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정율

Search Result 1,33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ddition of Oviductal Fluid to the Fertilization Medium Enhances Monospermic Penetration and Subsequent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Oocytes (체외수정시 배양액내 난관액 첨가가 돼지 난포란의 수정율 및 배 발달율에 미치는 영향)

  • 김남형;문승주;임준교;구덕본;이훈택;정길생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0 no.1
    • /
    • pp.1-8
    • /
    • 199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oviductal fluid on the sperm penetration and subsequent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oocytes. The addition of oviductal fluid to the fertilization medium decreased sperm pen etration and the mean number of spermatozoa in penetrated eggs. The number of spermatozoa firmly bound to zona pellucida was also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oviductal fluid. Chlortetracy cline (CTC) fluorescence patterns were used to determine incidence of capacitation and acrosome reaction. The proportion of capacitated a and acrosome free spermatozoa increased when spermatozoa were exposed for 1.5 and 3 h to oviductal flu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actor(s) in secretion from the oviduct reduces polyspermic fertilization and the number of spermatozoa that will penetrate porcine oocytes. The reduction of polyspermic penetration by oviductal secretions may be due to a reduced number of spermatozoa in the fertilization me-dium into an intact acrosome.

  • PDF

Studies on the Survival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sof Frozen-Thawed Bovine Immature Oocytes (소 동결 미성숙 난자의 생존율과 체외수정율에 관한 연구)

  • 김상근;유상식;김용섭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2 no.3
    • /
    • pp.207-211
    • /
    • 1998
  • 본 연구는 소 미성숙 난자의 동결에 있어서 미성숙 난자의 1, 2, 4, 8 시간 성숙배양한 다음 동결 융해 후 체외배양하였을 때 체외수정율과 생존율을 조사하고저 수행하였다. 미성숙 난자들 1∼8시간 성숙배양후 동결융해 및 체외수정시켰을 때 수정율은 12.8∼30.9%로서 단시간의 체외성숙 배양이 높게 나타났으며(23.8∼28.8%), 또한 체외배양시 생존율은 11.8∼29.9%를 나타냈다.

  • PDF

Studies on the IVM/IVF Rate of In Vitro Cultured Canine Oocytes (개 난자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관한 연구)

  • Lee B.K.;Kim S.K.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1 no.1
    • /
    • pp.7-11
    • /
    • 2006
  • 개 난자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을 통해 수정란을 획득하기 위하여 개 난소를 채취하여 난자의 형태, 난소의 채취시기 등이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 난구세포 부착 및 미부착 난자를 48시간 배양했을 때 체외 성숙율은 $42.0{\pm}3.4%,\;24.4{\pm}4.1%$였다. 난구 세포 부착 난자의 체외 성숙율이 미부착 난자의 체외 성숙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2. 난소를 휴지기, 난포기 및 황체기로 구분하여 난자를 회수하여 배양했을 때 체외 성숙율은 각각 35.6%, 50.0%, 31.1%였고 체외 발생율은 각각 2.2%, 20.0% 및 8.9%로서 난구 세포 부착 난자가 미부착 난자에 비해 유의한 체외 수정율을 나타냈다. 3. 난구세포 부착 및 미부착 난자를 이용하여 체외수정시켰을 때 체외 수정율과 체외 발생율은 각각 48.0%, 35.6% 및 22.5%, 13.3%로서 난구세포 부착 난자가 미부착 난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Explanation of Run Productivity Using Weighted Adjusted OPS in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한국 프로야구에서 가중수정OPS를 이용한 득점력 설명)

  • Kim, Hyuk Joo;Kim, Yea Hyo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7 no.5
    • /
    • pp.731-741
    • /
    • 2014
  • We suggested an adjusted OPS and weighted adjusted OPS as indices to explain run productivity of teams using the slugging average and adjusted OBP from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First, we defined adjusted OBP by modifying currently used OBP. Next, we defined adjusted OPS as the sum of adjusted OBP and slugging average. We also defined weighted adjusted OPS as the weighted average of adjusted OBP and slugging average. Analysis of the data from all games in the regular seasons from 1982~2013 shows that adjusted OPS better explains runs than OPS. For 25 seasons out of 32 seasons, adjusted OPS explains runs better than OPS. Further, weighted adjusted OPS consisting of adjusted OBP (with weight 60%) and slugging average (with weight 40%) gives the best explanation of run productivity. Weighted adjusted OPS has been found to explain run productivity better than weighted OPS proposed in Kim (2012).

Abstracts of Research Papers in Poultry Science (가금학 분야 연구 논문 초록)

  • 세계가금학회한국지부제공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3 no.1
    • /
    • pp.19-28
    • /
    • 1976
  • 본 시험은 1967년 4부터 5월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공시자계수는 270수, 공시난수는 981개이었다. 공시정액은 혼합 사용하였고 주정부위는 질내 2-3cm 하였다. 조조 5시부터 각시각별로 9개구를 설정하여 1수당 0.04$m\ell$씩 1회 주정하여 수정상황을 관찰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정익일 수정율은 5시구 25%, 6시구 21.7%, 7시구 21.1%, 9시구 15.8%이었으며, 기타 시각에는 전혀 얻어지지 않았다. 2. 질내 2-3cm 부위 주정에 의하여 익일수정란을 많이 얻으려면 산란전주정의 경우와 휴산당일 주정의 경우 산란 또는 배란전 최소 3-5시간의 시차를 두고 주정하여야 된다. 질내 6-7cm 부위에 주정할 경우보다 1-2시간의 시차를 더 요한다. 산란후 주정의 경우에는 익일수정란이 전혀 얻어지지 않았다. 3. 1주간의 주정시각별 수정율은 오전의 평균은 29.9%, 오후의 평균은 55.2%로서 양자사이에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된다. 4. 산란전(오전)에 주정하여 높은 일주간 수정율을 얻으려면 주정익일 경우와 마찬가지로 최소 3-5시간 이상의 시차를 두고 주정하여야 된다. 이에 적합한 주정시각은 오전 3-5시로 추찰된다. 5. 산란후 주정의 경우는 산란후 2시간 이상의 시차에서 높은 1주간 수정율이 얻어졌다. 6. 휴산당일 주정의 경우에 있어서의 수정율은 오전의 평균은 32.6%, 오후의 평균은 51.5%로서 양자 사이에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된다. 7. 종합적으로 보아 오후 3시경부터 일몰시까지가 실지 인공수정에 있어 가장 적당한 주정시각임이 밝혀졌다. (중략)

  • PDF

대구 수정란의 질병 제어에 의한 부화율 향상 연구

  • 박상언;권문경;이채성;김완기;이정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64-64
    • /
    • 2003
  • 대구 인공종묘 생산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수정란에 기생하여 폐사를 유발하는 세균 및 세균 감염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수정란의 생존율과 부화율 향상을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균 감염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난소와 정소 자체 세균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일반배지 (BHIA)와 비브리오 선택배지 (TCBS)를 사용하여 세균검사를 실시하였다. 난소의 세균 검사는 생식소 내부를 일부 절개한 후 멸균 roop를 찔러 세균을 검사하였고, 정소는 채정하기 전 복부를 절개하여 멸균 roop로서 적출하여 배지에 도말한 후 배양하였다. 수정란 내 세균 수는 수정란을 각각 20개씩 샘플하여 난 외부에 기생하는 세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난소독제로 이용되고 있는 benzalkonium 0.1%로 1분간 소독한 후 멸균 생리식염수로 3회 세척하여 호모게나이즈하여 검사하였다. 호모게나이즈한 액 중 100${\mu}\ell$를 pipetting하여 일반배지(BHIA)에 도말하여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난소와 정소 내에서 세균이 검출됨에 따라 수정 시 세균 감염을 억제하기 위하여 자외선 살균해수와 일반해수를 수정액으로 사용하여 발생율을 비교 시험하였다. 수정 시간은 1분으로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며, 수정 용기는 멸균 처리된 일회용 100$m\ell$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였다. 수정 후 과다한 정자를 제거하기 위한 세란은 1$\ell$ 멸균 비이커에서 5회 30분 가량 실시하여 정자를 제거하였고 멸균 봉으로 저어주면서 수정란의 점착력을 제거하였다. 수정란은 100$\mu\textrm{m}$ 그물망으로 수정란 유실을 방지한 플라스틱 용기에 수용하여 유효수량 270$\ell$ FRP 수조에 수용하여 3$\ell$/min 환수하였고, 수온은 자연수온 1$^{\circ}C$로 유지하였다. 발생율은 만능투영기로 3회 측정하였다. 수정 후 세균과 기생충에 의한 수정란의 폐사를 억제하기 위하여 수정 직후, 수정 후 1일, 2일째 oxytetracycline과 iodine 처리에 따른 발생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생율은 만능투영기로 조사하였고, 시험구별로 3회 측정하였다. 경과 일수별로 약제 처리는 약제 미처리 수정란 중 정상적인 발생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선별하여 조사하였다. 약제 처리에 따른 배체 발생 단계는 수정 후 1일째는 상실기, 2일째는 포배기였다. 수정란 및 대구 자어에서 분리된 V. splendidus 에 의한 폐사를 예방하기 위해 in vivo에서 oxytetracycline 외 5종의 항생제를 대상으로 96well plate에서 최고 농도 250ppm부터 2 fold로 단계 희석하여 $25^{\circ}C$에서 48시간 배양하여 MIC를 조사하였다. 세균 감염경로 파악을 위하여 난소, 정소 및 정자에서 세균을 분리한 결과 일반배지 및 비브리오 선택배지에서 모두 균이 검출되었고, 균 동정 결과 터봇 자어에서 검출된 것으로 보고된(Gatesoupe et al., 1999) V. splendidus로 나타났다. 수정액과 정자 및 미수정란의 세균 분리 결과 일반배지에서 3$\times$10/ml ~ 7$\times$10/ml로 균이 검출되었다. 수정액을 일반해수와 자외선 살균 해수를 사용하여 발생율을 비교한 결과 수정 후 3일째 발생율은 자외선 살균해수 72.3%, 일반해수 52.7%였으며, 수정 후 7일째 40.9%와 25.1%로 자외선 살균해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정 후 경과 일수별로 oxytetracycline과 Iodine을 처리한 결과 수정 직후 처리한 시험구는 7일째 19.8%와 18.9%로 대조구 23.1%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 후 1일째 처리한 시험구는 54.5%와 56.8%, 수정후 2일째 처리구는 47.9%와 50.6%로 두 시험구 모두 대조구와 수정 직후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정란 및 대구 자어에서 분리된 V. splendidus 에 의한 폐사를 예방하기 위해 in vivo에서 항생제 종류별 MIC 조사 결과 oxytetracycline이 0.48ppm으로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Sperm Preparation Technique on Subsequent In Vitro Development of Bovine Embryos (소 수정란 체외발달에 대한 정자분리방법의 효과)

  • 노규진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3 no.2
    • /
    • pp.117-125
    • /
    • 1998
  • 본 연구는 Percoll,Swim-up 그리고 Glass-wool 여과법의 세가지 정자분리 방법에 대한 정자 회수율, 생존율과 첨체반응율, 그리고 체외수정 후 배양시간에 따른 전핵형성율,수정란의 발달율과 세포할구수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도축된 암소로 부터 채취한 난자를 22시간 체외배양 후 성숙된 난자를 체회수정시켰다. 수정 후 배양시간에 따라 존핵율을 조사하였으며 48시간에 분할율,192시간에 배반포기 발달율 및 세포할구수를 각각 비교 조사하였다. 정자의 첨체반응과 생존율은 처리군간에 차이가 없으나 회수율에 있어서 percoll 처리군이 다른 두 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수정 후 배양시간별 전핵형성에 있어서도 percoll 처리군이 다른 두 처리군보다 빨리 진행됨을 볼 수 있다. 분할율에 있어서는 처리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으나.배반포기 발달율과 세포할구수에 있어서는 pecoll 처리군이 다른 두 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percoll 처리에 대한 정자분리 방법은 정자 회수율이 높고 수정시 전핵형성 시간이 단축되어, 그 결과로 배반포기 발달율과 수정란의 세포할구수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Cryopreservation of Semen from Broiler Breeder Males (육용종웅계 정자의 동결보존에 관한 연구)

  • 박창식;이봉덕;이경우;김학규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30 no.2
    • /
    • pp.91-94
    • /
    • 2003
  • Artificial insemination of cryopreserved semen is not practiced in broiler breeder industry although its benefit has been recognized for years. Thus,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insemination with cryopreserved semen in Ross broiler breeders. Sixty Ross female broiler breeder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either with fresh or with cryopreserved semen pooled from five male Ross broiler breeders. On.e hundred eighty eggs were collected from each semen treatment and hatched. Fertility and hatchability of fertilized eggs collected from hens artificially inseminated with cryopreserved semen were 68.0 and 47.1%, respectively, compared to 88.3 and 87.2% with fresh semen. Both unfertilized eggs and dead embryos during hatch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cryopreserved semen­treated group by approximately 2.7­ and 3.2­fold than the fresh semen­treated counterparts. the moderately low fertility and markedly low hatchability of fertilized eggs obtained from cryopreserved semen observed in this study may be of practical interests in broiler breeder industry and deserves further study.

Characteristics of Semen and Coat Color Distribution of Offsprings Produced by Al in Korean Native Striped Cattle (Bos namadicus Falconer, Chikso) (재래 칡소의 정액 특성 및 인공수정에 의한 송아지 모색 분포)

  • Park, Yeon-Soo;Hwang, Hwan-Sub;Yoo, Jae-Won;Kim, Nam-Wook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v.31 no.1
    • /
    • pp.43-48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resh and frozen semen, proliferating efficiency by AI, and the coat color of offsprings in Korean Native Striped Cattle (Bos namadicus Falconer, Chikso). Semen were collected from 6 heads of tiger-coated male Chikso. In vitro fertilization (IVF) was conducted with frozen-thawed semen and in vitro matured Korean native brown cattle (general Hanwoo) oocytes. Total 18 heads of Hanwoo and Chikso were inseminated using Chikso semen. Coat colors of total 40 offsprings produced by AI were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sh and frozen-thawed Chikso semen did not differ among individuals. In vitro fertilization rate of Chikso semen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Hanwoo semen. However, developmental rate to the blastocyst stage of IVF embryos was higher in Chikso semen (25.9%) than in general Hanwoo semen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ception rate after AI between Chikso and general Hanwoo. The coat colors of offsprings varied, only 42.5% (17/40 heads) of offsprings had tiger coat color. Futhermore, only 55% of offsprings produced from the tiger-coated recipients had tiger coat color. This result shows that proliferation of Chikso by AI is possible, but further research approaches may be needed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tiger-coated Chikso.

In Vitro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In Vitro Matured Porcine Oocytes by Morphologically Normal Sperm Ratio of Epididymal Sperm and Frozen-Thawed Ejaculated Sperm (정소상체 미부정자와 동결 융해된 사출정자의 형태학적 정상정자 비율이 체외성숙된 돼지난자의 수정 및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이봉경;이현숙;김인철;최동윤;김묘경;김은영;윤산현;박세필;임진호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1 no.3
    • /
    • pp.247-253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ertiliz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rates of porcine oocytes matured in vitro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normality of epididymal sperm in porcine IVF.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experiment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When the ratio of morphological normality of epididymal sperm was divided into the three groups with $\leq$ 10%, 10-30% and $\geq$ 50%, the fertiliz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rates of 능50% group (64%. 26%) w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two groups ($\leq$10%: 27%, 6% and 10-30%: 36%. 5%) (p$\leq$50% group of morphologically normal epididymal sperm was adjusted to 100% (5 x 10$^5$ cells/ml), the fertilization a and development rates (63%, 27%) of epidymal sperm were similar to those of frozen-thawed ejaculated sperm (56%, 35%). 3. Also, when the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rates of epididymal sperm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oocyte : sperm ratio (1:6000, 1: 6650, 1: 7700, 1: 10000), the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rates indicated high, in 1:6000 (68%, 32%) and 1:6650 (89%, 31%), the ratio of oocyte: sperm. Therefore, when the percentage of morphological normality of epididymal sperm is more than 50, the embryonic development a can be obtained similar to that of frozen thawed ejaculated sperm. Also, these result suggested that the morphological evaluation of normal sperm in porcine IVF using epididymal sperm sho비d be prerequisite for the more effective embryonic developm 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