 일본은 오늘날 합리적인 식생활 국가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4. 우리나라 10대 사망원인중 (1994년도) 뇌혈관질환이 1위, 교통사고 2위, 암이 3위 순위로서 연령별로는 10~30대의 불의의 사고(교통사고), 40~60대는 암, 70대 이상은 뇌혈관질환이 가장 많다. 구미${\cdot}$일 7개국 정상국가들은 심질환 사망이 가장 높다. 5. 식생활의 변화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주식으로 섭취해 왔던 곡류는 70년 대비 94년에는 0.7배 감소된 반면 육류 5배, 계란 2.4배, 우유는 무려 29.3배 증가되었다.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 경향으로 바뀌는 것 같다. 6. 71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국민 1인당 1일 평균 13.1g에 섭취에너지의 5.7%수준이었으나 92년도에는 34.5g으로서 총에너지 섭취량의 16.6%에 달하고 총섭취 지방질중 동물성 섭취 비율은 47%를 차지 한다. 국민 평균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80년에 비해 88년에는 11%가 증가되었고 80년에 210mg/dl 이상 되는 콜레스테롤 혈증인 사람의 비율이 5%에서 88년에는 23%로 크게 증가했다. 7. 세계 정상국가들의 단백질 즉 축산식품의 섭취는 우리나라보다 적게는 2배, 많게는 6~7배 더 섭취하고 90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일본의 1/3수준에 불과하다. 8. 콜레스테롤은 인체를 비롯한 모든 동물체에 필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체내 존재하고 있는 총량은 90~150g, 이중 혈청콜레스테롤은 4%(6g)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아주 적은 콜레스테롤에 일희일비(一喜一悲) 논쟁은 60~70년 끄러오고 있다. 9. 콜레스테롤의 생체내 기능으로서는 (1) 세포벽의 지지물질 (2) 신경세포 보호막물질 (3) 담즙산의 합성 (4) 비타민 D의 합성 (5) 임신시에 반듯이 필요한 분자 (6) 기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필수적인 물질이다. 10. 우리가 식이를 통해서 섭취 콜레스테롤을 550mg정도를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이 정도의 양은 배설 소모되는 양과 거의 맞먹는 양이다. 피부와 땀샘에서 소실되는 양만도 100~300mg에 달하기 때문에 미국농무성에서 섭취량을 300mg로 제한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11. 콜레스테롤 운반체로서의 지단백질은 그 밀도가 낮은 것으로부터 킬로미크론(chylomicron), 초저밀도 지단백질(VLDL), 저밀도 지단백질(LDL) 및 고밀도 지단백질(HDL)으로 나누는데 LDL은 혈청콜레스테롤 중 약 70%, HDL은 약20%를 함유한다. 12.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음식을 통해서 섭취되는 콜레스테롤 중 단지 10~40%정도가 흡수되고, 체내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이 증가할수록 식이콜레스테롤은 실제 혈청콜레스테롤 수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식이중함량에 대하여 공포를 느끼고 기피할 필요가 없다. 2) 고도불포화지방산, 단가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의 비 즉 P/M/S의 비가 균형되도록 권장한다. 3) 동맥경화를 비롯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혈전증에는 EPA의 양을 높여줌으로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4) 오메가6지방산 아라키도닉산과 오메가3지방산인 EPA로 유도되는 에이코사에노이드 또는 프로스타노이드는 오메가6와 3지방산을 전구체로 하여 생합성되는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이다. 5) 사람은 일반적으로 20세에서 60세까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60세 이후부터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심장보호성 H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반면에 죽상경화성 LDL콜레스테롤은 증가한다. 6) 높은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심장병 발생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좋은 HDL이라 부르고, LDL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유전적 요인보다도 환경적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7) 이것은 생활 형태와 영양섭취상태를 포함해서 개인적 생활패턴에 영향을 받는다. 8) 많은 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은 노년의 가령(加齡)에 적응하기 위한 자연적 또는 생리적인 세포의 생화학적이고 대사적인 기능을 위해 필수적일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 점으로 미루어 노년의 여성들을 위한 콜레스테롤 농도를 200mg/dl이 가장 알맞은 양이 아닌 듯하다. 9) 스트레스는 두가지 모양으로 유발되는데 해로은 스트레스(negative), 이로운 스트레스(positive)로서 긴장완화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10% 떨어진다. 10) 자주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혈중 HDL콜레스테롤치가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높다. 육체적인 운동의 정도와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와는 정비례한다. 11) 흡연은 지방을 흡착시키므로 혈전증의 원이이 되며 혈관속의 HDL농도를 감소시킨다. 12) 에너지의 과잉섭취에 의한 체중 증가느 일반적으로 지단백질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간에서는 콜레스테롤 과잉 생산과 더불어 VLDL콜레스테롤의 LDL콜레스테롤 혈증을 나타냄으로 운동과 더불어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3.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조절기술 1) 식품의 우열을 평가할 때 단순히 동물성 또는 식물성 식품으로 분류해서 총괄적으로 논한다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것은 그 식품에 함유하고 있는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 2) 인체의 원할한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P /M /S비율 뿐만 아니라 섭취 지방질의 오메가6 /오메가3계 지방산의 비율이 모두 적절한 범위에 있어야 하며 한두가지 지방산만이 과량일 때는 또 다른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3) 닭고기는 오메가6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중에 등푸른 생선이나 어분이나 어유를 첨가하여 닭고기는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됨을 알 수 있다. 4) 오늘날 계란내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난황내의 오메가 3계열 지방산 함량을 증가시킨 계란의 개발이 활발해졌다. 14. 계란 콜레스테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계란의 클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과제가 등장하면서 그 기술개발이 여러모로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15. 계란의 콜레스테롤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난황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16. 계란 중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치는 표현 방식에 따라서 소비자들을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비색법으로 분석했으나 오늘날은 효소법으로 분석하면 분석치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17.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버터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물리적${\cdot}$생물학적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현장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직 없다. 18. 우리나라에서 이미 시판되고 있는 DHA우유가 선보였고 무콜레스테롤 버터의 경우 트란스(trans)형 지방산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을 것이다. 끝으로 국가 목표의 하나는 복지사회 건설에 있고 복지국가 실현에는 국민 기본 욕망의 하나인 식생활 합리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소득이 늘고 국가가 발전해감에 따라 영양식${\cdot}$건강식 및 기호식을 추구하게 됨을 매우 당연한 추세라 하겠다. 우리의 식생활이 날로 향상되어 지난날의 당질 위주에서 점차 축산물쪽으로 질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고무적임에 틀림없다. 이 축산물을 통한 풍요로운 식의 문화를 창출하면서 건강과 장수 그리고 후손에 이르기까지 번영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에 심혈을 기우려야 할 때이다.

  • PDF

Experimental Studies on the Antitumor Effects of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진령탕가감방의 항종양효과(抗腫瘍效果)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 Jeong, Jun-Tak;Moon, Goo;Moon, Suk-Jae
    •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ONCOLOGY
    • /
    • v.4 no.1
    • /
    • pp.37-53
    • /
    • 1998
  • The sprig of Jinryungtang Gagambang has been used for curing as a traditional medicine without any experimental evidence to support the rational basis for their clinical us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ssible therapeutic or antitumoral effects of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against cancer, and to study some mechanisms responsible for its effect. The cytotoxic and antitumor effects were evaluated on human cell liens (A549, hep3B, Caki-1, Sarcoma 180) after exposure to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using in ILS, colony forming efficency and SRB assay which were regarded as a valuable method for cytotoxic and antitumor effects of unknown compound on tumor cell lin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ies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exposure to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the proliferation of A549, hep3B, Caki-1, good correlations were shown from the results of SRB assay and those of clogenetic assay. 2. The oral administration of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f increase of MST(mean survival time) and ILS(increased life span) depending on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3. Against squamous cell carcinoma induced by MCA, Jinryungtang Gagambang decreased not only the frequency of tumor production but also the number and weight of tumors per tumor bearing mice(TBM). Jinryungtang Gagambang also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3LL cell-implanted tumors by frequency and their size, and some developed tumors were regressed by the continuous treatment of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into TBM. 4.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also increased NK cel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has prominent antiutmor eff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