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적 문제제기 활동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7초

대수 해법 일반성 인식에 관한 연구: 이차방정식 문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gnition for generality of solution in Algebra - Focusing on Quadratic equation -)

  • 강정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155-178
    • /
    • 2014
  • 본 연구는 대수 문제에 대한 해법 자체가 일반성을 지향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학생들은 해법 수행 후에도 그것의 일반성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 제기로부터 출발한다. 즉, 대수 해법의 일반성에 대한 이해가 결여된 체, 대수 해법 수행이 이루어지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의구심이 제기된다. 이 문제를 조사하여 학생 인식의 구체적 특징을 파악하고, 아울러 인식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을 찾음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수 해법 일반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70%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대수 일반성 인식 결여를 나타내었다. 이들 중 대수 해법의 일반성 인식 결여가 명백한 네 명의 학생들과 개별 면담을 가짐으로써, 인지적 특성을 파악해 보았다. 또한 이들에게 해법 일반성 인식에 필요한 요소를 분석하여 얻은 세 활동(개별 결과 동일성 확인, 상이 대수 해법 동일성 확인, 대수의 임의성 확인) 투입 이후 나타나는 인식 변화를 관찰, 분석하였다. 개별 면담을 가진 네 사례는 하나의 활동만으로 인식 개선한 한 사례와 세 활동을 통한 점진적 인식 개선한 두 사례, 그리고 인식 전환에 실패한 한 사례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수에서 해법의 일반성에 대한 인식과 세 활동의 효과, 그리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등 수학과 과학, 사회에서 다루는 내포량에 대한 교수학적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tensive Quantity Covered in Elementary Mathematics, Science and Social Studies from a Pedagogical Perspective)

  • 강윤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47-64
    • /
    • 2023
  • 현행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내포량에 대하여 다루지 않지만, 타 교과에서 관련 내용을 다루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교수학적 관점에서 내포량을 중심으로 초등 수학, 과학, 사회 교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수학 교육과정에서 내포량에 대한 성취 기준을 제시하거나 해당 용어를 내용 요소로 명시하지 않았으나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차시 활동 및 문장제의 소재로 활용하고 있었다. 타 교과에서 내포량에 대하여 먼저 학습하거나 내포량을 계산하는 등 학습 순서 및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것도 나타났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초등 수학 교과에서 내포량을 다룰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타 교과에서 해당 개념을 지도할 때 수학 교과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학습 순서와 내용을 구성하여야 한다.

학습 공동체의 맥락에서 일어나는 교사의 노티스(Noticing) (Teacher Noticing in the Context of a Learning Community)

  • 권나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139-15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체의 맥락에서 일어나는 교사 학습을 관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동체에서 교사가 노티스(주목) 하는 것의 종류와 공동체를 구성하게 한 파트너십의 역할에 관한 연구 문제를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한 학습 공동체는 PRIME이라는 전문성 발달 프로젝트를 통해 대학과 학교간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생성된 팀들 가운데 하나로 세 명의 멘토교사와 세 명의 예비교사, 한 명의 대학에서 온 감독관이 참여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학교에서의 미팅은 오디오 녹음으로 자료화하고 관찰 노트와 인터뷰 등의 여러 자료를 내러티브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은 학습 공동체에서의 활동을 통하여 교실 활동 상황을 포함한 교수 학습에 관한 활동과 자신들의 교수 학습에 관한 신념 등을 새롭게 노티스하게 되었다. 파트너십은 교사들 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임무를 할당하며 다양한 공동체를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