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은등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valuation of Mercury Sampling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from Stationary Combustion Sources (고정연소설비로부터 배출되는 수은화합물의 시료 채취 방법과 배출특성평가에 관한 연구)

  • 이성준;서용칠;정종수;이태규;홍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37-238
    • /
    • 2003
  • 대기오염물질 중 수은화합물질은 생태계와 인간에게 치명적인 독성과 생물농축의 특성 때문에 유해한 물질로 관리되어왔으며, 1990년 미국의 Clean Air Act Amendment(CAAA)의 188개의 대기오염물질대기오염물질(HAPs) 중의 하나이고, 국내에서도 25종의 특정대기유해물질 중의 하나로 관리되고 있는 물질이다. 미국 EPA의 보고서에 따르면, 수은화합물의 주요 배출원은 석탄 화력발전소를 비롯한 도시폐기물소각로, 유해폐기물소각로, 병원폐기물소각로 등의 연소설비가 미국 전체 연간 수은배출량의 약 8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요 배출시설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US EPA 1997,1998). (중략)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High Rate Zinc-Silver Oxide Primary Battery (고율 아연-산화은 1차전지의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세웅;공영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4.05a
    • /
    • pp.114-117
    • /
    • 1994
  • 아연-산화은 전지는 높은 에너지 및 전력밀도를 가지고 있으나 비싼 제작비용 때문에 우주항공, 군사무기 등 특수한 분야에서 주로 이용되며, 특히 전해액이 별도의 용기에 보관되어 있다가 외부 신호에 의해 충전된 dry상태의 전지에 주입되어 활성화되는 1차 또는 비축형 아연산화은 전지는 우수한 고율방전 특성, 장시간의 저장기간 및 활성화와 동시에 부하를 인가 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많은 무기체계에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아연-산화은 전지의 아연전극은 높은 다공도와 반응 면적을 가져야 하며, 특히 방전중 아연전극의 전위는 가역 수소전위 보다 더 음전위이기 때문에 수소가스가 다량 발생하게 되므로 수은과 같은 높은 과전압을 갖는 물질을 첨가하여 가스 발생량을 줄이고 부동태화(passivation)를 억제하게 된다. 그러나 국내 여건상 수은을 사용하여 전지를 제작하는 것은 환경문제 등으로 인하여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수은을 사용하지 않고 비축형 아연-산화은 전지의 음극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전착법(electro deposit)과 mesh 제작방법을 혼합하여 아연전극을 제작하였으며, 기판에 석출된 아연과 아연 mesh의 질량비율에 따른 전지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Arc Characteristics of the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고광도 방전등의 아아크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 Kim, Hoon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4 no.2
    • /
    • pp.33-40
    • /
    • 1990
  • 고압 수은등의 전기적 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즉 고압기체방전에서 성립되는 단위체적당 에너지 평형식과 입자의 밀도에 대한 연속방정식을 방전관의 반경과 시간에 대하여 풀어서 전류값을 예측하였다. 프로그램의 수행결과, 방전광에 입력된 에너지는 방사에너지로 가장 크게 손실되며, 전도손실은 시간에 무관하게 거의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적 길이가 짧은 방전관의 특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음극강하를 고려하여 산정한 길이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 PDF

조명공학의 오늘과 내일

  • 지철근
    • 전기의세계
    • /
    • v.23 no.6
    • /
    • pp.33-35
    • /
    • 1974
  • 최근 수년간의 조명공학분야는 눈부신 발전을 하였다. hard ware관계로는 각종의 새로운 전등들이 각국에서 경쟁하다 싶이 개발되었다. 효율, 수명 및 동정등이 종래의 박열전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된 할로겐램프, 연색성과 효율이 종래의 수은등보다 우수한 메탈할라이트램프, 효율이 높은 고압나토륨램프등의 개발은 이미 실용화되고 있다. 한편, 이들 광원을 이용하는 시견원조기술로서의 Software관계로서는, 명시론, 색채론등 측광량, 측정치를 기준으로 한 시각생리, 시각심리적 분야로부터 시각정보공학이란 분야로 발전되었다. 또한 조명계산 및 설계나 조명시설의 분야는 인간성존중을 바탕으로한 시각환경시스템분야로 추진되고 있다. 이와같은 각국의 눈부신 발전에 반하여 우리나라 조명공학분야의 현실은 답보적이며 종래의 것들을 추종하는데만 급급한 상태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PDF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Speciated Gaseous Mercury in Chuncheon, Korea (춘천시 대기 중 가스상 수은 종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 Gan, Sun-Yeong;Yi, Seung-Muk;Han, Young-J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1 no.5
    • /
    • pp.382-391
    • /
    • 2009
  • Atmospheric speciated mercury concentrations including total gaseous mercury (TGM) and reactive gaseous mercury (RGM) were measured in Chuncheon from March 2006 to November 2008. Average concentrations were 2.10 ${\pm}$ 1.50 ng/$m^3$ and 3.00 ${\pm}$ 3.14 pg/$m^3$ for TGM and RGM, respectively. RGM concentrations were higher during daytime than nighttime probably because of high photochemical activities. We found that RGM concentration considerably increased as ozone increased when fog occurred, indicating that ozone was the important oxidant for $Hg^0$ in aqueous phase. TGM concentr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 and $PM_{10}$ which can transport in long-range,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NO_2$. Considering that major source of mercury is combustion process, this result showed that local sources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on TGM concentration in Chuncheon. Five-day backward trajectories were calculated for the samples representing high and low concentrations of TGM, and determined that industrialized area of China including Shenyang and Beijing influenced TGM concentrations in Chuncheon.

역사적인 등명기 보존 및 개선 사례

  • Kim, Chang-Hun;Song, Geul-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71-77
    • /
    • 2018
  • 선미도등대의 등명기는 1940년에 제작되어 역사적인 가치가 뛰어난 등명기이나, 수은조식 회전 장치의 노후로 수은이 장기간 누출되어 근무자의 중금속 중독이 우려되므로 이를 회수하여 적법한 절차에 의하여 처리하고, 노후 된 회전장치 및 전구교환기, 균열이 발생한 프리즘 렌즈(보호대 포함)를 보수, 복원, 개량하여 등명기의 역사적인 가치를 보존함은 물론 항로표지로서의 기능 유지에 만전을 기하고자 선미도등대 등명기 정비사업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은 동 사업의 준비단계부터 최종준공까지의 추진방안 및 결과 등 주요사항들을 고찰하고 공유하여 향후 역사적인 등명기의 보존 및 개선 사업 추진에 있어 참고가 되고자 한다.

  • PDF

Study on Material Flow Analysis of Mercury in Paint (페인트 중 수은의 물질흐름분석 연구)

  • Cho, Yoon A;Jeong, Mi Jeong;Jeon, Tea Wan;Lee, Hee Sung;Kim, Yong Jun;Yeon, Jin Mo;Cho, Na Hyeon;Shin, Sun K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9 no.4
    • /
    • pp.180-185
    • /
    • 2017
  • For the management of mercury-containing products, the products were selected to do material flow analysis in preference of not having selected in previous studies. Domestically mercury have been added to pigment for prevention of bacterial growth. So, in this study paint containing pigment was selected as a target. 71 samples of paint products collected in 2014 and data of 38 samples of wastes (dust, sludge, paint) analyzed in 2010 were used in material flow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mercury was 0~0.25 mg/kg in products and 0.23~0.69 mg/kg in the wastes. In the material flow analysis, the amount of flow in the process of distribution was 10.06 kg/year, but the amount of flow in disposal like a landfill, incineration and recycling was much than distribution as 25.27 kg/year. It was caused by different sampling period between collecting products and data of wastes. Therefore, It could be possible to be affected from regulation by RoHS like decreasing usage of mercury in paint products or eradicated in the industry. Mercury contents in current paint products are very low to affect discharging to the environment.

Changes in Cooking of Marine Products Polluted with Mercury -(II) See weeds- (수은(水銀)으로 오염(汚染)시킨 해산물(海産物)의 조리(調理)에 따른 변화(變化) -(II) 해조류(海藻類)-)

  • Park, Young-Sun;Kim,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15 no.2
    • /
    • pp.148-151
    • /
    • 1986
  • The typical sea-weeds such as laver, Sea tangle, tangle have been artificially polluted to measure the contents of mercury through the cooking methods of washing and immersion in acetic acid. The content of mercury of non-mercury treated laver sold in the market is $0.052{\pm}0.002\;ppm$, sea tangle, $0.048{\pm}0.005\;ppm$, and tangle, $0.078{\pm}0.010ppm$. Tangle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pollution after 24 hours immersion in the 1ppm mercury solution, to be followed by sea tangle and laver. The effect of solution and dehydration in economic sense is in the order of Sea tangle, tangle and laver. In case of initial immersion in 1ppm $HgCl_2$ solution to be reimmersed in 1%, 3%, and 5% of HAC solution the residue mercury does not show much effect in density in laver, sea tangle and tangle.

  • PDF

Restoration of gold guilding on Geumdong-samjonpanbul excavated from Walji, Gyeongju using plum acid & gold(Au)-mercury(Hg) amalgam (매실산과 금아말감을 이용한 월지 출토 금동삼존판불의 금도금법 복원)

  • Yun, Yong-Hyeon;Jo, Nam-Cheol;Lee, Tae-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6-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에 기록된 도금 재료와 도금법 등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매실산을 사용한 금(Au)-수은(Hg) 아말감기법으로 고대 도금(鍍金)기술을 되살리고, 이를 토대로 경주 월지에서 출토된 금동삼존판불을 복원하였다. 먼저, 전통 도금법을 되살리기 위해서, "오주서종박물고변", "확지신편", 조선시대 각종 의궤 등에 공통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매실에 주목하고, 매실을 3~4개월 발효 숙성 후 착즙한 뒤 그것을 농축하여 만든 매실산을 도금 실험에 적용하였다. 금아말감 도금을 위하여 월지 출토 금동삼존판불의 바탕소지금속인 청동삼존판불을 구리와 주석 89:11(Cu:6kg, Su:750g)로 합금하여 주물사 주조법으로 복원하였으며, 동일한 합금비로 제작된 $2.3cm{\times}3.5cm$(가로${\times}$세로)의 시편에 사전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대적 산처리 방식에 사용되는 질산과 전통방식으로 사용되는 매실산으로 시편에 산처리 한 후 각각 비교해 보고, 금분과 금박, 상온과 가온에 따른 아말감상태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실험에 사용된 매실산 70%는 pH가 1.94로, 오늘날 산처리에 사용하고 있는 질산 20%와는 차이가 있지만, 청동 시편 실험을 통해 매실산에 20분 정도 담근 뒤 금아말감을 도포 후 24시간 지나 가열($380{\sim}400^{\circ}C$) 했을 때 금도금이 잘 되어, 현대적 방법인 질산처리로 도금을 한 시편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사전 실험을 통한 결과를 적용한 월지 출토 금동삼존판불 복원은 청동삼존판불 표면처리, 금-수은 합금 및 도금하기, 도금 후 표면처리의 순서로 진행되었는데, 금과 소지금속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표면을 숯을 이용해 탈지한 후 물로 씻어내고 매실산을 도포하여 20분 동안 두어 부식 및 세척을 시행하였다. 금도금을 위한 금-수은아말감은 가온할 때 수은이 증발하는 양을 고려하여 금1 : 수은10 비율로 합금하여 완성하였으며, 금아말감 도포 후 약 24시간 지난 다음, $380{\sim}400^{\circ}C$에 가열하여 수은을 기화시켜 도금작업을 완성하였다. 금아말감도금은 평균적으로 6~7차례 시행하여야 완벽히 도금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 4차례의 도금만으로 금아말감도금을 완성시켰는데, 이것은 금아말감을 바탕소지인 청동에 도포한 후 24시간 동안 금아말감과 청동과의 반응 시간을 두게한 것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청동시편을 이용한 실험과 과학적 분석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SEM으로 표면을 관찰한 결과 아말감 도포시간이 즉시인 경우 도금이 거의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36시간이 넘어갈 경우 금 도금층이 불균일하게 관찰되었으므로 도금시간은 12시간~24시간 이내가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DS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산처리 시간이 20분인 시료의 경우 5 wt% 내외로 수은의 비율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및 분석결과 산처리 시간이 20분이고 아말감 도포시간이 24시간일 때 도금이 잘 이루어지므로 이 결과를 토대로 금동삼존판불을 복원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도금법에 표면을 세척하고 부식시키기 위해 사용한 물질이 매실산임을 찾아내어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점 에서 이 연구의 가장 큰 의미는 전통 소재와 기술을 복원한 것으로, 앞으로 매실산을 이용한 금 도금기술은 관련 학계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on mercury concentrations of freshwater fish from Lake An-dong and its upper stream (안동호 및 상류수계 내 어류 중 수은 농도 특성연구)

  • Byeon, Myeong-Seop;Lee, Jae-Yoon;Park, Jin-Joo;Shin, Sun-Kyoung;Han, Jin-Seok;Kim, Young-Hee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3 no.5
    • /
    • pp.492-497
    • /
    • 2010
  • In this study, mercury concentrations in freshwater fish from Lake An-dong basin were investigated and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national freshwater fish monitoring survey. The mercury concentrations of fish from Lake An-dong were in the range of 37~611 ng/g and Korean piscivorous chub, the top predator showed the highest average mercury concentrations, $198{\pm}97\;ng/g$. Most of fish caught from upstream of Lake An-dong were herbivorous and omnivorous, and goby minnow and pale chub showed relatively lower mercury concentrations of $21{\pm}16\;ng/g$ and $33{\pm}24\;ng/g$, respectively. Especially, mercury concentrations of long nosed barbel and largemouth bass caught from Lake An-dong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average of the national survey monitoring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