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해재난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Flood Damage in Rural Areas - Based on a Village in Cheonan, Chungcheongnam-do - (농촌지역 수해 발생에 따른 실태조사 연구 - 충청남도 천안시 ◯◯마을을 중심으로 -)

  • Koo, Won-Hoi;Park, So-Yeon;Baek,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5-11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충청지역의 농촌마을에 발생한 수해 피해 현황을 살펴보았고 그 중 천안시 ${\bigcirc}{\bigcirc}$리 마을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피해유형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수해 피해유형에 따른 재난안전시설 설치 방향 및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Flood Management System using Complex Event Processing(CEP) Technique (복합 이벤트 처리기법을 이용한 수해관리시스템 개발)

  • Kim, Hyung-Woo;Chang, Sung-B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51.1-51.1
    • /
    • 2010
  • 본 논문은 중소 도시하천을 위한 수해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하천은 집중호우 발생 시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하천 재난관리 측면에 있어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하천의 경우에는 강우와 유출 관계식으로부터 수립된 수문학적 모형을 사용하여 홍수 발생 여부를 예측하는 것 보다는 하천 수위의 실시간 변동 상황을 즉시 감지하고 위험상황 발생 시 이를 신속히 전파하는 것이 재난관리 측면에 있어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실시간 센서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복합 이벤트 처리기법을 사용하여 수해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외부의 재난관리시스템과 정보를 공유하며 연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며 경보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이벤트 주도적 아키텍처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최근 실시간 데이터 처리기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복합 이벤트 처리기법이 수해관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타 분야의 재난관리에도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Strategies for Providing Detour Route Information and Traffic Flow Management for Flood Disasters (수해 재난 시 우회교통정보 제공 및 교통류 관리전략)

  • Sin, Seong-Il;Jo, Yong-Chan;Lee, Chang-J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6
    • /
    • pp.33-42
    • /
    • 2007
  • This research proposes strategies about providing detour route information and traffic management for flood disasters. Suggested strategies are based on prevention and preparation concepts including prediction, optimization, and simulation in order to minimize damage. Specifically,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hat average travel speed is increased by proper signal progression during downpours or heavy snowfalls. In addition, in order to protect the drivers and vehicles from dangerous situations, this study proposes a route guidance strategy based on variational inequalities such as flooding. However, other roads can have traffic congestion by the suggested strategies. Thus, this study also shows the possibility to solve traffic congestion of other roads in networks with emergency signal modes.

Intelligent Emergency Alert System Trends (지능·맞춤형 통합경보시스템 기술동향)

  • Cho, K.S.;Kim, G.;Lee, Y.T.;Ryu, 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3
    • /
    • pp.56-65
    • /
    • 2014
  • 최근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로 수해나 지진 등의 자연재난이 증가하고 그 피해도 대형화되며 종류도 다양화 되는 추세로, 선진 각국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신속한 재난예보와 경보 전달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국내외 재난경보 방송동향과 국외 통합경보시스템에 대해 소개하고, 지능 맞춤형 통합경보시스템의 필요성과 연구개발 사례와 연구개발 중인 지능 맞춤형 통합경보시스템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안전관리 - "재해! 사전대비가 최선" 장마철.혹서기 건설현장 안전보건 관리대책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월간 기계설비
    • /
    • s.228
    • /
    • pp.64-73
    • /
    • 2009
  •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는 안전불감증과 허술한 재난관리시스템으로 인한 인재(人災)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여름 장마철과 혹서기에 대비, 현장의 감전사고 및 침수 붕괴재해 예방, 그 밖의 수해방지대책 등을 수립해 현장근로자에게 사전교육을 철저히 하는 것이 재해예방의 첫걸음이다. 특히 재난관리시스템 및 매뉴얼을 구축한 뒤 재난 유형과 상활별 시나리오를 구성, 이를 바탕으로 사전교육과 모의훈련을 통해 긴급조치 및 대피계획을 수립 실시하는 등 구체적인 재해대책 요령을 숙지하면 재해를 줄일 수 있다. 본지는 회원사의 공사안전에 참고가 되도록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제공한 장마철 혹서기 건설 현장 안전지침을 게재한다.

  • PDF

A Research Study on Monitoring for Establishing Disaster Safety Villages in Rural Areas -Based on Disaster Prevention Experience Village in Garisan-ri, Inje-gun-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모니터링 조사 연구 -인제군 가리산리 방재체험마을 중심으로-)

  • Koo, Wonhoi;Baek, Min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3 no.3
    • /
    • pp.398-404
    • /
    • 2017
  • In this study, the field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in an area damaged by flood, which recently occurred in Chungcheong region, in order to establish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a rural area. In addition,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a village in Garisan-ri, Inje-gun, Gangwon-do that experienced loss of life and property caused by flood in 2006 were analyzed through monitoring. The village was restored and has been operated as a disaster prevention experience village for the purpose of disaster prevention, and its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status was monitored during th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application measures for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a rural area in future were examined. At the time of restoring food damage, the residents' participation was actively reflec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disaster prevention experience village in Garisan-ri. The village has been currently operated until now as an example of disaster safety village in rural regions, and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training and educational programs are carried out in order to reinforce the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of resi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a rural area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Flood Simulation and Flood damage Estimation Considering Mega Floods (거대홍수를 고려한 홍수 모의 및 홍수피해액 산정)

  • Choi, Chang Hyun;Hong, Seung Jin;Han, Dae Gun;Kim, Duck Hwa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10-210
    • /
    • 2015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난은 피해의 규모에 따라 대형화 다양화 집중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 경제적 피해가 과거에 비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이러한 자연재난 중 피해의 90%이상이 수해 풍해 설해 등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수해에 의한 피해가 자연재난으로 발생하는 피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2014년 일본의 태풍 '판폰'과 '봉퐁', 2013년 중국의 태풍 '피토'와 '다나스', 2012년 한국의 태풍 '볼라벤', '덴빈', '산바' 등 연속적인 호우사상의 내습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동시 다발적인 거대 호우사상의 발생에 대한 대비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내 외적으로 단일 호우사상으로 인한 홍수 피해 대책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동시다발적 연속적인 호우사상으로 인한 홍수 피해 대책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에 거대 호우사상이 동시 다발적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거대홍수라고 정의하고, 거대홍수에 대응하기 위해서 거대홍수 발생에 따른 홍수범람 및 홍수피해액을 산정하였다. 홍수범람모의를 통해 거대홍수가 유역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다차원홍수피해산정법(MD-FDA)을 통해 홍수 피해액을 산정하여 거대홍수방어 대책 수립의 참고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ccelerated Construction Method of Long-span PSC Girder Bridge for the Recovery of Flood Damaged Road (수해도로 복구를 위한 장경간 프리캐스트 바닥판 PSC거더교 교량 급속 시공)

  • Oh, Hyun Chui;Ma, Hyang Wook;Kim, In Gyu;Kim, Young 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1 no.4
    • /
    • pp.51-56
    • /
    • 2008
  • Because of our country's climate that has the 50% of the annual precipitation in summer, annually a lot of bridges on the roads are broken in this season. So, we need an accelerate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at complete to repair the roads. This paper introduces the Hangae 2 bridge, prefabricated bridge using full depth precast deck panels and new types of PSC girders. The Hangae 2 bridge located in lnje-gun, kangwon-do. This is a good example of the accelerated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recovery of flood damaged road. The PSC girder bridge system introduced in this paper is a rapid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that can reduce the term of works over 50%.

  • PDF

Disaster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Older People in Gangwon Province: A Comparison of Elderly Men and Women (강원도 노인의 수해경험과 재해인식에 관한 연구 -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비교 -)

  • Chung, Soon-Dool;Ki, Jee-H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1
    • /
    • pp.57-62
    • /
    • 2008
  •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elderly people's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flood disasters in Gangwon province, which is mainly devastated by flood disasters, and seeking to the coping strategy against vulnerability of disaster between elderly men and women. A total of 183 elderly people aged 60 and over who were directly or indirectly damaged by flood disasters of 2006 in Pyung-chang and In-je in Gangwon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disaster experiences between elderly men and women,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erception of disaster among them. Although elderly women a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 possibility of secondary flood disasters than elderly men, elderly women are less knowledgeable than elderly men in disaster attacks and they have appeared to have low coping skills. This study showed that elderly women were more likely to live alone than elderly men and they have low income comparing to the elderly men. In conclusion, elderly women should be considered as a most vulnerable group to the disaster and gender-based approach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in disaster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