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tudy on the unification between KS I ISO standard and official test method enac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 drinking water and indoor air quality -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과 KS ISO규격의 일원화에 관한 연구 - 먹는 물 및 실내공기질 -)

  • Lee, Jeong-Il;Lee, Ju-Hee;Lee, Jeong-Hee;Lee, Jun-Hee;Lee, Won-Seok;Kim, Ji-In;Kim, Bo-Kyung;Choi, Sung-Hu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5 no.2
    • /
    • pp.102-113
    • /
    • 2012
  • Our study researched on unification of KS I ISO standard harmonized with ISO and Official Test Method enac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drinking water and indoor air quality. We reviewed KS methods related to drinking water and indoor air quality for about 23,000 KS methods. KS methods related environmental field are classified as KS I, total 635 methods and 583 KS I methods were harmonized with ISO. For Environmental Standard methods for drinking water, 100 methods were reviewed according to 232 KS methods related to ISO/ TC 147 "Water Quality". Environmental Standard methods for indoor air quality were reviewed according to 95 KS standard methods related to ISO/TC 146 "Air Quality". By reviews and comparison tests for unifiable ES for drinking water and indoor air quality with KS methods harmonized with ISO, it was evaluated that for 100 ES methods for drinking water, 23 ES methods were unification complete, 29 ES methods were unification possible, 12 ES methods were unification impossible, no corresponding methods were found in KS I ISO for 36 ES methods and for 17 ES methods for indoor air quality,1 ES methods were unification complete, 3 ES methods were unification possible, 3 ES methods were impossible, no corresponding methods were found in KS I ISO for 10 ES methods.

Comparison of Instrument Characteristics on the Total Organic Carbon Analysis Method in Water Samples (수질분야 총유기탄소 분석방법에 따른 장비별 특성 비교)

  • Hye-Sung Kim;Eun-Tae Hwang;Chan-Geun Lee;Young-Cheol C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5
    • /
    • pp.353-362
    • /
    • 2023
  • TOC, which can measure more than 90% of organic substances, can be measured quickly and easily,replacing BOD and COD, which were indicators of organic pollutants. According to water quality pollution control standards, when measuring TOC, if the inorganic carbon ratio in the sample is over 50%, the NPOC (Non-Purgeable Organic Carbon) method should be used. I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re present at a certain concentration, the TC-IC (subtracting inorganic carbon from total carbon) method should be used. To validate the limitations of these analytical conditions,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varying the ratio of TOC to IC in purified water and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OC in test solutions.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C-IC method and the NPOC method. When measuring samples with added VOC standard solutions, it was observed that the carbon loss due to purging was not significant when using the NPOC method.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choice of analytical method does not lead to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VOCs are present in the sample. To account for potential variations in results based on water quality pollution control standards and regulations regarding the approval and testing of environmental measurement devices, a comparison of field sample concentration values was made using two widely used types of TOC analyzers in Korea. The results showed variations of 0.02 to 0.83 mg/L between methods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highlighting the need for caution when selecting an instrument.

Removal Efficiency and Applicability Analysis of Suspended Solids in Nonpoint Source Reduction Equipment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부유물질 제거효율 및 적용성 분석)

  • Jang, Suk-Hwan;Lee, Jae-Gyeong;Lee, Hae-Gwang;Oh, Ji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5-245
    • /
    • 2018
  • 최근 도시화 및 산업화의 발달로 불투수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건기 시 토지 표면에 축적된 오염물질이 강우유출수와 함께 하천으로 유출되는 등 수질오염의 가중과 불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의 집중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환경기초시설 등의 건설로 점오염원 관리는 강화되었지만, 비점오염원의 부하량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환경부 및 관계부처에서는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여러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비점오염저감장치는 자연형 시설과 장치형 시설로 구분되는데, 이 중 장치형 시설은 필터를 사용하여 비점오염저감의 효율성을 증가시키지만,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유지관리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필터가 없는 장치형 시설을 고안하여 자연 순환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고, 오염물질을 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리실험을 통해 비점오염원의 제거효율을 분석하였다. 수리학적 상사법칙에 따라 원형대비 1/3축소모형과 2가지의 원형모형에 대해 총 3가지 모형에 대해 환경부에서 고시한 비점오염저감장치 기준을 뛰어넘는 유역면적, 강우강도 및 부유물질의 양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유입수 농도에 대한 유출수의 농도로 계산하였으며, 장치에서 유출 직후 5분 간격으로 채취한 후, 수질공정시험법을 참고하여 부유물질에 대한 실험 중 하나인 유리섬유여과방법을 이용해 실험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고안한 장치형 시설은 필터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환경부 기준인 부유물질 제거효율 80%이상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치형 시설보다 유지관리 및 경제성 등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mparison of Algal Growth Kinetics using Reclaimed Wastewaters from Various Treatment Processes (다양한 수질정화 공정 별 하수처리수 재이용수의 조류성장 비교)

  • Joo, Jin-Chul;Seo, Sou-Hyun;Song, Ho-Myeon;Kim, Il-Ho;Ahn, Chang-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9-309
    • /
    • 2011
  • 지구온난화와 도시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연의 생태적 기능을 복원하고 환경에 대한 오염부하를 저감하여 도시 환경의 건강성과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도심 내 물순환시스템(urban water circulating system)의 구축이 요구된다. 즉, 물순환시스템을 활용하여 도심 내 다양한 수원(생태하천/호수 유지용수, 하수처리수, 우수, 지하수 등)을 네트워크 및 통합 관리하여 도시 내 물순환의 건전성과 수자원의 재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중 발생량이 일정하고 막대한(66.4억톤/년, 2009년 기준) 하수처리수 방류수는 고도처리를 통해 수질이 양호하며 안정적인 대체 수자원으로 고려된다. 또한,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은 공공수역으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의 총량 삭감 및 상수사용량의 절감과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는 면에서 최근 재이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도심 내 친수공간(생태하천/호수)은 저류수량에 비해 유입수량이 적어 체류시간이 비교적 장시간이고, 이로 인해 부영양화가 쉽게 발생해 수질이 악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 재이용수를 도심 내 친수공간의 유지용수로 활용 시, 수질정화공정(응집 후 여과, 응집 후 여과+한외여과, 응집 후 여과+한외여과+역삼투 공정)이 친수공간 내 조류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하수처리수 재이용수 pilot plant의 수질정화공정별 유출수를 활용해 M. aeruginosa를 시험조류로 조류성장(growth kinetics)을 조사하였다. 조류는 $5\times104$ cells/mL의 초기 농도로 접종하여 배양하였으며, 조류성장에 직접적인 제한인자인 용존반응성인의 농도에 따른 성장속도를 Monod와 변형 Monod Kinetics를 이용해 반포화상수(Ks)와 최대 성장속도(${\mu}$max)를 산정하였다. 실험결과, 역삼투 공정을 제외한 다른 수질정화공정은 비록 영양염류가 80~90% 이상 제거되어 수계의 화학적 성상이 변하였으나 조류성장역학의 변화는 통계학적 (p=0.05)으로 유의할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2주 이상이 될 경우, 역삼투 공정을 제외한 수질정화공정 별 유출수에서는 조류의 과다성장으로 인해 부영양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결론적으로 하수처리수 재이용수를 친수용수로 활용시, 조류성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존반응성인의 농도를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수질정화공정 및 유지용수 공급방안을 고려해야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3D composited monitoring system using unmanned surface vehicle (무인 원격 이동체를 활용한 3차원 복합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연구)

  • Ho Soo Lee;Chang Hyun Lee;Young D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86-86
    • /
    • 2023
  • 최근에 들어 환경보전과 지속가능한 하천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통합물관리에 있어 수리량과 수질을 연계한 통합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수리량과 수질 분야에 대한 모니터링 기술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각 분야의 개별적 연구로 인해 수리량과 수질을 통합하여 모니터링 하는 기술 개발은 미흡한 수준이다. 또한 수질 측정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있는 채수 기준에 따라 채수하여 측정하고 있으며, 채수 지점은 하천의 수심별로 달리하여 정해진다. 수리 측정은 현장계측을 통한 2차원적 계측으로 진행하고 있어 수질 측정 시 채수지점과 수리 측정지점은 일치하지 않는다. 동일 지점에서의 수질과 수리량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지 못한 모니터링은 본류와 지류의 혼합거동이 많은 국내 하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또한 현재의 수질·수리 모니터링은 ADCP나 다항목수질측정기 같은 고가의 장비를 운영하며, 홍수기와 같은 고위험 계측 조건에서 인력을 통해 측정하고 있기에 고비용의 장비운영비와 인명 피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무인 원격 기술을 적용한 하천 모니터링 기술과 수질과 수리량의 데이터 연계를 통한 3차원 모니터링 기술의 확보는 하천관리에 있어 매우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 무인 원격이동체인 ROV와 무인 원격이동체(USV)를 활용한 3차원 수질·수리 모니터링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하천 특성을 고려한 혼합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ROV에 수중 GPS 장비와 수질센서를 부착시켜 수중 내 2차원으로 측정되는 수리량과 동일한 좌표를 가지는 수질자료를 계측하여 하천의 연직 분포와 수평적 분포를 통해 화학적 수리적 거동을 분석하여 하천의 3차원 혼합거동 양상을 판단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무인 원격이동체를 통한 3차원 수질·수리 모니터링 기술은 하천의 3차원 분석에서 수질·수리량 보간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하천 전반 및 통합물관리에 있어 크게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based on sensors and intelligent algorithms (센서 및 지능형 알고리즘 기반 총 질소 농도 예측 연구)

  • Su Han Nam;Jae Hyun Kwon;Young D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54-154
    • /
    • 2023
  • 수질모니터링은 수자원 보존과 공중 보건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강우와 산업화 등의 이유로 비점오염물질 및 오염원 배출량이 증가하여 하천과 호소에 영양염류가 증가하게 된다. 영얌염류의 증가로 하천에 부영양화 상태가 지속된다면 녹조발생 등으로 인해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부영양화는 원수의 유기물량 증가로 인해 처리비용 증가, 이취미 문제 등 인간에게도 직접적인 문제를 유발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하천 취수율이 높은 국가이며, 낙동강 중상류 지역에는 산업시설이 과도하게 밀집되어 있어 하천에 오염물질 유입이 되어 부영양화가 된다면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TN은 부영양화의 중요한 지표다. 우리나라의 TN 측정은 시료 채수 후 실험실에서 수질오염공정 시험기준에 따라 진행이 된다. 실험실 분석은 TN 농도를 분석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며, 정확한 검출 및 정량화를 목표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정교한 장비를 갖춘 전문 실험실 및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한다. 환경부에서 주요 하천에 수질측정망을 설치하여 수질현황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통해 수질변화 추세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시간 TN 농도를 감지하는데 매우 제한적이다. 현재 조사방식은 TN 농도 증가로 인한 문제에 대해 초기대응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 센서의 발전으로 다양한 항목을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었다. TN에 대한 직접적인 센서 모니터링은 불가능 하지만 여러 측정 항목이 TN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오염도가 높은 낙동강을 대상으로 TN 예측에 대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과거 측정된 자료를 활용하여 센서로 측정 가능한 항목을 통해 TN 예측을 진행하며, 실제 활용을 위해 회귀식을 도출하고자 한다. 최근 환경부에서 실시간 수질 현황 및 오염도를 파악하기 위해 자동측정망 지점을 늘리는 추세인데,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한다면 실시간 TN 예측에 대한 기초자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rrelation between Lithium Concentration and Ecotoxicoloigy in Lithium Contained Waste Water (리튬 함유 폐액에서의 리튬 농도와 생태독성과의 연관성 연구)

  • Jin, Yun-Ho;Kim, Bo-Ram;Kim, Dae-Weon
    • Clean Technology
    • /
    • v.27 no.1
    • /
    • pp.33-38
    • /
    • 2021
  • Demand for lithium-based secondary batteries is greatly increasing with the explosive growth of related industries, such as mobile devices and electric vehicles. In Korea, there are several top-rated global lithium-ion battery manufacturers accounting for 40% of the global secondary battery business. Most discarde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recycled as scrap to recover valuable metals, such as Nickel and Cobalt, but residual wastes are disposed of according to the residual lithium-ion concentration. Furthermore, there has not been an attempt on the possibility of water discharge system contamination due to the concentration of lithium ions, and the effluent water quality standards of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re becoming stricter year after year. In this study, the as-received waste water generated from the cathode electrode coating process in the manufacturing of high-nickel-based NCM cathode material used for high-performance and long-term purposes was analyzed. We suggested a facile recycling process chart for waste water treatment. We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lithium-ion concentration and pH effect according to the proposed waste water of each recycling process through analyzing standard water quality tests and daphnia ecological toxicity. We proposed a realistic waste water treatment plan for lithium electrode manufacturing plants via comparison with other industries' ecotoxicology.

Selective Nitrate Removal Performance Analysis of Ion Exchange Resin in Shipboard Waste Washwater by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선박용 대기오염장치 폐세정수 내 질산염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이온교환수지 공정 성능 평가)

  • Kim, Bong-Chul;Yeo, In-Seol;Park, Chan-Gy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1 no.4
    • /
    • pp.399-404
    • /
    • 2021
  • From 1 January 2020, the limit for Sulphur in fuel oil used on board ships operating outside designated emission control areas will be reduced to 0.5 %. This regulation b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is a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Sulphur oxides (SOx) discharging from ships and should have environmental advantages and health for all over the world. To meet the regulation, in these days, wet scrubber system is being actively developed. However, this process leads to make washing wastewater. In this study, we evaluated ion exchange resin system in accordance with scrubber wastewater discharge regulation by IMO. Theoretical wastewater used as feed solution of lab scale water treatment systems. The results revealed that nitrate ion was removed selectively in spite of high TDS wash wastewater solution depending on ion exchange resin property. Moreover, it was possible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system by optimizing operating conditions.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nge by Membrane Damage to Pretreatment Process on SDI in Wastewater Reuse (하수재이용에서 전처리 막 손상에 의한 수질변화가 SDI에 미치는 영향평가)

  • Lee, Min Soo;Seo, Dongjoo;Lee, Yong-Soo;Chung, Kun Yong
    • Membrane Journal
    • /
    • v.32 no.4
    • /
    • pp.253-263
    • /
    • 2022
  • This study suggests a guideline for designing unit process of wastewater reuse in terms of a maintenance of the process based on critical parameters to draw a high quality performance of RO unit. Defining the parameters was done by applying membrane integrity test (MIT) in pretreatment process utilizing lab-scale MF. SDI is utilized for judging whether permeate is suitable to RO unit. However, result said TOC concentration matching with particle count analysis is better for judging the permeate condition. When membrane test pressure (Ptest) was measured to derive log removal value in PDT, virgin state of membrane fiber was used to measure dynamic contact angle utilizing surface tension of the membrane fiber. Actually, foulant affects to the state of membrane surface, and it decreases the Ptest value along with time elapsed. Consequently, LRVDIT is also affected by Ptest value. Thus, sensitivity of direct integrity test descends with result of Ptest value change, so Ptest value should be considered not the virgin state of the membrane but its current state. Overall, this study focuses on defining design parameters suitable to MF pretreatment for RO process in wastewater reuse by assessing its impact. Therefore, utilities can acknowledge that the membrane surface condition must be considered when users conduct the direct integrity test so that Ptest and other relative parameter used to calculate LRVDIT are adequately measured.

Evaluation of the Water Quality Impact of Bibong Mountain Forest Basin for Forest Fire Damage (산불로 인해 훼손된 비봉산 산림유역의 수질 영향 평가)

  • Sung Hoon Ahn;Ui Seok Kim;Yong Bin An;Eun Mi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16-416
    • /
    • 2023
  • 전 국토의 산지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는 산림지의 특성이 수질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림지역의 화재에 있어 산림이 갖는 수질, 토성의 변화와 발생한 연소 퇴적물, 유기물로 인해 수자원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산불은 단순한 산림지의 자원 유실뿐만 아니라 토양층의 물리적약화와 강수저류 효과를 떨어뜨려, 산불 후 유출의 증가를 보인다. 삼척시의 산불 선행연구에 따르면, 산불 발생 직후, 지역의 직접 유출이 기저 유출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모든 수질인자의 평균 농도는 비발생지역에 비해 발생 지역의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이 중 T-N, T-P, SS의 농도가 특히 크게 나타났다. 또한, 계류 수질의 경시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BOD와 COD는 산불 발생 최소 4개월의 기간을 거친 후 점차 안정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산불로 인해 훼손된 물 환경의 상황을 복구하고자 하는 연구의 데이터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2년 4월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송청리 비봉산 일대의 산불 유역을 대상으로 산불에 따른 물 환경의 변화를 밝힘으로써 산불로 훼손된 지역의 효과적인 수질 회복과 물 환경 보전 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2023년 4월 양구 비봉산의 산불 복구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복구 전 현재 수질의 상황을 살펴봤다. 조사 지역은 비봉산 일대의 산불 지역과 비발생 지역, 오봉산 일대까지의 유역 출구 총 7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기본 수질항목은 현장에서 YSI PROPLUS (Mobile Multi Sensor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채취한 시료는 무균 채수 병에 담아 실험실로 운반하여 SS (Suspended Solids), TP(Total Phosphorus), TOC (Total Organic Carbon) 항목에 대해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SS, TOC, t-p의 경우, 지정학적 특성, 산불에 의한 퇴적물들의 변화와 토양의 형태 및 식생의 변화로 인한 결과의 차이를 보였다. 1년이 지난 지금 산불 직후처럼 높은 수치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아직 복구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그 영향에 대해 무시할 정도로 안정화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산불 발생 후 강우 및 토사유출에 대한 비 산불 지역과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수질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또한, 수처리 기술개발을 포함한 예방책을 만들어 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길 바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