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재교육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Harvesting Water Hazard Information and Service Systems (스마트 수재해 정보 수집 및 서비스 체계 연구)

  • KIM, Soon-Yeon;WON, Young-Jin;PARK, Sang-Hoon;HWANG, Eui-Ho;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76-376
    • /
    • 2018
  • 수재해 관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주요 소스로서 위성 정보가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 NASA SEDAC과 UNISDR(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의 Global Risk Data Platform, UNESCO의 IHP-WINS를 대상으로 메타정보를 구축하는 [글로벌(위성기반) 수재해 관련정보 수집체계]를 구성하였다. 이때 메타정보를 수신/처리하는 역할의 하비스터는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표준 WMS(Web Map Service)서비스의 필수 Operation인 GetCapabilities를 통하여 ISO GML을 획득한 후 이를 처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여타표준 준수 DataSource에 대한 적응성을 확보하였다. 수집된 메타데이터를 통하여 검색된 정보는 표준 Map Service를 통하여 구글 지도 기반의 시계열 수재해 주제도 정보 서비스와 WebGL기반 3D 수재해 주제도 서비스로 각각 구성되도록 설계하였다. 국내 수재해 현장정보 수집 체계에 있어서는 사진을 포함한 시민의 현장 정보가 지오태깅기술과 동반되어 수재해 플랫폼으로 업로드 되면, 수집된 시계열 정보는 주제별 카테고리로 그룹화 된 후 클러스터링 가시화 기법으로 지도 공간상에 표출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공신력 있는 공공 데이터(Data.go.kr)의 대피소 등 관련 시설 정보를 동시에 매핑하여 융합서비스 하도록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전반적으로 웹서비스를 지향하며 전문가, 기관(부처), 교육기관으로 구분된 서비스를 구상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Gifted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북한의 영재교육 제도 고찰)

  • 강경석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1 no.3
    • /
    • pp.221-24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ifted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The study analysed various literature, articles, and internet resources concerning education in general and gifted education in North Korea.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cent years North Korea has emphasized gifted education to advance the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puter science. Second, North Korea already introduced the gifted education system by establishing music schools, foreign language schools, art schools, dance schools, and athletics schools in 1960. Third, North Korea has established special schools for the gifted in science since 1984. The schools play an important role in advancing the country's science and technology. Fourth, in North Korea there are special course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for the gifted in various fields. Fifth, North Korea has implemented the consistent and interrelated system of gifted education from kindergarten level to higher education level.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Informatics Education for Preparing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통일대비 남북한 정보통신교육 비교 분석)

  • Park, Jung-Ho;Kim, Young-Gi;Lee, Tae-W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1 no.2
    • /
    • pp.157-165
    • /
    • 2007
  •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se computer curriculum and textbook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order to provide the basis for unifying the Informatics Education.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 First, there isn't any course for Informatic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but it was requisitely carried 2 hours per week in secondary school in North Korea. But contents of curriculum is much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 : genius secondary school, first secondary school, general secondary schol. In especially, Informatics Education had centered in genius secondary school. Second, in comparison of computer textbooks used in South and North Korea, we found that most contents of South Korea textbook was selected equally from all scope whereas those in North Korea were not contained the newest contents(e.g. Internet, Multimedia). But in contrast to South Korea textbook, there was BASIC programing course for improving problem-solving skills in North Korea textbook.

  • PDF

Development of immersive flood routing model using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visualization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를 활용한 몰입형 홍수추적 모형 개발)

  • Son, Sangyoung;Hwang, So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96-96
    • /
    • 2022
  •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VR) 기술은 3차원 가상공간 내에서의 높은 몰입감에 기반한 체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소방훈련이나 태풍, 지진 등 재해 대응훈련과 같이 인명피해의 위험이 있는 재해에 대한 VR 기술을 활용한 방재교육은 위험성을 동반하지 않으면서도 현장감에 기반한 높은 교육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는 VR 기술을 이용하여 소방훈련을 위한 실감 소방훈련 시뮬레이터를 개발한 바 있으며 목동재난체험관에서는 홍수, 태풍, 지진 등 다양한 재해에 대한 안전교육을 위한 자연재해 가상현실체험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국 지자체 및 교육청에서는 방재교육을 목적으로 VR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VR을 활용한 수재해 방재교육은 범람의 수리학적 특성과 함께 수해지의 지형적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방재교육이나 경각심을 부각하는 데엔 효과적이나 실질적인 방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데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몰입형 파랑해석모형인 Celeris Base를 기반으로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를 활용한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는 Unity3D를 이용하여 모의환경 내에 구현되었다. 강우-유출 과정의 수리학적 해석을 위해 동수역학 수치모형의 연속방정식 내에 강우와 침투에 대한 항을 추가하였다. 침투모형으로는 Horton 모형, Green-Ampt 모형과 함께 사면의 기울기를 고려한 Green-Ampt 모형을 적용하였다. 실제 유역에서의 홍수추적 모의결과는 관측값과 비교적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VR 방재교육을 통해 일반인의 수재해 대응능력 향상에 기여함과 동시에 정확성 높은 홍수추적 모의결과에 기반한 홍수대책 마련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the English Textbooks in North Korean First Middle School (북한 제1중학교 영어교과서 분석)

  • Hwang, Seo-yeon;Kim, Jeong-ry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1
    • /
    • pp.242-251
    • /
    • 2017
  •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 corpus of words was created from the English textbooks of the "First Middle School" for the gifted in North Korea, and using the corpus,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identified the traits of English textbooks in the North Korea's general middle school, not much focus has been placed on the English textbooks used at North Korea's First Middle School. Initially, the structure of English textbooks of the first,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s that had been procured from the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was reviewed, after which their corpus was created. Then, by using Wordsmith Tools 7.0, linguistic properties and high frequency content words appeared in the English textbook of the first grade were analyzed specifically. Basic statistical data gathered indicated that while the number of vocabulary did not increase as students progress through the grades, the words used tended to diversify incrementally. In the mean time, a distribution of the high frequency content words by grade illustrated that a big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content words used in the English texts of each grade, and it was a subject matter of the texts that determined such difference.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Construction site - Korea Gas Corporation Tongyeong Headquarters field demonstration (건설 현장 침수 예경보 기술 개발 - 가스공사 통영 기지본부 현장 실증 중심 )

  • Taekmun Jeong;Yeoeun Lee;Dongyeop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55-255
    • /
    • 2023
  • 우리나라의 경우 집중호우와 돌발홍수로 인한 침수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유역 및 하천관리 사업, 각종 풍수해 예방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 분야의 스마트기술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2013년 노량진 상수도관 공사 현장 사고, 2019년 신월 빗물저류 배수시설 현장 사고 등과 같은 건설현장 침수 피해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건설현장의 다양한 조건 및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구조적 대책 및 대응방안을 수립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지금까지는 법, 제도에 기초한 대응 매뉴얼을 제작·배포하여 현장 근로자 교육을 실시하는 수준에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자연재해, 특히 수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보다 과학적인 방법을 통한 현장 침수 예경보 체계를 수립하였으며, 강우예측-침수예측-침수예경보 생산-현장 상황전파에 이르는 일련의 시스템을 개발하여 공사별, 규모별, 공정별 침수 대응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건설현장 침수예경보 시스템 개발의 주요 내용은 요소기술 개발이며,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강우 예측정보 생산: 현장에서 발생하는 집중호우를 고려하는 실시간 강우측정 자료와 연계한 초단기 강우예측 기술 개발, ② 침수 예측모델 개발: 현장의 시공간적 특성, 수재해 피해의 유형 등을 반영할 수 있는 침수피해 예측 모델 개발, ③ 침수예경보 의사결정 방법론 개발: 침수 피해 예경보를 위한 침수 위험단계 세분화 및 노모그래프 개발과 모델 적용(예측정확도 85% 이상), 이를 통합하여 건설현장 침수예경보 시스템 개발을 수행하게 된다. 연구에서 개발된 침수 예경보 통합 시스템은 향후 수재해로 인한 건설현장의 인명, 재산 피해 최소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Awareness and Needs Analysis for the Flood Disaster School Safety Education Execution - Focusing on the awarenes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in Daegu - (수재해 학교 안전교육 실행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대구지역 중·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 Ahn, Young-Mi;Hong, Won-Hwa;Lee, Hye-Kyoung;Bae, Young-Ho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v.36 no.4
    • /
    • pp.13-22
    • /
    • 2020
  • Recent abnormal climate has increased the frequent of heavy rains and floods, and over 100 people have been killed in the last decade caused by these. In the midst of severe flood disasters, safety education to learn how to respond and evacuate them has become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s and effective education types for the flood disaster school safety education. This study shows Analysis the current state of school safety education based on the 7 standards of school safety education, especially in disaster safety categories through the survey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And a desirable form of flood safety education was derived by analysis of awareness of flood disaster safety education and their educational needs. More than 70% of teachers and students hoped for a experience-based flood disaster safety education, they wanted to learn once a year, one hour from a safety education specialist in experience facilities. As for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they wanted to experience evacuation in the event of flood disaster, and also wanted education related to survival swimming. The most necessary thing for the establishment of experience-based disaster safety education was the expansion of experience facilities.

Analysis of Dangerous Bus Driving Behavior Using Express Bus Digital Tacho Graph Data (고속버스 DTG 자료를 활용한 버스 위험운전 행태 분석)

  • Kim, Su jae;Joo, Jaehong;Choo, Sang ho;Lee, Hyangs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7 no.2
    • /
    • pp.87-97
    • /
    • 2018
  • Bus, a major transportation mode, doesn't have a systematical evaluation system for dangerous driving behavior yet.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 of bus driving behavior using Digital Tacho Graph(DTG) data on express bus. 8 types of dangerous driving behavior were considered according to timeslot, the day of week and weather condition. As results, rapid acceleration, rapid left right turn and rapid deceleratio accounted for more than 97% and relatively high percentages were shown in dawn, on Friday and on the clear day, respectively.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between the dangerous driving types and difference according the timeslot were found, and 3 groups considering the level of the dangerous driving were suggested. This study contributes to setting an efficient and reliable eduction system for using driving simulators.

Water cycle evaluation of Bioretention based on hydrologic model (수문모형을 기반으로 한 식생저류지 물순환 평가)

  • Kim, Jae Moon;Baek, Jong Seok;Jang, Young Su;Shin, Hyun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90-290
    • /
    • 2021
  • 급격한 도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한 물순환체계가 왜곡됨에 따라 자연수재해 피해가 급증하고 있어 대응방안으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이 대두되고 있다. LID 요소 기술 중 하나인 식생저류지는 도시 유역내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저류 및 침투하여 우수유출수와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오염저감 효과를 지니고 있는 LID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저류지의 우수유출수의 정량적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문해석 프로그램인 K-LIDM(Korea Low Impact Development Model)을 이용하여 유역 내 식생저류지 배열과 저류용량에 따른 유출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강우시나리오는 부산지점의 10년, 30년 발생빈도에 대하여 60분, 120분, 180분 확률강우시나리오를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모델링 분석결과 식생저류지 배치에 따라 5 ~ 15 % 이상의 유출저감효과가 산정되었으며, 식생저류지 저류용량에 따라 20 % 이상의 유출저감 효과가 산정되었다. 첨두유출 도달시간은 1.13 ~ 1.86배를 지연하는 결과가 산정되었다. 결과를 통해 식생저류지의 배열과 저류용량에 따라 유출량 저감효과와 첨두유출 도달시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추후에 다른 매개변수인 식생저류지의 저류깊이, 지반의 침투능 및 유출부의 직경 등 여러 매개변수들을 고려한 연구를 수행한다면 식생저류지의 정량적 물순환 평가가 수행될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