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지온도

검색결과 765건 처리시간 0.024초

의마가공용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견직물의 가공 (Silk Finishing with Polyurethane Resin used for the Linen-like Finishing)

  • Lee, Jung-Soo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368-137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견직물에 강경한 촉감을 부여하여 한복지 뿐만 아니라 현대의 패션경향에도 부합되는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견직물에 강경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의마가공용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수지농도와 큐어링온도에 따른 수지부착율을 조사하였고, 여기에 수반되는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공된 견직물의 세탁에 대한 내구성도 살펴보아 동시에 실용가능성도 검토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의마가공용 폴리우레탄 수지를 견직물에 처리할 경우 수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수지 부착량이 증가하였다. 2. 열처리온도를 변화시켜 수지부착량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수지의 부착량이 감소하여 본 실험에 사용된 수지의 적정 열처리 온도가 160-18$0^{\circ}C$인 것을 고려해 볼 때 견직물의 경우 17$0^{\circ}C$의 열처리 온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수지 처리된 견직물의 역학적 특성치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RT, EM, MIU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가지며, LT, B, 2HB, G, 2HG, 2HG5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폴리우레탄 수지처리로 의마가공 효과를 갖는 견직물을 얻을 수 있었다. 4. 수지 처리된 견직물의 역학적 특성치는 물세탁 후에도 크게 변화가 없어 세탁에 대한 내구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저이온 농도범위에서 혼합층 이온교환능과 온도의 영향 - 2. 온도의 영향 - (The Mixed-Bed Ion Exchange Performance and Temperature Effects at Ultra-Low Concentrations - 2.Temperature Effects -)

  • 윤태경;노병일;이창원;문병현;이강춘;조명찬
    • 공업화학
    • /
    • 제10권2호
    • /
    • pp.206-211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NaCl수용액의 초저이온 농도범위 ($1.0{\times}10^{-4}M$ 이하)에서 양이온 교환수지 대 음이온 교환수지의 비, 수지량, 계의 온도를 함수로 한 혼합층 이온교환의 거동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실험실 크기의 연속흐름 칼럼을 통하여 양이온 교환수지와 음이온 교환수지의 교환능이 소모될 때까지의 유출농도를 처리된 유량의 함수로 측정하여 파과곡선을 구하였다. 초기누출은 수지량이 적은 경우 양이온과 음이온의 파과곡선에 나타났으나, 선택도계수가 낮은 양이온의 파과곡선에 현격하게 크게 나타났다. 선택도계수는 파과곡선의 기울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계수값이 큰 음이온의 파과곡선의 기울기가 급격하였다. 온도변화는 파과곡선의 기울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온도가 증가할수록 이온교환속도가 증가하였다. 이 온도효과는 수지비에 관계없이 수지총량이 증가할수록 또는 이온교환수지의 교환능이 감소하여 파과곡선이 평형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하였다.

  • PDF

이온교환에 의한 Silica 제거능 연구

  • 윤태경;이강춘;노병일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78-27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수중 silica 제거에 이온교환수지의 성능이 실험되었다. 음이온 단일수지에 비해 양이온/음이온 혼합수지가 silica제거에 효과적이었고, 혼합수지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교환반응속도는 빨랐다. 음이온과 양이온교환능은 용액의 pH를 변화를 측정하여 해석할 수 있었다. 용액에 공존하는 양이온인 $Na^+$는 혼합수지에서 pH변화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었고, 이러한 pH의 변화는 silica의 제거능에 영향을 주었다. 각 온도에서 도달된 평형농도로부터 각 수지에 대한 silica의 선택도계수가 측정되었다.

  • PDF

CAE해석을 통한 휴대폰 플립의 미성형 해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ouble Shooting for Flip Cover of A Mobile Phone by Using CAE Simulation)

  • 강성남;허용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245-248
    • /
    • 2001
  • 미성형은 수지 점도가 높거나 유동경로가 너무 제한적이거나 혹은 용융 수지가 일찍 고화되어 금형내에 수지가 완전히 충전되지 않고 냉각 및 고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수지의 유동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금형 전체에 수지가 미치지 못하여 일어난다고 생각되는 수가 많으나 반드시 그것만이 아니고 그 외에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미성형이 발생한 제품을 대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공정조건을 바꾸어서 시뮬레이션을 여러번 반복해 봄으로써, 사출압력, 금형온도, 사출속도, 용융수지온도와 같은 공정조건들이 미성형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고찰하여 보았다.

톱밥보드로 제조된 우드세라믹의 표면온도 변화 - 수지 함침율과 소성온도의 영향 - (Change in Surface Temperature of Woodceramics Manufactured by Sawdust Boards - Effect of the Rate of Resin Impregnation and Burning Temperature -)

  • 오승원;박금희;변희섭
    • 임산에너지
    • /
    • 제22권1호
    • /
    • pp.24-29
    • /
    • 2003
  • 낙엽송 간벌재 톱밥보드로 우드세라믹을 제조한 후 수지함침율 및 소성온도에 따른 우드세라믹의 표면온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히터의 표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우드세라믹의 표면온도도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수지함침율 70∼80%, 소성온도 800∼1000℃ 조건으로 제조된 우드세라믹의 표면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히터의 표면온도보다 우드세라믹 표면온도의 하강속도가 느려 우드세라믹이 오랜 시간 열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간벌재로 제조된 우드세라믹의 성질(I) - 수지 함침율 및 소성온도의 영향 - (Properties of Woodceramics Made from Thinned Logs(I) - Effect of Resin Impregnation Rate and Burning Temperature -)

  • 오승원;박금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73-79
    • /
    • 2004
  • 간벌재로 제조된 톱밥보드를 페놀수지에 함침율 40-80%로 함침시킨 후 소성온도 600-1500℃에서 소성하여 우드세라믹을 제조한 다음 수지함침율과 소성온도에 따른 우드세라믹의 밀도변화, 중량 및 치수감소율과 열전도성을 조사하였다.수지 함침율과 소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밀도는 커졌으나 소성온도 1200℃ 이후에는 밀도가 낮아졌다. 소성 후 치수 및 중량감소율은 수지함침율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나 소성온도가 높을수록 커졌다. 열전도성은 수지함침율이 높을수록 우수하였으며, 소성온도와는 뚜렷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스트랜드 인장시편을 적용한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의 열화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rmal Degradation for Carbon Fiber/Epoxy Composite using Strand Specimen)

  • 오진오;길형배;윤성호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2년도 제3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08-41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지 인장시편과 스트랜드 인장시편을 적용하여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의 고온에서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수지시편의 인장강성은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에 근접해감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지만 스트랜드 인장시편의 인장강성은 상온에서의 인장강성을 유지한다. 수지시편과 스트랜드 시편의 인장강도는 온도가 유리전이 온도에 근접할수록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 PDF

Ni기 초내열합금에서 용체화처리 조건에 따른 조직과 인장 특성 (Effect of Solutionizing Condition on the Microstructure and Tensile Properties of a Ni-base Superalloy CMSX-4)

  • 성기태;정인용;조창용;이재현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1-39
    • /
    • 2024
  • 제2세대 단결정 초내열합금 CMSX-4은 1310℃ 이상의 온도로 용체화처리에 의해 수지상 경계와 γ/γ'공정조직이 제거되었으며, γ'상의 크기는 용체화처리 온도와 시간의 증가에 따라 수지상간 영역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γ'상의 크기는 수지상 중심과 수지상간 영역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모든 열처리 조건에서 수지상간 영역에서 γ'상이 크게 나타났다. 용체화처리 온도와 시간의 증가에 따라 수지상 중심과 수지상간 영역의 γ'합금형성 원소 편석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W, Co, Re과 같은 고용 강화원소들의 편석은 모든 열처리 후에도 어느 정도 잔존하였다. 특히, Re은 편석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새로운 유해상의 생성이 없는 상온 인장 특성은 용체화처리 온도와 시간의 증가에 따라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다층두께 Jar용기의 곡률반경에 따른 냉각변형 CAE 해석 (CAE Analysis for Cooling Deformation on the radius curvature of Multi-layer Jar Vessel)

  • 신남호;최석종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61-26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곡률반경의 연속에 의하여 살 두께 차가 큰 사출성형품에 불균일한 수축으로 인한 변형이 생성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적정 CAE 냉각설계를 수행하였다. SAN 및 PMMA 재질의 Jar용기에 대한 균일냉각구조와 최적성형조건을 금형설계에 적용하고자 사출성형의 중요인자인 사출압력, 수지온도, 금형온도, 냉각조건 등을 moldflow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적정 변수인 사출압력 상승, 수지온도 낮춤, 급속냉각으로 후로우 등의 불량현상을 분석하였고 변형 및 불량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냉각구조와 사이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조건을 제시하였고 적정 냉각모듈로부터 냉각시간을 단축하였다.

  • PDF

톱밥과 왕겨 혼합보드로 제조된 세라믹의 표면 온도 변화 - 수지함침율 및 탄화온도의 영향 - (A Change in Surface Temperature of Ceramics Made from Board Mixed with Sawdust and Rice Husk - Effect of Resin Impregnation Rate and Carbonization Temperature -)

  • 오승원;박희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1호
    • /
    • pp.43-48
    • /
    • 2010
  • 톱밥과 왕겨로 제조된 혼합보드로 세라믹을 제조한 후 수지함침율 및 소성온도에 따른 세라믹의 표면온도를 조사하였다. 경과시간 초기에 표면온도가 급상승 하였으며 수지함침율 60~70%와 소성온도 $1200^{\circ}C$로 제조된 세라믹의 표면온도가 가장 높았다. 히터의 표면온도보다 혼합세라믹의 표면온도 하강속도가 느려 혼합세라믹의 열 보존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