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출증대

Search Result 26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Impact of the External Technology R&D Collaboration Network Heterogeneity on the Employment Increase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The Mediating Effect of Export Growth (외부 기술 연구개발 협력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중소기업의 고용 증대에 미치는 영향: 수출 증대의 매개 효과)

  • Hau, Yong Sa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3
    • /
    • pp.181-187
    • /
    • 2018
  • With a view to deepening the research stream on the factors positively influencing the export growth and the employment increase of South Korean small and medium companies, this research has developed the research model about the impact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external technology R&D collaboration network heterogeneity on their export growth and employment increase, and has empirically tested the research model with the 2,200 data collected from the small and medium companies in the South Korea. This study illuminates the two points from the empirical testing results. One point is that small and medium companies' external technology R&D collaboration network heterogeneit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s their employment increase from technology development. The other point is that small and medium companies' export growth from technology R&D partially mediates the impact of the external technology R&D collaboration network heterogeneity on their employment increase from technology R&D.

한국 방위산업의 육성 패러다임과 지원정책 방향(3)

  • Kim, Deok-Yeo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2 s.262
    • /
    • pp.18-27
    • /
    • 2000
  • 한국은 최근의 경제위기로 인해 앞으로 상당기간동안 군사비의 대폭 증액을 기대할 수 없게 됨으로써 방위산업의 침체는 지속될 전망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위산업의 구조개혁, 시설.기술.인력의 민.군 겸용 확대, 수출 등을 통해 활로를 찾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국내 방산업계의 기술수준이나 경쟁력으로는 급속한 수출증대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방산업계 스스로 기술개발 등을 적극 추진하고 정부와 함께 수입대체 및 수출증대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한국(韓國)의 경제성장(經濟成長) : Kaldor법칙(法則)에서 성장양식분석(成長樣式分析)까지

  • Mun, U-Si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5 no.2
    • /
    • pp.161-179
    • /
    • 1993
  • 본고는 생산성(生産性)과 성장률(成長率)간의 누적적(累積的) 성장과정(成長過程)이라 불리는 Kaldor의 축약(縮約)모델을 구조(構造)모델로 확대하여 우리나라의 성장과정을 분석한다. 우리나라는 저임금(低賃金)을 통한 수출주도형(輸出主導型) 경제성장을 추구해 왔으나 87년 이후로 고임금화(高賃金化) 및 수출역할(輸出役割)의 감소(減少)라는 구조적(構造的) 위기(危機)를 겪고 있다. 과거 선진제국에서 고도성장을 가능케 하였던 "포디즘"적 성장체제는 이러한 위기(危機)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안된다. 왜냐하면 오늘날과 같이 국가간 상호의존성(相互依存性)이 크게 증대되고 국가간(國家間) 경쟁(競爭)이 심화되는 상황(globalization)하에서는 국내시장(國內市場)과 해외시장(海外市場)간의 구분 자체가 의미를 잃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출(輸出)과 내수(內需)가 독립적일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가 어떠한 성장양식으로 이행하든 그 방향은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강화(競爭力强化)와 일치해야 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고성장(高成長)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산성향상(生産性向上)이 소비증대(小費增大)가 아니라 수출증대(輸出增大)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