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평 $45^{\circ}$분지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Experimental Studies on Phase Separation of Steam-Water Two Phase Flow in Horizontal Y-Branching Conduit (수평Y자형 분지관에서 증기-물 이상류의 상분리에 관한 실험적 연구)

  • Ahn, Soo-Wh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24 no.6
    • /
    • pp.886-893
    • /
    • 2000
  • The Characteristics of dividing the dispersed bubble, plug, and slug steam-water flow in the horizontal junctions with horizontal branches have been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separation phenomena in a $45^{\circ}$ horizontal wye with equal pipe inner diameter of 25 mm is presented to provide a data base for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the analytical models. The phase separation and pressure distribution in the three legs of each test section are obtained through the set of measurements made in the present work. And the dependence of phase separation on different parameters, such as inlet quality and mass flux, is discussed.

A Study on the Preliminary 3-D Structure Model around East Sea and Its Vicinity

  • 조봉곤;이우동;황의홍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Geodesy And Geophysics Ko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Conference
    • /
    • 2003.05a
    • /
    • pp.16-16
    • /
    • 2003
  • 본 연구는 ILP(International Lithosphere Project) Task Group II-4가 진행하고 있는 상부맨틀에 대한 3차원 구조도 작성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어졌으며 구조도 작성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는 task group의 표준안을 따랐다. 기존 문헌과 기존의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서 획득된 자료를 이용해 동해와 그 주변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의 ($32-45^{\circ}$E, $122-148^{\circ}$N) 상부 670km까지의 3차원 구조도 작성을 위한 초기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이 절차를 최대한 자동화하는 프로그램을 포트란을 이용해 만들어보았다. 연구 지역에 대한 곡율을 계산하기 위해 표준타원체 모델인 WGS84과 geoid undulation 모델인 EGM96을 사용했으며 지형 고도 자료는 GTOPO30, GLOBE 1.0, 그리고 Smith and Sandwel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지구 중심으로부터 지표까지의 거리를 구하였다. 연구지역은 $0.25^{\circ}$간격으로 나누었으며 총 5777개의 격자점을 정의하였으며 각각의 격자점에 1차원 수직구조를 부여함으로써 3차원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지형적으로나 지질학적으로 유사한 지역을 하나의 구역으로 정의하고 동일한 수직구조를 부여함으로써 모든 격자점에 1차원 수직구조를 정의하지 않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 지질은 모델에 고려하지 않았지만 지형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분지나 수평적으로 불균질성이 뚜렷한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 지역의 리젼을 정의하였다. 중요 리젼에 대한 지각구조에 대해서는 기존의 문헌을 통해 모델치를 정의하였으며 지각 하부부터 상부 670km에 대한 부분은 Task Group에서 제시한 표준 모델을 이용했다. 모델을 정의하기 위해 주어진 격자점에 대한 지구 중심으로부터 지오이드까지의 거리, 지오이드로부터 지표까지의 거리를 정의해주었으며, 각 격자점의 수직구조를 정의하기 위해 깊이에 따른 각 매질의 밀도, P파의 속도, S파의 속도, P파에 대한 Q값, S파에 대한 Q값을 정의 해주었다. S파의 속도를 구하기 위해서 지구 내부 물질을 포아송 매질이라는 가정 하에, 관계식을 $Vp{\;}={\;}SQRT(3){\;}{\times}{\;}Vs$ 이용하였다. 획득한 모델치들을 이용해 동해와 동해 인근 지역에 대한 초기모델을 구축하였다.

  • PDF

Prevailing Subsurface Chlorophyll Maximum (SCM) Layer in the East Sea and Its Relation to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ter Masses (동해 전역에 장기간 발달하는 아표층 엽록소 최대층과 수괴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 Rho, TaeKeun;Lee, Tongsup;Kim, Guebuem;Chang, Kyung-Il;Na, TaeHee;Kim, Kyung-Ryul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v.34 no.4
    • /
    • pp.413-430
    • /
    • 2012
  • To understand the scale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duration of the subsurface chlorophyll-a maximum (SCM) observed in the Ulleung Basin of the East Sea, we analyzed physical and chemical data collected during the East Asian Seas Time-series-I (EAST-I) program. The SCM layer occurred at several observation lines from the Korea Strait to $37.9^{\circ}N$ in the Ulleung Basin during August of 2008 and 2011. At each observation line, the SCM layer extended from the coast to about 200 km off the coast. The SCM layer was observed between 30 and 40 m depth in the Ulleung Basin as well as in the northwestern Japan Basin along $132.3^{\circ}E$ from $38^{\circ}N$ to $42.3^{\circ}N$ during July 2009, and was observed around 50 m depth in the northeastern Japan Basin ($135-140^{\circ}E$ and $40-45^{\circ}N$) during July 2010. From these observed features, we hypothesize that the SCM layer observed in the Ulleung Basin may exist in most of the East Sea and may last for at least half-year (from the early May to late October). The nutrient supply mechanism for prolonged the SCM layer in the East Sea was not known, but it may be closely related to the horizontal advection of the nutrient rich and low oxygen waters observed in the Korea Strait between a 50 m depth to near the bottom. The prolonged development of the SCM layer in the Ulleung Basin may result in high primary production and would also be responsible for the high organic carbon content observed in the surface sediment of the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