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정화

Search Result 42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nalysi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iciency using constructed wetland in a coastal reservoir (연안 담수호 수질오염 방지를 위한 인공습지의 수질정화효율 분석)

  • Hong, Jungsun;Maniquiz-Redillas, Marla C.;Ham, Jong-Hwa;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8 no.3
    • /
    • pp.292-300
    • /
    • 2016
  • Diverse and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were established to prevent water pollution in coastal areas such as constructed wetlands(CW).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through CW constructed along the shoreline of Hwaseong coastal reservoir. The CW is located in Hwaseong-si, Gyeonggi-do and consisted of a forebay and a wetland. The CW was monitored twice during rainy days and 10 times during dry days. The monitoring results indicated that in and out flowrat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COD and TN loads. COD, TN and TP concentrations in the forebay was lower during dry days than rainy days. However, concentration and mass removal efficiencies of COD, TN and TP were greater during rainy days. In addition, the volume flowing into the CW was less compared to the outflow during rainy days indicating that the CW efficiently reduced the runoff volume. The overall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the CW were at least 50% for TSS, 20 to 35% for TP, and 26 to 94% for TN. The data gathered may be used to improv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the system in the future.

The Case of Industrial Factory Wastewater Treatment and Reusing by Using of Constructed Wetland (식물정화조를 이용한 공업용 폐수의 정화 및 재활용 사례)

  • 김혜주;이옥하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2
    • /
    • pp.179-187
    • /
    • 2002
  • Constructed wetland was built for industrial factory wastewater treatment with environmentally sound method from July to October, 2000. Ultimately this case study was carried out to conserve water quality of river and underground water and to provide wildlife habitat and rest place for people in the industrial area. The size of constructed wetland was 10m$\times$6m (upper area) with a treatment capacity of 2.5㎥ per day. It was supplied with wastewater 0.625㎥ at intervals of six hours. Vertical flow system was chosen to promote efficiency. Draining layer was built one meter in soil depth out of sand mixed with pebbles in a ratio of two to one. Perennial emergent plants, Phragmites communis, Typha orientalis, Juncus effusus, Iris pseudoacorus, 20 individuals per square meter were planted. In the aspect of reusing, eco-pond was created for increasing biological species diversity and also deck and information signboard were established for the education of environment. As the result of monitoring, it was revealed that the constructed wetland was effective in removal of BOD$_{5}$, COD, T-N, T-P and has being gradually improved as a wildlife habitat(biotope).

The test-bed construction and water purification assessment of the eco-convergence type aerated string contacted oxidation system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수로 Test-Bed 구축 및 정화효율 평가)

  • Choi, Sunhwa;Lee, Seung-Heon;Jang, Kyusang;Kim, He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92-592
    • /
    • 2016
  • 국내에는 17,500여개의 농업용 저수지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국내 농업용 저수지는 대부분이 소규모이며, 연중 수량 변동이 심하고, 유역배율이 작아 태생적으로 수질오염에 취약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는 도시 근교나 농촌지역에 많이 위치하고 있어 유역 내 축산 농가나 미처리 생활하수에서 유래된 유기물 및 영양염류 유입에 의한 수질오염도가 높다. 저수지에 고농도로 유입되는 유기물, TN, TP를 처리하기 위하여 농어촌연구원과 수생태복원(주)에서는 공동으로 친환경 수처리시설인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생태융합 접촉산화수로는 상부 식생과 수로 내의 섬유상 끈상 미생물 접촉재를 이용하여 오염수가 수로를 흐르면서 침전, 여과, 흡착, 산화, 흡수 등 물리학적, 화학적, 생물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유기물과 질소, 인을 제거하는 물리적, 생물학적 공정을 융복합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시흥시에 소재하고 있는 M 저수지에 현장 Test-bed를 구축하여 수질정화효율을 평가하였다. M 저수지는 유효저수지량이 약 23만톤에 해당하는 소규모 저수지로, 1941년도 준공된 아주 노후화된 저수지로 평균 수심이 2m 이하이고 연중 수질오염도가 높은 저수지이다. 매화저수지 수변에 설치된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수로의 전체규모는 길이 8.6m, 폭 2m, 수심 2m에 해당하며, 끈상 미생물 메디아조 3개($2{\times}2{\times}6m^3$), 침전조 1개($2{\times}2{\times}2m^3$)로 구성되어 있다. 기타 부대 장치로는 끈상 메디아조에 산소공급을 위한 Air-mist(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자동운전계기판, 유입펌프 등이 있다.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수로의 처리 공정은 유입수${\rightarrow}$에어미스트${\rightarrow}$고속복합응집장치${\rightarrow}$융복합 산화조(3조)${\rightarrow}$침전조${\rightarrow}$방류로 구성되어 있다. 테스트 베드는 2015년 8월 말경에 구축 완료하였으며, 끈상 미생물 메디아조의 수질정화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9월부터 11월까지 총 7회 걸쳐 유입수와 유출수를 각각 조사하였다. 현장 측정항목인 수온, pH, EC, DO 등은 유입수 및 유출수간 큰 차이가 없었고, COD, SS, Chl-a, TP 등은 수처리시스템 초기 가동시에는 메디아에 미생물 부착율 저조로 유입수 및 유출수 수질농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운영시간의 경과와 함께 메디아의 미생물 충진율이 높아짐에 따라 처리효율이 최대 SS 69.6%, Chl-a 89.3%, TP 89%까지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융합 접촉산화수로는 부지 집약적인 컴팩트한 수처리 시설로서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인공습지를 대체할 수 있는 경제적인 시설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Carbonized Wastewoods on Purification of Wastewater (목질폐잔재 탄화물의 수질정화 효과)

  • Lee, Dong-Wook;Kim, Byung-R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0 no.1
    • /
    • pp.34-39
    • /
    • 200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arbonized wastewoods on purification of waste water. The purification ability of charcoals(lump-shaped, approximately 3×3×3 cm) maded by wood-based material for waste water from a kitchen and septic tank was superior to those of thinned wood. For lump-shaped charcoal, gaps between particles in particleboard, and gaps between fibers in MDF were much more effective than micropore in purification of waste water. After purification test, color of waste water from wood-based material charcoals were much more lighter than thinned wood charcoals. In addition, odors of waste water from both charcoals tended to be decreased.

Studies on Mutagenicity of Ag-Os, a Water Treatment Agent (수질 정화제로 개발한 Ag-Os의 변이원성 시험)

  • Lee, Yong-Kyu;Baek, Nam-Jin;Shin, Choon-Whan
    • Environmental Mutagens and Carcinogens
    • /
    • v.18 no.1
    • /
    • pp.43-46
    • /
    • 1998
  • In order to evaluated the mutagenic potential of Ag-Os produced by receiving Ag ion at the carrier, 2 types of mutagenecity tests were performed. No mutagenic potential was shown in bacterial reverse multation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m TA 1535, TA 1537, TA 98, TA 100. No DNA-damaging property was shown in Rec-assay using Bacillus subtilis(Rec+) and Bacillus subtilis (Re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g-Os does not cause reverse mutation and DNA-damaging property

  • PDF

댐수몰지내 지하수/토양 오염관리를 위한 조사기법 제안

  • 박재현;김형수;원이정;석희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299-301
    • /
    • 2004
  • 댐수몰 예정지 상류에 일반적으로 분포하는 폐광산, 축산단지, 군사격장 등의 점오염원에 의하여 댐수몰 예정지 상류지역의 지하수 및 토양이 오염된 사례가 많으며, 이러한 오염은 댐 건설을 위한 적지선정시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댐 건설중에도 댐저수지 수질을 지속적으로 악화시키는 요인들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지하수내에 잔존하는 오염물들은 지하수 유동특성상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므로, 댐건설이 완료된 담수후에도 지속적으로 수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국내외에 수행되었거나 진행중인 댐수몰 예정지의 오염조사 평가 및 복원ㆍ정화 사례를 조사하는 한편, 현재 댐건설이 예정된 지역에 대하여 직접적인 현장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국내에 적합한 조사ㆍ평가 기법과 복원ㆍ정화 기법을 개발,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pplication of Dissolved Air Flotation Technique to Improve Reservoir Water Quality (가압부상 공법을 이용한 호소수질개선 연구)

  • Kim, Tae-Hoon;Sei, Young-Ho;Ahn, Tae-Woong;Choi, I-Song;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91-493
    • /
    • 2012
  • 우리나라는 농업용수, 생활용수 등의 목적으로 여러 개의 호소 등을 설치하여 운영 중에 있다. 하지만 몇몇 호소들은 인구증가 및 산업발달로 인하여 매년 오염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하여 남조류가 과다번식 할 경우 호소 수질 및 수생태계에 악영향은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호소의 부영양화 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영양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여러 제한인자 중 인(P)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부상분리의 일종인 DAF는 침전공정의 대안으로서 25년 전부터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정수 및 하수처리 공정에서 이용되어 왔다. 가압부상공법에서 발생되는 기포의 크기는 $50{\sim}100{\mu}m$ 정도로 부상물질인 스컴이 파괴될 가능성이 낮고 기포의 크기가 작아 공기의 용해효율이 높으며 대전작용, 물리적 흡착효과 등의 특징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공기와 물 뿐만 아니라 Al 성분의 응집제인 PAC를 이용하여 버블을 발생시킬 경우 인의 제거 효율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가압부상공법의 경우 응집 침전 공정과는 달리 발생되는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외부로 유출 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호소 수질정화에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의 형태와 유사한 반응조를 설계하여 DAF를 주입하는 실내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호소수질 정화를 위한 DAF의 타당성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 PDF

Study of Cost-effectiveness analyses of polluted-river sediments dredging (하천 오니토 준설에 대한 편익산정 방법 연구)

  • Kwon, Yoon Jeong;Lee, Yealin;Lee, Kangwook;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0-460
    • /
    • 2021
  • 각종 오염물질이 수계로 유입되어 침강하면 하상에 퇴적되는데 이 오염된 퇴적물 중 질퍽한 콜로이드상의 물질을 오니토라 일컫는다. 이 오염물은 저장소 및 물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질 악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는 인, 질소 등의 영양염류를 수중으로 재용출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원 종류 중 하나이다. 하천 준설은 하천에서 저수용량 확보와 하상 유지관리 및 골재확보, 수질 개선을 위해 토사를 제거하고 그 토사를 운반선에 의하여 운반하여 지정된 투기장에 투기하는 일련의 공사를 말하며, 이를 통하여 비점오염원인 오니토를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준설의 필요성 판단 및 수질개선 효과를 모니터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수질과 유량을 조사해야 한다. 이때 대상구간이 요구하는 수질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오염퇴적물 준설 기준을 통해 준설이 필요한 구간 및 사업량을 결정한다. 준설 사업량의 경제적 타당성을 정량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대상 구간을 준설을 하지 않을 시 오니토가 상시 용출된다는 가정하에 물재생시설로 이 오염물을 정화했을 때의 비용을 준설 사업비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공사 표준시방서(2007)에 제시된 오염퇴적물 준설 기준을 만족하는 서낙동강수계의 준설 계획 지구에 대한 계획 사업비와 해당 지구 하류에 위치한 물재생시설의 정화능력 및 운영비를 비교해 하천 준설 사업비에 대한 편익을 산정하였다.

  • PDF

Water Treatment Using Constructed Wetlands and Research Perspectives in Korea (인공습지를 이용한 수처리 효율 및 향후 연구제언)

  • Gang, Ho-Jeong;Song, Geun-Y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6 no.2
    • /
    • pp.57-63
    • /
    • 2004
  • More than 1000 natural and constructed wetlands have been used to improve water quality. The general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was 84% for BOD and the lowest one was 48% for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In addition, total phosphous removal efficiency was 67%, and the removal efficiencies are related to inflow loading. Researches donducted in Korea have focused on input-output mass balance and uptake by aquatic plant. As such little information if available about complex processes regulating water quality and role of microbes. Therefore, to determine the optimal design for construct, and methods to operate constructed wetland, researches about complex mechanisms of contaminant removal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are necessa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