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해지역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초

ASTER 데이터에 의해 추출한 DEM 의 정확도 평가 (Evaluation of DEM Accuracy from ASTER Data)

  • 나상일;박종화;신형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28-2032
    • /
    • 2008
  • DEM은 도시계획, 도로건설 계획, 수해지역 예측 등의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홍수와 같은 하천재해를 분석, 관리하기 위한 유출모형 적용 때 중요한 입력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DEM 제작방법은 과정이 복잡하고 자료 전환이 불가피하며 적용범위에 있어서도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되던 방법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정확한 DEM 생성 방법으로 위성영상을 이용하는 연구 및 기술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DEM 생성 알고리즘을 ASTER 위성 영상에 적용하여 추출한 DEM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정확도 평가는 USGS DEM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정사보정의 RMSE는 6개의 GCP에서 2 화소에 수렴하였고, 구름영역에서 고도값이 실제 지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금강 유역의 북동쪽으로 발달된 능선의 고도값은 ASTER DEM이 USGS DEM에 비해 과소평가 되었지만 영상 왼쪽에 위치한 분지는 평활한 지역으로 ASTER DEM과 USGS EM과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 지역 등 능선의 고도값은 ASTER DEM이 USGS DEM에 비해 과소평가 되었지만, 분지 등 평탄 지역의 DEM은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침수지역 주민의 피난행동의 평가와 적정 피난수심의 유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ssessment of Refuge Behavior and the Derivation of Critical Inundation Depth)

  • 이영우;김태수;하태우;강상혁;이상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92-97
    • /
    • 2003
  • 침수 경험이 있는 지역에 있어서 수해에 따른 인명 피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피난행동양식의 분석과 수방관련정보의 공개 등과 같은 적극적인 재해 대응대책이 중요하다. 피난행동을 규정하는 심리적인 영향요인에 대해서는 주민의 의식조사를 토대로 내$.$외적인 요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수리모형 실험을 통하여 적정 피난수심을 유도하였으며 이와 같은 노력은 금후 침수심을 고려한 피난훈련을 통하여 주민의 수해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수방활동에 기여할 것이다.

열정! 건설현장을 찾아서 - 효창건설 국도 31호선 인제 하추 수해위험지구 정비공사현장

  • 연슬기
    • 안전기술
    • /
    • 제188호
    • /
    • pp.16-18
    • /
    • 2013
  • 소양강과 내린천의 수려한 풍경을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한 국도 31호선에 앞으로는 '안전한 도로'라는 별명이 더해질 것으로 보인다. 강원 인제군 기린면 북리 일대 국도 31호선 구간의 평면 및 종단선형을 개량해 홍수 등 수해로부터 안전한 도로를 만드는 공사가 한창 진행 중에 있기 때문이다. 그간 이 구간은 많은 비가 쏟아질 경우 상습적으로 침수가 됐다. 때문에 폭우 시 운전자들은 먼 길로 돌아서 목적지로 가야만 했다. 하지만 내년말경 공사가 완공되면 이러한 불편을 겪지 않아도 된다. 게다가 도로 구조체의 안전성 등도 확보돼 도로 본래의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런 변화를 이끌고 있는 주인공은 건실한 중견건설사인 '효창건설'이다. 지역민을 비롯해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의 안전과 직결된 공사인 만큼 안전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효창건설 국도 31호선 인제 하추 수해위험 지구 정비공사현장을 찾아가 봤다.

  • PDF

2002년 태풍 루사 및 2003년 태풍 매미에 따른 지역수해 대응의 개선대책에 관한 연구 (The Improvement Plan for Flood Control by Local Government Caused by Typhoon RUSA in 2002 and MAEMI in 2003)

  • 강상혁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11-118
    • /
    • 2003
  • 강원도 지역은 매년 다양한 재해를 반복적으로 겪고 있으며 이러한 재해는 이 지역의 지속적인 발전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2002년 태풍 루사 및 2003년 태풍 매미에 의한 집중호우는 막대한 피해와 더불어 우리사회의 많은 교훈을 남겼다. 지역방재계획에는 강우사상에 따른 피난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나 실제 상황에서는 그 역할을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재해복구에 있어서도 원상복구에 그치고 있어 재해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을 그대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수방계획의 문제점과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대책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도심지역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 원인분석 및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rban flood analysis cause of downtown area heavy rain and plan for reaction)

  • 문영일;박구순;한병찬;윤선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27-427
    • /
    • 2011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의 증가로 인해 도심지역의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의 강우 증가경향을 고려한 서울시 강우량 증가추세 분석결과 2020년의 확률강우량이 지속시간별 2.3%~7.3%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50년빈도 확률강우량의 경우 강우강도는 2009년은 99.1mm/hr, 2030년은 103.5mm/hr로 분석되어 서울지점의 경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강도와 확률강우량 모두 증가경향을 보이는 강우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지난 2010년 9월 21일 집중호우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당시 한반도 상공의 위성영상 및 기상현황과 서울시 지역별 누가강우량 및 지방하천의 지속시간별 강우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서울지역 침수피해 현황조사와 홍수피해원인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기후변화 대비 설계 기준 강화에 대한 수해방재 대응전략 및 구조적인 저류조 설치 방안 검토를 통한 임시 또는 항구대책을 연구를 실시하였다.

  • PDF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모니터링 조사 연구 -인제군 가리산리 방재체험마을 중심으로- (A Research Study on Monitoring for Establishing Disaster Safety Villages in Rural Areas -Based on Disaster Prevention Experience Village in Garisan-ri, Inje-gun-)

  • Koo, Wonhoi;Baek, Minh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98-40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하여 최근 발생한 충청지역 수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2006년 수해로 인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입은 강원도 인제군 가리산리 마을에 대해서 방재적 측면으로 복구하여 현재까지 방재체험마을로 운영하고 있는 지역을 구조적 및 비구조적 현황에 대해 모니터링을 통하여 이력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 시 적용방안을 검토하였다. 특히, 가리산리 방재체험마을은 수해복구 당시 주민의 참여가 적극적으로 반영되었으며 현재까지 농산촌 재난안전마을의 수범사례로 운영되고 있고 주민의 방재역량도 강화하기 위해 자체 훈련,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 시 적절하게 적용되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정량적 수해위험도 평가를 위한 세계 주요도시 강우특성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Rainfall Characteristic at World Cities for Evaluation of Flood Risk)

  • 박민규;박무종;신상영;유철상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75-182
    • /
    • 2011
  • 재해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추구하는 시민들의 욕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최근 안전도시 만들기 등이 이슈가 되고 있다. 기후 및 기상특성이 상이한 세계 도시들을 대상으로 안전도시로서 평가를 받으려면 각 도시가 처한 재해위험성을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세계 주요도시의 실제 관측 강우량을 수집하였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강우를 비교하기 위해 특정 지역에서 최대로 발생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능최대강수량을 이용하여 빈도계수 등 여러 가지 지표를 계산해보았다. 이러한 지표를 이용한 결과 우리나라 주요 도시가 보여주는 강우특성을 고찰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호우의 강수량은 변동성이 다른 세계 주요 도시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큰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비교 결과들은 세계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수해위험도 평가방법의 개발뿐만 아니라 향후 수해방지대책의 방향설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