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관리방안

Search Result 56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udy in the integrated watershade management for conservation of water resources(I) - Water Quality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capacity of the Samchog Buk stream, Oship stream, Gagog stream nearby eastern coastal - (수자원 보전을 위한 유역통합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I) - 동해안 유역의 북천, 오십천, 가곡천 수계의 수질 및 환경용량 평가)

  • 허인량;정의호;권재혁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28 no.2
    • /
    • pp.51-60
    • /
    • 2002
  • Concerning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plan about Buk-stream, Ohsip-stream and Gagok-stream water systems in this research, which objectives of abstract is as follows. The result of cleanness degre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this research, the first grade was 91% shared in Buk-stream water system. The most point of the middle and upper stream of Buk-stream was maintain extremely clean water quality. Among the researched water system, the first grade of water quality in Ohsip-stream water system was most poor, its first garde rate was 68%. In all water quality check point of Gagog-stream water system was accomplished extremely clean water quality condition of first grade of BOD. The calculation result of pollutant loading density, which were 8.2, 21.5, 4.0kg/day.$\textrm{km}^2$. respectively and basin of Buk-stream and Gagok-Stream have high development potentiality.

Systematic Review on Management of Livestock wastes for Improving Water Quality (수질개선을 위한 축산계 오염물질 관리방안에 대한 고찰)

  • Ahn, Ki Hong;Ryu, Hong Deok;Kim, Yong S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31 no.5
    • /
    • pp.576-582
    • /
    • 2015
  • In recently, the Korea government is concerning on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to improve water qualit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measurement for management of livestock wastes. As a result, we find that the National Pollution Source Survey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unified database system with the Korea Statistics(KOSAT) in order to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relevant data. The investigation for environmental impact of livestock manure should be supported the designation of control areas and establishment of the technical guidelines including target material, monitoring site, standard method, etc. In addition, it should be followed by appropriate nutrient recycling and proper fertilizer usage based on social consultation and cost-benefit analysis.

Identifying indicator of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considering the local environment (지역특성을 고려한 가뭄취약성 평가 요소 선정)

  • Lee, Gyumin;Kwon, Minsung;Kim, Jinsoo;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91-391
    • /
    • 2019
  • 연평균 강수량의 60%이상이 3개월 동안의 우기에 집중되기 때문에 가뭄은 한국에서 관리가 필수적인 재해이다. 또한 가뭄은 지역별로 피해의 규모 및 대상이 달라 대응을 위한 방안 선정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 환경 및 특성을 반영한 가뭄취약성 평가 요소를 선정하는 과정을 구조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가뭄에 대한 취약 요인과 유발 요인을 선정하기 위하여 Delphi 방법을 이용하였다. 조사는 5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가뭄에 대한 인식을 광범위하게 조사한 후, 이들 중에서 주요한 요인을 선정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최종적인 평가 요인을 선정하였다. 취약요인으로는 농작물 피해, 하천 건천화, 제한 급수, 수질 악화 등이 주요한 요소로 도출되었으며, 유발 요인으로는 기후변화, 저수율 등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요인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며, 특히 도시지역과 농업지역의 선정결과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평가 요소는 가뭄 취약성 평가에 적용되며 가뭄 시나리오에 따른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 PDF

Suggestion of Appropriate Design and Maintenance in a Constructed Wetland using Monitoring Results (현장조사 결과를 이용한 인공습지 적정 설계 및 유지관리 방안 도출)

  • Lee, So young;Choi, Ji yeon;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7 no.4
    • /
    • pp.428-435
    • /
    • 2015
  • Constructed wetlands (CWs) have been accepted as an attractive and economic alternative to a variety of pollution control and provided potentially valuable wildlife habitat in urban and suburban areas, as well as esthetic value within the local natural environment. CWs are known eco-friendly technolog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issues. Numerous studies have been published on the various aspects of a CW. However, there are current limitations about the CW operations such as few design guidelines, poor performance results regarding the simple construction.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suggest an appropriate design and maintenance guidelines for a CW by thorough investigation of site monitoring results. The research also concentrated in redefining and reclassifying CWs, based on literatures made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and other organizations. Investigation at 43 CWs in Korea was performed by using collected data and by performing site survey from 2013 to 2014. Based on the results, the best practices among the investigated CWs provided water treatment, wildlife habita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leisure. Also these CWs conducted a regular maintenance such as vegetation, sediment dredging and cleaning of facilities. Results obtained are intended for use by academics and any organizations involved in CW management.

Planning of roundabout design (회전교차로 설계(안) 방안)

  • Maeng, Seungjin;Hwang, Ju Ha;Azam, Muhammad;Ardasher, Murtazayev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90-490
    • /
    • 2018
  • 우리나라의 홍수대책은 제방 축제 및 보강, 하천의 홍수통수능 확대 등 하천 중심의 대책이 대부분이며, 도시 홍수에 대한 대책과 시설물은 홍수저감용 우수저류조가 대다수이나, 민원과 설치장소 확보 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가뭄대책은 획일적으로 지하수관정 개발에만 의존하고 있다. 이는 우리의 후손을 위해 보존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현 세대에서 가뭄을 극복하기 위한 수자원은 강우에 의한 지표수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도시의 경우 가뭄 극복을 위해 우수를 저류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기술이 필요하고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국내에 로터리 형태로 운영되던 회전교차로가 교통량 증가에 따라 2000년대 이후 성공적인 해외사례를 토대로 한 간혈적인 도입기를 거쳐 2010년 교통운영체계 선진화 방안에 의한 시범사업 이후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ID(Low Impact Development, 저영향 개발) 기법을 적용하여, 홍수와 가뭄에 대한 대책으로 회전교차로 중앙교통섬을 활용한 초기 우수대응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회전교차로 설계 및 시공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도시의 경우 강우시 초기강우에 의한 유출수에는 인체에 해로운 오염물질들이 포화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우수에 의한 유출수를 효과적으로 배제하여 하천수질 등 개선하고자 하며, 이와 같은 초기우수에 대한 비점오염원 저감 시설과 우수를 집적하는 우수저류시설을 회전교차로 내에 설치하고 초기 우수에 대한 관리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Current Conditions of Habitat for Rana catesbeiana and Trachemys scripta elegans Imported to Jeju-do, Including Proposed Management Plans (제주도에 이입된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와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의 서식실태 및 관리방안)

  • Oh, Hong-Shik;Hong, Chang-Eu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1 no.4
    • /
    • pp.311-317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habitat for Rana catesbeiana and Trachemys scripta elegans in order to obtain the current basic data on biota needed for establishing a database on non-indigenous species(NIS) in Jeju-do and to develop management plans applicable to Jeju, starting from March 2005 until May 2006. As a result of an inspection, it was found that the habitat for R. catesbeiana in Jeju includes Hankyeong-myeon, Daejeong-eup, and Ahndeok-myeon. These areas are all located on the western side of Jeju-do, and considered to have favorable conditions for R. catesbeiana to inhabit. Thus, it is unlikely that the population of R. catesbeiana will possibly decrease; what's worse, there exists even a risk that it could not only expand to other regions but also do damage to the population of native insecta, fishes, amphibians and reptiles, so this terrible species ought to be exterminated. More than 92 individuals of T. scripta elegans species were found to inhabit in 15 ponds around Jeju Island. T. scripta elegans. as the topmost predator, could destruct the pond ecosystem, and also cause a problem of water pollution due to its excrement. Counter-measures against T. scripta elegans could include publicity activities encouraging self-control of the release of captive T. scripta elegans, extermination plans using its ecological habits, and sign-posting publicizing its hazard to healthy ecosystem at the area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of T. scripta elegans or at its habitats with high foot traffic, together with the continuous management of NIS(none-indigenous species).

Method recycling of incineration materials in household waste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소각재의 재활용 활성화 방안)

  • Kim, Sukhwan;Shin, Do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10a
    • /
    • pp.153-155
    • /
    • 2021
  • A large amount of combustible household waste are incinerated on a large scale. Incineration ashes including flooring and scattering materials are generated in the incineration facilities. The incineration materials (flooring and scattering) are generated 16.5% of the total amount ashes brought into the incinerator. The amount of incineration materials decrease the landfill period of existing landfills and increase the needs for the construction of new landfills. This study introduces technical and institutional suggestions to solve increasing incineration ash problem by recycling them. As a technical recycling method, incineration materials can be recycled by producing earthwork materials and concrete products. In additio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will be able to promote recycling by improving related laws such as the Waste Management Act and by preparing active institutional support measures such as incentives for recycling companies for Green New Deal strategies.

  • PDF

Green Belt Abolition and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The Case Study of Chongju City (개발제한구역의 해제와 전략환경평가: 청주시를 사례로)

  • Lee, Jong-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2 no.3
    • /
    • pp.121-135
    • /
    • 2003
  • 1999년 7월 청주권을 비롯한 7개 지방중소도시권은 친환경적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한 후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도록 하고, 수도권을 비롯한 7개 대도시권은 보전가치가 낮은 지역을 위주로 부분적으로 해제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표고, 경사도, 농업적성도, 식물상, 임업적성도, 수질 등 6개 항목에 대한 환경평가를 통해 개발제한구역에 용도지역이 지정되었다. 청주시의 경우 환경평가와 주민의견 반영 후 도시계획재정비에 따라 용도지역이 지정되었으나, 평지나 산림생산성이 떨어지는 곳은 낮은 환경등급을 받아 개발이 가능한 용도지역이 지정됨으로써 벨트형 녹지 유지가 어려워져, 시가지 팽창, 대전과 연담화, 도시 허파기능 상실 등의 가능성이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청주권 개발제한구역의 시가화 영향을 토지피복, 지목, 용도지역 등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고, 6개 항목에 대한 환경평가 과정상 문제점을 고찰한 후,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영향을 도시성장측면과 환경용량평가를 통해 규명하고, 전략환경평가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략환경평가의 시행을 위해서는 먼저 오염총량관리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개발밀도관리구역,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의한 인구집중시설에 대한 개발총량규제 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미 시행중인 개발사업 및 개발계획중인 사업에 대한 누적영향평가와 함께 해당 지역에 대한 환경용량평가가 이뤄져야 하고, 아울러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에 대한 사전환경성검토업무편람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환경평가항목에 대한 스코우핑, 환경평가 지표 개발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The Detection of VOCs in Effluents from Sever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nd Industry Drains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 일부 폐수처리장 방류수 및 공단배수로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분포현황)

  • Bae, Hun-K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4 no.4
    • /
    • pp.254-259
    • /
    • 2012
  •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seve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nd two industry drains at Nakdong River basin were investigated. Four Sampling campaigns were conducted between May 2008 and November 2008, and tested for 17 VOCs. As results, eight VOCs were detected at some sampling sites, but their concentration levels were low; 0.19~3.41 ${\mu}g/L$, dependent on each sampling location and substance. However, proper management plans such as supervising and monitoring systems for VOCs are needed to control those pollutants since VOCs might affect human health as well as aquatic ecosystems with extremely low concentration levels.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Status of Sewage Treatment Plants and Improvement Methods (하수종말처리시설 고도처리현황 및 개선방안)

  • Moon, Sun-Jung;Choi, Pill-Gyu;Choi, Ick-Hoon;Park,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74-1178
    • /
    • 2007
  • 본 연구는 다양한 공법으로 설치 운영되고 있는 고도처리시설에 대한 처리효율 및 운영현황을 조사하여 고도처리공법 선정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각 공법별 현장적용 및 운영상 문제점을 파악하여 하수처리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6개월 이상 운영 중인 하수종말처리시설 145개소를 대상으로 일반적 현황을 분석하고 실제 현장조사는 고도처리시설 37개소의 현장조사표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고도처리 공법은 $A_2O$계열, SBR계열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대규모처리장은 $A_2O$계열, 소규모처리장은 SBR계열이 주로 적용되었으며 대규모 하수처리시설일수록 유입수질의 농도 및 처리효율이 높고 톤당 시설설치비용과 유지관리비용이 적었다. 현장조사 결과, 첫째, 하수처리시설의 유입문제로 시설용량대비 하수유입량이 초과되거나 50%미만인 시설이 10개소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하수관거의 조속한 정비 및 인구감소에 따른 대책수립,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하수처리시설 증설 및 계열 축소운전이 필요하였다. 둘째, 각 처리공법별로 몇몇 문제점이 있어 공법사의 문제점 보완, 운영기술전수 및 원활한 A/S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영관리자가 수시로 현상을 파악하고 주의하여 운전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