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행공학

검색결과 14,102건 처리시간 0.04초

모델기반 시스템 엔지니어링 S/W를 이용한 통신 기반 열차 제어 시스템의 기능 분석에 관한 연구

  • 최민신;박중용;안치경;박영원;이우동
    • 시스템엔지니어링워크숍
    • /
    • 통권1호
    • /
    • pp.140-144
    • /
    • 2003
  • AGT 시스템은 복잡한 대규모 시스템이며 이 시스템에 도입된 무인운전의 운영 개념은 한국 철도 기술의 환경에서는 처음 시도되는 기술이다. 게다가 신호시스템을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해 한다는 요구사항이 추가되어 신호시스템 개발은 더욱 도전적인 문제가 되었다. 이와 같이 실천하기 어려운 요구사항이 많은 무선열차 제어시스템 개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시스템공학팀은 전산지원 시스템공학 도구를 사용한 재공학의 개발공정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적인 데이터모텔에 추가하여 시나리오 기반으로 동적거동 분석을 수행하여 기능 모델을 구축하였고 기능 모델을 토대로 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구성하였다. 특히 기능 요구사항의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CORE의 FFBD(Functional Flow Block Diagram)기능을 활용하여 열차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분석함으로써 기능 모델의 완전성의 기여하였다. 이는 정적인 데이터 흐름 다이아그램(DFD:Data Flow Diagram)이 가지는 한계를 모델 기반 시스템공학 도구에서 지원하는 동적인 기능 분석을 수행하여 보완함으로써 모델의 충실도를 높였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기능의 오류를 개념단계에서 최소화함으로써 기술 위험이 높은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Copula 모형에서 MLP 방법을 이용한 확률강우량 산정 (Estimation of Probability Rainfall Quantile using MLP Method of Copula Model)

  • 송현근;주경원;최소영;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3-183
    • /
    • 2015
  • 수공구조물 설계 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확률강우량은 일반적으로 고정지속기간별 강우량에 대하여 일변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고 가장 적절한 분포형을 선택하는 지점빈도해석의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일변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속시간을 고정하고 강우량의 변화로만 해석해야 단점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변량 확률모형인 copula 모형을 이용하여 이변량 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확률변수로는 강우량과 지속기간(hr)을 사용하였고, 주변분포형으로 강수량 - Gumbel (GUM), generalized logistic (GLO) 분포형, 지속기간(hr) -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GUM, GLO 분포형을 사용하였으며, copula 모형은 Gumbel-Hougaard 모형을 이용하였다. 주변분포형의 매개변수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으며, copula 모형의 매개변수는 maximum pseudolikelihood(MPL)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이변량 빈도해석의 확률강우량 결과와 기존 지점빈도해석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모바일용 2D Vector Graphics에 효율적인 Rasterizer 설계 (Effective design of 2d vector graphics rasterizer for mobile device)

  • 박재규;이영호;정준모;이광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1-22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OpenVG Specification에서 제안한 파이프라인을 기능별, 혹은 연산별로 그룹화 하여 하드웨어 구현에 적합한 새로운 파이프라인을 제안하였다. 래스터라이저에서는 스캔라인 알고리즘과 엣지 플래그 알고리즘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스캔라인 엣지 플래그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적용하였으며, Non-Zero 룰을 만족하기 위해 엣지의 방향에 따라 Winding 횟수를 기록하기 위한 추가 버퍼를 이용하였다. 또한, 래스터라이저는 안티 앨리어싱을 위해 슈퍼 샘플링 과정을 수행한다. 액티브 엣지 생성 시 클리핑을 동시에 수행하여 이후 과정에서의 불필요한 연산을 줄였고, 액티브 엣지들의 정렬을 수행하지 않는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 시켰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OpenVG Rasterizer는 크로노스 그룹에서 제공하는 샘플 이미지들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 PDF

다중 작업 학습의 단계적 특징을 활용한 한국어 속성 기반 감성 분석에서의 대상 추출 (Target extraction in Korean aspect-based sentiment analysis using stepwise feature of multi-task learning model)

  • 박호민;김재훈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2년도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630-633
    • /
    • 2022
  • 속성기반 감성 분석은 텍스트 내에 존재하는 속성에 대해 세분화된 감성 분석을 수행하는 과제를 말한다. 세분화된 감성분석을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텍스트에 존재하는 감성 표현과 그것이 수식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순서대로 두 가지 정보는 이후 정보를 텍스트에서 추출하기 위해 중요한 단서가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KorBERT와 Bi-LSTM을 이용한 단계적 특징을 활용한 다중 작업 학습 모델을 사용하여 한국어 감성 분석 말뭉치의 감성 표현과 대상을 추출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제안한 모델을 한국어 감성 분석 말뭉치로 학습 및 평가한 결과, 감성 표현 추출 작업의 출력을 추가적인 특성으로 전달하여 대상 추출 작업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수문모형 매개변수에 따른 수문학적 가뭄분석 불확실성 (Uncertainty in hydrologic drought analysis based on hydrologic model parameters)

  • 김진혁;채승택;정은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26-32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유역 내 다른 년도 관측 유량 데이터를 이용한 매개변수 최적화를 수행한 후, 최적화된 매개변수에 따라 다르게 추정된 유량 데이터를 이용해 발생하는 수문학적 가뭄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문 모형은 장기 강우-유출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Soil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Symmetric uncertainty을 이용해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형 매개변수 최적화는 SWAT-CUP을 이용해 영산강 유역의 과거 1999년부터 2022년까지의관측 유량 데이터로 수행하였다. 최적화된 매개변수에 따라 추정되는 연평균 유량은 최대 5.59%의 차이를 발생시켰으며, 계절 유량은 봄 (6.1%), 여름 (14.6%), 가을 (9.7%), 겨울 (46.1%)의 차이를 발생시켰다. 그 후, 수문학적 가뭄지수인 Streamflow Drought Index (SDI)을 이용해 일 단위가뭄과 월 단위 가뭄 분석을 수행하였다. 매개변수에 따른 일 단위 가뭄 분석은 연평균 가뭄 발생일수가 최대 25.2일까지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월 단위 가뭄 역시 최적화된 매개변수에 가뭄 심도와 발생이 다르게 분석되었다. 그 후, Symmetric uncertainty을 이용한 불확실성 분석은 최적화된 매개변수에 따라 다르게 산정된 가뭄지수의 불확실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문학적 가뭄 분석 시, 다양한 관측 유량 데이터를 이용한 매개변수 최적화를 수행한 후, 이를 이용한 유량추정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인간수행공학을 적용한 도서관활용수업의 저해요인 분석 연구 (Analysis on Library-Aided Instruction's Obstacle Factors based on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Model)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33-449
    • /
    • 2009
  • 본 연구는 초 중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도서관활용수업이 어떠한 저해요인에 의해 활성화되지 않는지 원인을 분석하여 해소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 첫째, 도서관활용수업방법의 실증적 개선을 위한 평가 분석의 모형을 인간수행공학모형을 기반으로 재구성하였으며 둘째, 도서관활용수업에 관한 기존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기초로 실태를 파악하고 도서관활용수업의 바람직한 수행목표를 도출하였으며 셋째, 실제 연구대상학교를 중심으로 재구성된 인간수행 공학모형을 적용하여 도서관활용수업을 저해하는 요인을 도출하고 분석기법에 따라 수행요인을 분류하여 저해요인의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제시된 도서관활용수업 저해요인의 해소방안으로는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명확한 기대치 제공과 학습목표의 정확한 기술, 도서관활용수업 지원체제 구축, 교사들의 외적 동기 유발 시스템 개발, 다양한 도서관활용수업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학교장과 일선 교사들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인식전환 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학교도서관매체센터가 도서관활용수업의 활성화로 인해 학교교육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공학교육인증의 학습성과 평가체계의 사례 연구 (Case Study with Regard to ABEEK Assessment Process for Program Outcomes)

  • 허돈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1호
    • /
    • pp.57-63
    • /
    • 2009
  • 학습성과 평가체계 수립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먼저 각 학습성과의 수행수준에 따른 수행 준거를 설정하고, 교육과정을 통하여 달성되어야 하는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달성목표를 수립한 이후에 적절한 평가 도구를 가지고 루브릭에 기초하여 측정 평가를 실행한다.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분석평가한 이후에 프로그램 학습성과 달성을 위해 교육과정 개선을 도모한다. 그리고 나서 적용된 프로그램 개선 사항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공개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광운대학교 전기공학 프로그램의 평가체계 및 적용 사례를 통하여 공학교육인증 대상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의 학습성과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공기조화실비의 커미셔닝 수행절차

  • 김두성;김천용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0권8호
    • /
    • pp.9-23
    • /
    • 2001
  • 공조설비의 품질확보를 위한 커미셔닝이 국내에서도 도입단계에 있으나 이를 수행하는 절차와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수행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최근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수행에 따르는 절차와 필요한서류 등을 간단하게 기술하였다.

  • PDF

레거시 시스템의 재공학 전략 및 프로세스 수립 (Establishment of Strategies and Processes for Reengineering of Legacy System)

  • 차정은;김철홍;양영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641-1644
    • /
    • 2003
  • 레거시 시스템은 과거의 기술로 과거에 설정된 목적으로 구축되어졌지만, 여전히 조직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에, 새로운 시스템으로 대체하거나 변경하기에는 위험 부담이 매우 크다. 따라서, 레거시 시스템의 재공학을 위해서는 조직의 이해 당사자들이 합의한 명확한 비전과 이를 완벽히 수행할 수 있는 조직의 역량의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이는 동일한 목적을 갖는 유사한 레거시 시스템을 동일한 타겟 시스템으로 변환한다 하더라도, 조직이 갖는 비전과 구성원들의 역량 등 조직의 특수한 조건과 환경에 따라 재공학을 진행하는 전략과 프로세스가 매우 상이하게 적용되어져야만 원하는 재공학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각 조직들이 그들의 업무와 역량에 맞는 재공학 전략과 변환 프로세스를 수립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제시를 목적으로, 아키텍처 기반의 점진적인 재공학 방법론인 마르미-RE 의 적용에 따른 재공학 전략의 도출 방법 및 맞춤형 프로세스 정의를 위한 변환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 PDF

Sluice gate를 이용한 고립파 형상 발생조건에 관한 실험적 연구 (Laboratory experiment of conditions for solitary wave generated with sluice gate)

  • 조재남;최서혜;황규남;이승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378-378
    • /
    • 2015
  • 연안지역에서 발생하는 퇴적 및 침식현상으로 발생하는 피해를 분석하기 위하여, 고립파를 이용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왔다. 고립파는 파고의 크기에 따라 파형이 결정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연안지역 파랑에 관한 연구에 적합하다. 기존연구는 sluice gate를 순간적으로 개방하는 방식을 통해 갑작스러운 수위의 변화를 유도하여 급변부정류흐름을 발생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고립파 발생 조건에 대한 상세한 분석은 수행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사용한 방식과 동일하게 sluice gate를 개방하여 고립파를 발생시켰으며, 실험조건을 상류 headtank 수위와 하류 수심의 수위차를 이용하는 경우와 sluice gate 개방 속도에 따라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직사각형 수리실험수조는 폭 0.8 m, 높이 0.75 m, 수로길이 12 m에서 상 하류의 수위차를 0.05 m 단위로 높이는 방식과 수문개방속도를 0.5 m/s 부터 1.0 m/s까지 범위를 설정하여 두 가지 재현방식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Flow-3D GMO(General Moving Objects)기능을 활용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실험조건에 따른 수리실험 결과를 파랑의 특성인 고립파 파고와 파속을 수치모의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수리실험결과와 수치해석결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Sluice gate를 이용한 고립파 수리실험으로 경사면에서 발생하는 침식과 퇴적현상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