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

Search Result 27,53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예비 초등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 O, Yeong-Yeo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317-323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조사함으로써 예비 교사를 위한 수학 교육프로그램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있다. 기존의 문헌 분석에 의하면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은 수업 수행 능력과 학생들의 학습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최근 우리가 지향하고 있는 교사들에 대한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으로의 개선과 변화된 수업 방식의 지속성에 매우 유효한 요인이 된다. 예비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이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보통의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특히 상당수의 예비 교사들은 자신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들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현재 교육대학교에서 예비 교사들에게 제공하는 수학 교육과 관련된 과목을 수강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제한적인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수학 교육 프로그램의 초점이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 능력의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 효능감은 그들이 이해하고 있는 수학 교수법적 지식과 매우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 Analysi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초등수학의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분석)

  • Ahn, Byoung-Go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5 no.1
    • /
    • pp.161-178
    • /
    • 2011
  • For the students who live in the knowledge-information oriented society, thinking rationally and train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are necessary. I represented three ways of teaching-learning related to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revised 2006 curriculum of elementary mathematics. In this study, based on three matters from devised curriculum, I have done survey-analysis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tents of major theses about mathematical communication published after 2007 curriculum revision, for further mathematical communication teaching.

  • PDF

교사양성대학에서의 이산수학 교육과정

  • Lee, Jae-Ha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43-52
    • /
    • 2003
  • 교육과정은 그 시대에 적합한 요구들을 반영하여야 한다.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이산수학의 도입이 바로 정보화 시대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이산수학의 도입은 수학의 변화가 수학교육의 변화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내용의 교육과정 도입은 충분한 검증 절차의 부재로 인하여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양성 대학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개설되어진 해석학이나 대수학 같은 강좌와는 달리 이산수학의 강좌는 비교적 최근에 개설되어 졌으므로 대부분의 현장교사들은 이산수학 내용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다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우선, 교사양성 대학교육과정에서의 이산수학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우리 현실에 맞는 교재의 재구성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7차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교사양성 대학에 적합한 이산수학 강좌에 대한 구체적인 예들을 제시하여 사범대학 학생들로 하여금 이산수학을 제대로 이해하고, 아울러 이러한 연구가 현직 교사연수에도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A Profile of Mathematical Literacy on Korean Students in PISA 2003 (PISA 2003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소양의 특징)

  • Na GwiSoo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5 no.2
    • /
    • pp.147-176
    • /
    • 2005
  •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literacy on Korean Students in PISA 2003(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03). We study the mean performance, the distribution of student performance, the student performance in terms of mathematics contents and process and situation and item format, the differences in mean scores between PISA 2000 and PISA 2003, and the gender differences in student performance. In addition to, we study students' engagement with mathematics, students' beliefs about themselves, students' anxiety in mathematics, and students' teaming strategies. Finally, we discuss the reas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literacy on Korean students in PISA 2003, and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educators and educational policy-makers.

  • PDF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n Utilizing History of Mathematics (수학사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 Shim, Sang-Ki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4 no.3
    • /
    • pp.831-842
    • /
    • 2010
  • In this study, in order to use history of mathematics effectively, we investigate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utilizing history of mathematics. As a result, we must introduce history of mathematics will be able to apply concretely in class to the pre-service teachers. And We must provide the method which is various will be able to apply history of mathematics in class to the pre-service teachers enough. Also, We must provide the instance which relates in utilizing history of mathematics to pre-service teachers enough.

An Analytic Study of Beliefs about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본질과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 연구)

  • Nam, Yun-Jung;Song, Yeong-Moo
    • School Mathematics
    • /
    • v.10 no.4
    • /
    • pp.649-669
    • /
    • 2008
  • The study focuses on what to consider and do for the improvement of math education of Korea by comparing tw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two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beliefs about mathematics and mathematics learning. The major topics compared in the beliefs are composed of perception of mathematics as a science, learning methods of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w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end to set more low value on mathematics, especially in the value of implement, civilization, utility of mathematics than that of two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PDF

On the awareness of mathematics by college students and a suggestion to elevate such awareness in universities (대학생들의 교양수학에 대한 인식과 교양수학의 긍정적 인식변화를 위한 방안)

  • Park, Hyung-Bin;Lee, Heon-So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3 no.4
    • /
    • pp.999-1014
    • /
    • 2009
  • In this paper, we made an investigation into the awareness of mathematics by college students, they took a course in mathematics as the liberal arts. Mathematics as the liberal arts is divided into 2 types: mathematics focused on calculus or statistics, and living mathematics except them. We researched mathematics as the liberal arts on a curriculum in several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m.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s as the liberal arts in university.

  • PDF

수학 성적과 이산수학의 문제 해결력 비교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 Han, Gil-Jun;Lee, Yang-G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73-96
    • /
    • 2002
  • 수학적인 사고력과 창의력이 강조되고 있는 요즈음 수학교육에서는, 이산수학적인 영역이 담당해야 할부분이 더욱 많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발맞춰, 최근에 이산수학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초등학교에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이산수학 관련 서적이나 연구 문헌이 없어 아동들의 이산수학에 대한 관심과, 수학 성적과 이산수학의 문제 해결력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해 보았다. 이산수학의 문제들을 구성하여 아동들에게 예고 없이 평가하고 문제에 대한 수학적인 태도를 질문을 통하여 알아보고, 수학 실력이 우수한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들과의 이산수학 문제 해결력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첫째, 초등 수학교육에서 이산수학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둘째, 수학 성적과 이산수학 문제 해결과의 관계를 생각해 본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하여 이산수학에 관련된 초등학교 내용을 소개하고, 문항을 구성하였다. 소개된 주제 중에서 4개의 주제(수 세기, 한 붓 그리기, 지도 색칠하기, 최소 거리 ${\cdot}$ 비용 수형도)를 선정하여 10개의 문항을 작성하였다. 조사 연구를 위한 대상은 서운 시내 2개 초등학교 5, 6학년 2개 반을 선정하였다. 각 문항의 정답율은 백분율(%)에 의하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수 세기의 정답율은 첫 번째 문항의 정답율이 낮았을 뿐, 다른 문항들의 정답율은 비교적 좋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문제를 이해하기 쉽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둘째, 한 붓 그리기와 지도 색칠하기의 문제들의 정답율은 상당히 높게 나타났는데, 그러한 것은 아동들이 직접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해 봄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인 것 같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문제들은 아래 학년에도 투입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셋째, 최소거리 ${\cdot}$ 비용 수형도의 문제에서는 난이도가 높은 이유도 있지만 문제 이해를 완전히 하지 못해 정답율이 무척 낮게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수학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대체적으로 문제 해결력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으나, 몇몇 학생들은 정반대의 결과가 나와 특이한 시사점을 제공했다. 그러한 이유로는 정형화된 문제들을 선호하고 쉽게 해결하는 아동들과, 그렇지 않은 아동들 사이의 문제 접근 방법의 차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산수학에 관련된 많은 문항을 개발하여 아동들에게 확대 투입함으로써 수학 수업의 효과와 문제 해결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둘째, 수학 실력이 떨어지는 아동들에게 보다 흥미있는 이산수학적 문제들을 제시함으로써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초등학교 과정에 알맞은 이산수학의 다른 주제도 학습 지도안과 그와 관련된 문제들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 PDF

The effects of math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class activity types on learners' affective attitudes: A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 (수학교사의 교수능력과 수업활동유형이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다층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 Song, Hyo Seob;Jung, Hee Su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2 no.2
    • /
    • pp.195-209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and structural relationship of math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class activity types on learners' value perception, confidence, and interest of mathematics at the student level and teacher level. To this end, data from 2nd graders of korea middle school in TIMSS 2019 were applied to the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eaching ability of math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value perception, confidence, and interest of mathematics at the student level and teacher level. Also, math value perception and math confi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math interes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ing ability of math teachers indirectly had a positive effect on math interest by mediating math value perception and math confidence. In addition, the math class activity of applying what was learned to problems had a positive effect on math value perception, but it had a negative effect on math interest. and the class activity of the same ability group had a positive effect on math confidence and math interest. This study present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ath classes in the school field through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student level and the teacher level.

한국 대학 수학과의 상황과 장래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25-32
    • /
    • 2005
  • 현재 한국의 많은 대학의 수학과는 낮은 지원율 신입생 미충원 그리고 전과/편입학/자퇴 등 높은 이탈 등으로 학생자원 부족에서 오는 생존이 위협되는 위기에 처해있다. 실제로 몇 년 사이에 학생 모집이 중단됨으로서 폐과가 진행 중인 대학의 수학과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대학교육에서 수학과가 퇴조하는 이러한 현재 상황의 진행이 3-5년 후 대학 및 대학원의 수학전공은 어떤 상황에 있을 것인가? 학생자원 감소라는 현재의 추세가 계속 진행된다면, 대학의 학문 체계와 대학교육에서 수학의 위치 역할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러한 대학의 수학전공에 지원하는 학생자원 부족 문제는 진지하게 구체적으로 다루고 도전하고 해결 방안을 구해야 할 문제인가? 아니면 일시적인 퇴조 현상에 대한 기우인가?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