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적 다양성

Search Result 64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수학적 창의성과 개방형 문제(open ended problem)

  • Gwon, O-Nam;Jo, Yeong-Mi;Park, Jeong-Suk;Park, Ji-Hyeon;Kim, Yeong-Si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217-218
    • /
    • 2003
  •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인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에서 볼 수 있듯이,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별 교육과정이나 재량활동 운영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수학교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수학적 창의력의 신장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이론적인 측면과 실제적인 측면에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성과가 축적되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Haylock(1987)등에 의해 창의력과 수학적 창의력의 구분되었으며, 특히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제안되었다. 실제적인 측면에서도 수학적 창의력을 측정하려는 평가 도구들이 그 동안 여러 가지로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학적 창의력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는 종국적으로 교실 수학수업에 반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리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교실에서 수학수업을 실제로 담당하는 교사들이 수학적 창의력을 위한 수업을 하고자 하더라도 당장 가까이에서 구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자료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물론 그 동안 교실 수학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이 전무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들 대부분은 게임이나 퍼즐을 이용한 것으로 그 수준이 단순 흥미유발에 그치고 있거나 소수의 영재아를 위한 소재를 중심으로, 특히 수학적 사고 과정을 따르기보다는, 시행착오를 거쳐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많으며, 수학과의 연계성이 불분명한 채로 단순놀이에 그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수업과 연관되어 창의력의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적용하기 어려운 사례가 많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현재 교과교육공동연구 지원사업의 하나로 한국 학술 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방형 문제(open-ended problems)'를 중심 소재로 한 '수학적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개방형 문제라 함은 명백한 정의가 어렵지만 Pehkeon(1995)는 개방형문제의 정의를 명백히 하기위한 시도로서 그 반대로 닫힌 문제에 대한 정의로부터 시작하여, 어떤 문제가 닫혀있다고 하는 것은 그 문제의 출발 상황과 목표 상황이 닫혀 있는 것, 즉 명백히 설명되어있을 때라면 개방형 문제는 이와 반대의 개념임을 시사하였다. Silver(1995)는 개방형 문제를 문제 자체가 다른 해석이 가능하거나 서로 다를 인정할만한 답을 가질 수 있는 문제 또는 풀이과정이 다양한 문제, 자연스럽게 다른 문제들을 제안하거나 일반화를 제시할 수 있는 문제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개방형 문제란 출발상황이나 목표 상황의 일부가 닫혀있지 않을 때를 말하고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해답이 여러 가지로 존재하는 문제를 뜻한다. 수학적 창의력을 개발하는 데, 다른 문제 유형보다도, 개방형 문제가 유리하다는 점은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어왔다. 미국 국립영재교육센터(NRCG/T)는 기존의 사지선다형이나 단답형 문제와 질문들은 학생들의 사고 능력에 관한 정보를 거의 알려주지 못하기 때문에 한 가지 이상의 답을 요구하는 ‘open-ended' 또는 ’open-response' 문제와 질문을 가지고 수학 분야에서의 창의적 사고 능력과 표현능력을 측정해야 한다고 하였고, 개방형 문제가 일반적으로 정답이 하나인 문제보다 고차원적인 사고를 요구하게 하는 문제 형태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개방형 문제의 유형을 다양한 답이 존재하는 문제, 다양한 해결 전략이 가능한 문제,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특히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 개방형 문제가 확산적 사고의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등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0주의 프로그램을 개발,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 학교에 실험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창의력 신장에 비중을 두는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실제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는 수학교실에서 사용 가능한 실제적인 활용방안을, 학생들에게는 주어진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생각하면서 다양한 사고를 경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수학을 보는 학생들의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학교수학에서의 정당화 지도의 필요성 및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신현용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Mathematical Society
    • /
    • v.19 no.4
    • /
    • pp.585-59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학교수학에서 증명지도의 문제점을 정당화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정당화의 한 방법으로서 확률론적 정당화를 제시하며, 학교수학에서 정당화 지도의 교육적 가치, 정당화 지도의 방향, 정당화 지도의 예와 지도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에 근거하여 학교수학에서의 정당화 지도의 필요성 및 가능성에 관하여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 '증명'은 고전적인 의미에서의 증명, 즉 엄밀한(rigorous) 증명, 수학적(mathematical) 증명이고, '정당화'는 기존의 수학적 증명 개념은 물론, 다양한 논증 기법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이다.

Fostering Mathematical Creativity by Mathematical Modeling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 의한 창의적 사고)

  • Park, JinHyeong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7 no.1
    • /
    • pp.69-88
    • /
    • 2017
  • One of the most important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mathematical modeling is to build models by conjecturing mathematical rules and principles in the real phenomena and to validate the models by considering its validity. Due to uncertainty and ambiguity inherent real-contexts, various strategies and solutions for mathematical modeling can be available. This characteristic of mathematical modeling can offer a proper environment in which creativity could intervene in the process and the product of modeling. In this study, first we analyze the process and the product of mathematical modeling, especially focusing on the students' models and validating way, to find evidences about whether modeling can facilitate students'creative thinking.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related to fluency, flexibility, elaboration, and originality emerged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Mathematical Connections Between Classical Euclidean Geometry and Vector Geometry from the Viewpoint of Teacher's Subject-Matter Knowledge (교과지식으로서의 유클리드 기하와 벡터기하의 연결성)

  • Lee, Ji-Hyun;Hong, Gap-Ju
    • School Mathematics
    • /
    • v.10 no.4
    • /
    • pp.573-581
    • /
    • 2008
  • School geometry takes various approaches such as deductive, analytic, and vector methods. Especially, the mathematical connections between these method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athematical connections between geometry and algebra. This article analysed the geometric consequences of vector algebra from the viewpoint of teacher's subject-matter knowledge and investigated the connections between the geometric proof and the algebraic proof with vector and inner product.

  • PDF

A Study on Cultivating Creativity through Various and Divergent Thinking Activities - Focused on Mathemat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다양한 확산적 사고활동을 통한 창조성 육성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수학교육을 중심으로 -)

  • Lim Mun-Kyu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0 no.1
    • /
    • pp.1-19
    • /
    • 2006
  •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fostering creative thinking is a core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accumulating research products on that topic is really needed. In this study, I hoped to investigate and verify that in mathematics education it was possible to cultivate creative thinking through various and divergent activities, For this purpose, I delat with some illustrations, in which students learned mathematics through the operational activities using teaching tools,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activities, and finally they seemed to foster creative mathematical thinking. In conclusion of this paper, I have suggested that in math education those activities should be used to cultivate students' creative thinking in kindergarten or early elementary school. Also I asserted that it is urgently need to store up research products about various materials and methods for those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 PDF

Mathematical Foundations of AHP and Practice for Purposes of Mathematical Teaching (AHP의 수학적 배경과 수학교육 목적의 실천)

  • 함형범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7 no.2
    • /
    • pp.21-32
    • /
    • 2004
  • AHP is utilized in various fields since its mathematical theory is simple and it can be applied practically and easily. In this paper we study the mathematical foundations of the AHP. And we discuss that the AHP practices purpose of mathematical teaching. Also, we propose an alternative plan for teaching-learning of mathematics based on the discussion.

  • PDF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개방형 학습법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 Jeon, Pyeong-Guk;Mun, Jeom-A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231-243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개방형 학습법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수학적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수학 교수-학습법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한 반은 실험집단으로 하고 다른 반은 비교집단으로 하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개방형 학습법에 의한 수업을 전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수업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로서, 오직 답이 하나로 제한되고 닫힌 통상적인 문제가 아니라 결과가 하나로 결정되지 않는 문제상황을 제재로 하여 거기에 내재하는 결과의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개방형 학습법에 의한 수업이 일반적인 수업보다 수학적 창의력 향상에 있어서 더 효과적이며, 수학적 창의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에서 남 ${\cdot}$ 여간에 차이가 없이 남과 여 집단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다.

  • PDF

Review on Instrumental Task and Program Characteristics for Measuring and Developing Mathematical Creativity (수학적 창의성 계발을 위한 과제와 수업 방향 탐색)

  • Sung, Chang-Geun;Park, Sung-Su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6 no.2
    • /
    • pp.253-267
    • /
    • 2012
  • In this paper, we primarily focus on the perspectives about creative process, which is how mathematical creativity emerged, as one aspect of mathematical creativity and then present a desirable task characteristic to measure and program characteristics to develop mathematical creativity. At first, we describe domain-generality perspective and domain-specificity perspective on creativity. The former regard divergent thinking skill as a key cognitive process embedded in creativity of various discipline domain involving language, science, mathematics, art and so on. In contrast the researchers supporting later perspective insist that the mechanism of creativity is different in each discipline. We understand that the issue on this two perspective effect on task and program to foster and measure creativity in mathematics education beyond theoretical discussion. And then, based on previous theoretical review, we draw a desirable characteristic on instruction program and task to facilitate and test mathematical creativity, and present an applicable task and instruction cases based on Geneplor model at the mathematics class in elementary school. In conclusion, divergent thinking is necessary but sufficient to develop mathematical creativity and need to consider various mathematical reasoning such as generalization, ion and mathematical knowledge.

  • PDF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ask with Emphasis on Mathematical Connectivity in Pre-Teacher Education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적 연결성을 강조한 과제 개발 사례연구)

  • Kang, Hyangi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3 no.2
    • /
    • pp.85-10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asks developed through task development activities with emphasis on mathematical connectivity,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e.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task developed by 52 pre-teachers through the activities. As a result, they combined mathematics with 'other subjects', 'mathematics', 'phenomenon', 'technology' and 'real life'. And they also made various internal connections of 'Different representation', 'Part-whole relationship', 'Implication', 'Procedure', and 'Instruction-oriented connec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eacher knowledge, the study revealed that CCK and SCK were positive in terms of 'logical' and 'expression', and KCT as 'strategic' was meaningful but disappointing in diversity; however in terms of 'level', the KCS was limited due to tasks that did not meet the level of students. As such, this analysis reveals that teachers continue to struggle with understanding students' level, but exhibit little difficulty with 'logic', 'expression' and 'strategy. This being the case, teacher education needs to place additional emphasis in understanding students' levels and planning corresponding activities.

A Research Synthesis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versity Including Multicultural Education, Language Minority, and Social Economic Status (다양성 배경을 지닌 학생들의 학습현장에서 수학교육연구에 관한 문헌고찰)

  • ChoiKoh, Sa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2 no.4
    • /
    • pp.389-409
    • /
    • 2009
  • This article was to investigate the previous research as a research synthesis in the area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versity including multi-cultural education, language minority, and social economic status. The following summaries were made: Recognizing equity in students with diversity; Restoring teachers' perspectives toward poststandardization; Introducing creative curricular based on students' characteristics; Application of the direct instruction; Foci on interests, challenges and mastery learning; Application of Anchored Instruction; Application of CRA; Tasks, tools, & classroom norms; Enhancement of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using small-group activity; Development of programs enriched by bilingual education; and Producing curriculum for students from North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