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정화

Search Result 42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Monitoring/Modeling of Hydrology, Water Quality, and Agroecological Environment at Small Watersheds : A Pilot Study Program (농업유역의 수문.수질.생태환경 모니터링/모델링 연구)

  • Park, Seung-U;Lee, Hye-Won;Im, S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Conference
    • /
    • 1996.03a
    • /
    • pp.17-20
    • /
    • 1996
  • 지난 20여년 동안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대기와 물의 오염, 쓰레기 공해 등 자연환경의 훼손과 피폐화가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다. 또한, 과다한 농약. 비료의 투입과 농사료에 의한 축산으로 높은 농업 생산성을 이룩하였으나, 이로 인하여 토양오염과 하천과 지하수 수질오염, 식생, 곤충 등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최근, 수자원 함양, 수질 정화 등의 순기능으로 농업의 환경 기여 효과가 큰 것으로 발표되었다. 논으로 부터의 오염부하는 생활 오수나 공장폐수 등에 비하여 정성적으로는 미미한 것이 사실이며, 실제로 관개수로 유입되는 영양물질이 작물에 의하여 흡수되므로 물질 수지적 측면에서 수질정화 효과를 나타낸다는 개념이다. 그러나, 오염된 관개수와 함께 유입되는 물질과 영농 목적으로 투입되는 다량의 비료와 농약, 제초제 등의 독성 물질 등에 의한 생태 환경의 변화 등에 대한 영향 등에 관한 종합적 관점에서의 효과는 불분명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폭우시 농경지로부터 유출에 의한 토사유실과 영양 물질이 손실 등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부족하며, 이로 인한 유역에서의 수문, 수질, 생태환경 등을 정량적 분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농업유역에서의 수문과 물질순환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주요 오염원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조절방법 등을 위한 유역수질관리 기술개발과 함께, 경지와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을 극소화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관개시설 등 농업기반조성사업에 따른 인위적인 수문환경으로 인한 농경지내에서의 수문.물질순환 기작의 변화 등을 고려한 수질 및 생태환경에 판한 종합적인 모니터링, 모델링 등의 접근이 필요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95 농림수산특정연구 중 첨단연구과제로 추진 중인 농업생태환경 및 종합적 환경관리 시스템 개발연구의 목표와 내용, 범위 등을 소개하고, 농촌지역에서의 건전한 환경관리를 위한 유역관리기술 개발의 방향 등을 정리하도록 한다.

  • PDF

Evaluation of Pollutants Removal for Treated Wastewater Effluent and River Water by Meandering Constructed Wetland System (하수처리수와 하천수를 대상으로 한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 시스템의 오염물질 제거에 대한 수질정화 평가)

  • Lee, Sa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26 no.1
    • /
    • pp.131-139
    • /
    • 2012
  • Field experiment was performed from June 2010 to July 2011 to evaluate pollutants removal efficiency in the 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the treated wastewater and the river water. The wetland systems were constructed near Gyungan river. Two different systems with meandering shape were compared for seasonal base and operational period base. Several kinds of aquaculture are planted through the corridor of wetland system. Average removal rate of BOD, T-N and T-P for A system were 15.8%, 14.8% and 26.5%, respectively. Average removal rate of BOD, T-N and T-P for C system were 23.5%, 27.8% and 10.6%, respectively. The effluent from two wetland systems often exceeded effluent water quality standards for wastewater influent, however effluent water quality standards for river water. However, the wetland system can be useful to treat polluted river water and effluent from wastewater plant. Removal rate of pollutants in seasonal variation was the highest in summer for BOD and T-N, however the removal rates of T-P were higher in spring and autumn than in summer.

Deduction of Best Design Factor of Riparian Buffer Zone for Reduction of Non-Point Pollutants (비점오염 부하 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최적 인자 도출을 위한 연구)

  • Kim, Sung-Won;Choi, I-Song;Jung, Sang-Jun;Woo, Hyo-Seop;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88-1792
    • /
    • 2007
  • 한강 "수변구역"에서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은 다양한 생물의 서식공간이며, 동시에 본류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시키는 수질개선 공간인 수변완충구역, 또는 지대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변완충지대 효과 분석 및 설정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변구역의 자정능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그 밖의 하천 연안에서 비점오염물질의 차단과 처리능력을 증진시키고 수변 생태계의 서식처 보전 및 복원을 위해서 수변완충지대의 수질정화 기술개발과 생물다양성을 창출하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기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변완충지의 추가적인 조성과 보완, 시험완충지 생태구조 및 기능 기초조사, 시험완충지 오염부하 저감효과의 실험 및 분석, 수변완충지대 설치 구상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수변완충지대 조성 시 설정 폭을 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수행 지역은 한강수계 지역으로 남한강 수변인 경기도 양평군 병산리에서 실시하였으며, 잔디와 갈대, 갯버들, 혼합지역, 자연그대로의 상태(대조지역)의 5 구역으로 구분하였고, 거리별, 깊이별 샘플을 채취하여 유입수에 대한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변완충지대의 설계 시 필요한 유역의 폭, 면적, 길이 등과 같은 설계인자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Basic Study of Water Purification Function due to Spit in Small Estuary (하구에 형성된 소규모 모래톱의 수질정화 기능에 관한 기초적 연구)

  • Park, Sang-Kil;Kim, Byung-Dal;Jeong, Seong-Il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1 no.3 s.76
    • /
    • pp.8-15
    • /
    • 2007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gnitude of sand spit in the estuary of the stream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water that flaws into the sea, by means of hydraulic experiment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improvements of water quality when river flow is stagnant, the estuary flows into the sea through the small sand spit, and a two-dimensional physical model experiment was carried out.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was decreased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length of sand spit and time.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oretical results, based on the solution of the equation. Also, there are functions of influx prevention of salt wedge and purification of pollution water due to sand spit in small estuary.

The Psychological Relaxation Effects of College Students in Location Targeting Seonyudo Park in Autumn (가을철 선유도공원의 주제공간이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

  • Yoon, Yong-Han;Oh, Deuk-Kyun;Kim, Jeong-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2
    • /
    • pp.13-22
    • /
    • 2015
  • The study discovers mood state and enhancement effect of users by scenery of location targeting Seonyudo Park; where is widely recognized as the representative recycling environmental park as well as theme experience space and scenery admiration in Korea. Also, the influence level of park and thematic space upon wellness was researched for future park design and its base data. As a result of semantic differential(SD), the most items showed low point in positive way when people admiring the scenery in Seonyudo. Also, a subject experienced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inside scenery element of the park. As a result of profile of mood states(POMS), a tension and anxiety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Urban (7.78) > Water Purification Basin(3.33) > Gardens of Water Plants(2.11) > Garden of Green Pillar(2.00) > Garden of Time (0.89). The depression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Urban(4.94) > Water Purification Basin(3.50) > Garden of Green Pillar(2.94) > Garden of Time(1.61) > Gardens of Water Plants(1.38). The anger and hostility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Urban(4.22) > Water Purification Basin(3.33) > Garden of Green Pillar(2.22) > Garden of Time(1.39) > Gardens of Water Plants(1.11). The fatigue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Urban(6.5) > Water Purification Basin(3.39) > Garden of Green Pillar(2.78) > Garden of Time(2.28) > Gardens of Water Plants (2.06). The vigor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Gardens of Water Plants(11.39) > Garden of Time(11.00) > Garden of Green Pillar(8.39) > Water Purification Basin(7.77) > Urban(5.28). Also, as a result of statistics analysis, difference value of scenery type is significant. The result of total emotional disturbance(TED) was analyzed in order of Urban(24.5) > Water Purification Basin(9.5) > Garden of Green Pillar(4.67) > Garden of Time(-1.39) > Gardens of Water Plants(-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