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정 대표본 방법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Bootstrap Calibrated Confidence Bound for Variance Components Model (분산 성분 모형에 대한 붓스트랩 보정 신뢰구간)

  • Lee, Yong-He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9 no.3
    • /
    • pp.535-544
    • /
    • 2006
  • We consider use of Bootstrap calibration in the problem of setting a confidence interval for a linear combination of variance components. Based on the the modified large sample(MLS) method by Graybill and Wang(1980), Bootstrap Calibration is applied to improve the coverage probability of the MLS confidence bound when the experiment is balanced and coefficients of a linear combination are positiv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fidence bound in small sample is investigated by simulation studies.

한국의 가구형태에 따른 Kish-격자의 조정

  • 손창균;홍기학;이기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55-60
    • /
    • 2004
  • 하나의 가구에서 대표되는 사람을 뽑는 문제가 조사의 마지막 단계에서 종종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가구내에서 성별과 연령에 따라 최종 조사단위로 선정되는 표본은 대표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Kish-격자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가구형태에 따라 기존의 Kish-격자를 수정하여 대표성 있는 표본을 선택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 PDF

Evaluation of Pore Size of Porous Support using Modified Gas Permeation Method (수정된 기체투과법을 이용한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크기 평가)

  • 박재구;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6
    • /
    • pp.568-574
    • /
    • 2001
  • 수정된 기체투과법을 이용하여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크기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수정된 기체투과법은 기공 내에서 유체흐름이 Hagen-Poiseiulle 법칙이 성립하는 영역으로 압력을 조절하여 투과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수정된 기체투과법의 적합성 여부는 유체의 Reynolds number 및 기체분자의 평균자유행로를 통해 검토하였다. 다공성 지지체의 유량의 시간변화로부터 대표치를 결정하여 기공크기로 환산하였다. 본 방법에 의해 평가된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크기는 30$\mu\textrm{m}$~80$\mu\textrm{m}$ 이었으며, 평균치는 50$\mu\textrm{m}$로 평가되었다. 한편 화상해석법과 비교.분석한 결과 수정된 기체투과법을 통해 평가된 기공은 내부채널의 가장 작은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Enhanced SOM Algorithm by Using Frequency Number of Winner Node (승자 노드의 빈도 수를 이용한 개선된 SOM 알고리즘)

  • 이준행;김재용;김광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68-271
    • /
    • 2003
  • SOM 알고리즘에서 가중치 조정은 입력 벡터와 승자 노드의 대표 벡터간의 차이만큼 조정되고 승노드의 대표벡터에 입력벡터의 정보를 반영하게 된다. 여기서 그 정보를 반영할 때 입력벡터와 승자노드의 대표 벡터간에 차이가 크면 승자 노드의 대표 벡터에 입력벡터를 기억시키기 위해 입력 벡터의 정보를 더 많이 반영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승자 노드의 대표벡터와 입력벡터간의 출력오류를 0과1사이의 정규화된 값으로 출력오류를 계산하여 학습률을 조정하고 승자 노드의 저 활용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학습 중에 각 승자 노드의 대표 벡터들이 수정되고 선택되어지는 횟수가 가능한 동등해지도록 각 노드의 승자 빈도수를 가중치 조정에 반영하는 개선된 SOM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인식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주민등록증에서 추출한 숫자 패턴 50개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의 인식 성능이 기존의 SOM 알고리즘보다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ediment Specific Properties of the Basin of Im-Jin River (임진강 유역의 유사특성에 관한 연구)

  • Shin, Sang-Ik;Park, Ji-Hyun;Lee, Eu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70-1676
    • /
    • 2007
  • 본 연구는 임진강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대표지점을 선정하고 각 지점의 하상변동 예측, 저수지 퇴사량 추정, 유사 유출량 추정, 하상 상승 및 유수소통단면 축소에 따른 홍수범람규모의 증대, 저수지 용량 감소 및 상수원 취수구 매몰 등의 원인인 유사퇴적에 대한 신뢰성 있는 자료를 실측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실측된 유사량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각 대표지점 별로 동일한 유량 시 유사량을 비교하여 유사량과 각 지형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임진강 유역의 특성이 반영된 유사량 산정에 관한 기초이용 자료로 활용 제시하여 수자원 개발 및 관리에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임진강 유역의 대표지점으로는 적성, 군남, 전곡지점을 선정하였고, 임진강 유역 대표지점의 특성으로는 적성지점(유역면적:$6,800.2km^2$, 유로연장:224.5km), 군남지점(유역면적:$4,228.5km^2$, 유로연장:204.9km), 전곡지점(유역면적:$2,152.9km^2$, 유로연장:133.0km)이다. 총유사량의 산정은 부유사와 소류사의 양을 더하여 산정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소류사의 채취가 어렵고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채취한 부유사량에 수정 아인쉬타인 방법 등을 이용하여 구한 소류사를 더해 총유사량을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진강 유역에서는 실측한 부유사량에 수정 아인쉬타인 방법으로 추정한 소류사량을 더한 총유사량을 구하여 분석하였고, 기타 다른 유사량산정 공식들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부유사 농도분석 방법으로는 저농도(10,000ppm)인 시료에 적합한 여과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사 입경분포 분석방법으로는 BW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국내 외적으로 하천 유사량 산정과 관련된 많은 경험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의 충적하천에 기초하여 개발되어진 유사량 공식들을 우리나라 하천에 무분별하게 적용하는 것은 위험스러우며, 유사량 산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나라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이 유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측을 통한 유사량 값을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과 비교 분석하여우리나라 하천에 맞는 유사특성을 알아보고, 기타 총유사량산정 공식을 이용하여 실측한 유사량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PDF

Initial codebook generation algorithm considering the number of member training vectors (소속 학습벡터 수를 고려한 초기 코드북 생성 알고리즘)

  • Kim HyungCheol;Cho CheHwa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59-262
    • /
    • 2002
  • 벡터양자화에서 주어진 학습벡터를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코드벡터의 집합인 코드북을 구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코드북을 구하는 알고리즘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K-means 알고리즘으로 그 성능이 초기 코드북에 크게 의존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여러 가지 초기 코드북을 설계하는 알고리즘이 제안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splitting 방법을 이용한 수정된 초기 코드북 생성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기존외 splitting 방법을 적용하여 초기 코드북을 생성하되, 미소분리 과정 시 학습벡터의 수렴 빈도가 가장 낮은 코드벡터를 제거하고 수렴 빈도가 가장 높은 코드벡터를 미소분리 하여 수렴 빈도가 가장 낮은 코드벡터와 대체해가며 초기 코드북을 설계 한다. 제안된 방법의 적용온 기존 방법에서 MSE(mean square error)의 감소율이 가장 작은 미소분리 과정에서 시작하여 원하는 코드북 크기를 얻을 때까지 반복한다. 제안된 방법으로 생성된 초기 코드북을 사용하여 K-means 알고리즘을 수행한 결과 기존의 splitting 방법으로 생성된 초기 코드북을 사용한 경우보다 코드북의 성능이 향상되었다.

  • PDF

Optimum Number of Investigation Wells for the Yield Estimation of a Radial Collector Well in the Riversides (하천변 방사형집수정의 취수량 산정을 위한 조사공의 적정 개수 설정 연구)

  • Choi, Myoung-Rak;Hwang, Tae-Wong;Kim, Gyoo-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89-289
    • /
    • 2020
  • 국내에서 강변여과수는 1990년대 말 이후 기술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아직까지도 방사형집수정의 적정 취수량 결정에 필요한 조사 및 설계 단계에서의 적정 조사물량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방사형집수정 1기당 취수량 결정은 경험식에 의한 방법과 수치모델링에 의한 방법을 병행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나, 취수량 평가에 가장 중요한 수리전도도(k)의 오차로 인하여 설계단계에서 추정한 취수량과 시공 이후의 취수량에 차이가 존재하고 이로 인한 다양한 논쟁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성천에서 시공된 방사형집수정의 사례를 토대로 조사단계에서의 적정 시추공의 갯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평정의 2m 간격으로 채취된 토양 및 총 8공의 시추공에서 채취된 토양 등 총 164개의 입도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대표요소면적(Representative elementary area, REA)의 개념을 적용하여 적정 조사공의 갯수를 분석한 결과, 안성천 방사형집수정 규모의 경우에는 1기당 6~7개의 조사공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성천의 사례를 토대로 수행한 만큼 향후 낙동강 등 타 지역의 사례를 토대로 확인되고 검증된다면 강변여과수의 조사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xtraction of Keyphrase using modified Active Learning (수정된 Active Learning을 이용한 고정키어구 추출)

  • Lee, Hyun-Woo;Eun, Ji-Hyun;Jang, Du-Seong;Cha, J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252-25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Active Learning의 학습과정을 변형하여 학습노력을 줄이고 성능향상을 이루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Active Learning을 사용하는 이유는 학습 코퍼스의 량을 줄이면서도 우수한 성능을 얻기 위해서이다. 우리는 학습량을 줄이기 위해서 다양성과 대표성이 높은 학습 데이터를 추가한다. 높은 다양성을 얻기 위해서 기 학습된 코퍼스와 가장 관련이 없는 데이터를 추가하고 높은 대표성을 얻기 위해 예제 군집화를 통해 대표적인 예제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효용성을 검사하기 위해서 고정키어구 추출 문제에 적용하였다. 실험결과를 보면 지도학습을 이용한 실험결과보다 우수하였으며, 학습량을 83%정도 줄일 수 있었다.

  • PDF

Advanced Evaluation of In-situ Strength using CPT results (콘관입시험을 이용한 지반강도의 상세평가해석)

  • Lee, Jun-Hwan;Kang, Byung-Jun;Kyung, Doo-Hyun;Hong, Jung-Mu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111-116
    • /
    • 2008
  • 콘관입시험(CPT)은 의사정적상태로 수행되는 현장시험방법으로서, 각종 기초구조물의 설계와 더불어 지반조사를 위한 대표적 방법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콘관입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사질토 지반에 있어서 지반강도의 상세평가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질토의 강도는 상대밀도와 응력상태에 따라 변하는 상태의존적 성질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러한 역학적 성질은 실험실 내에서만 측정이 가능한 상태이며, 현장강도의 경험식이나, 대표강도의 평가만이 제안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 현장시험방법인 CPT를 이용하여 다이러턴시 특성 평가가 가능하며, 다양한 지반특성치가 반영될 수 있는 현장강도의 상세평가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내삼축압축시험을 통해 얻어진 강도특성과 역학특성치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정 다일러턴시 평가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검증을 위해 가압토조를 이용한 콘관입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측정값과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Fault-Tolerant in the Web Services System (웹 서비스 시스템의 품질 기반 장애 극복 방안)

  • 이용표;신재동;한상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436-438
    • /
    • 2004
  • 웹에서의 협업과 통합의 대표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는 웹 서비스의 사용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때. 사용한 웹 서비스 중에서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신뢰성 있는 실행을 일해서는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이언트측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수정 사항 없이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인 장애 상황뿐만 아니라 품질 요소들도 고려하여 요구사항에 만족하지 못할 경우 같은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 서비스로 자동 전환이 되도록 개선하였으며, 같은 서비스를 찾는 방법의 개선도 제안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품질 기반의 장애 극복 웹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