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용액 화학

검색결과 1,039건 처리시간 0.023초

Alkylquinolinium Halide의 계면활성에 관한 연구 Ⅰ. Dodecylquinolinium Bromide 수용액의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The Study for Surface Activity of Alkylquinolinium Halide Ⅰ.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of Solution of Dodecylquinolinium Bromide)

  • 이종만
    • 대한화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05-207
    • /
    • 1972
  • 새로히 합성한 dodecylquinolinium bromide의 수용액에서 표면장력과 전기전도도 측정치로 부터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을 결정하였다. 표면장력법으로 결정한 c.m.c.의 값은 $3.34 {\times} 10^{-3}mole/l$이고 전기전도도법으로 결정한 값은 3.41 {\times} $10^{-3}$mole/l이었다. 이값들은 dodecylpyridinium bromide의 그것보다 작은데 이는 dodecylquinolinium bromide의 소수성 group이 큰데서 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중급 출력 마이크로파 유도 플라즈마를 이용한 금속 및 비금속 수용액시료의 직접 분석법의 개발 (Development of Direct Analysis of Metal and Non-metal Ions in Aqueous Samples with the Moderate Power Helium Microwave Induced Plasma)

  • 박용남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99-706
    • /
    • 1991
  • 헬륨 기체를 사용하여 중급 출력(500W) 마이크로파 유도 플라즈마(Microwave Induced Plasma:MIP)를 헬륨 기체를 사용하여 만든 뒤 직접 수용액 시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Beenakker의 cavity를 변형시켜 얻은 안정된 헬륨 플라즈마는 실린더 형태의 모양을 하고 있고 기체의 흐름량을 조절하여 "toroidal"형태의 플라즈마도 얻을 수 있으나 분석학적 능력은 오히려 감소되었다. Glass Frit Nebulis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금속 원소는 10~100 ppb 근처의 검출한계를 보였고 비금속원소인 염소의 경우는 50ppm근처의 검출한계를 보였다.

  • PDF

수용액 중에서 발린류의 해리상수 (The Dissociation Constants of Valines in Aqueous Solution)

  • 황정의;곽영우;정재원;길천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5-110
    • /
    • 1991
  • 수용액 중에서 발린과 노발린의 두 가지 해리상수를 온도와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전도도법으로 측정했다. 이들 해리상수로부터 열역학적 성질들을 계산하여 해리반응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아미노산의 종류 즉, 아미노기의 위치나 사슬의 길이,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 해리도가 어떤 영향을 받는가 하는 것을 Hammett식을 이용하여 검토했고 이것을 CNDO/2법으로 계산한 분자내 원자의 알짜 전하와 비교 검토하였다.

  • PDF

$H_2S$ 가스로 유황처리된 GaAs 표면의 AES 및 XPS 분석 (AES and XPS Analysis of GaAs Surfaces Sulfurized by $H_2S$ Gas)

  • 신장규;이동근;김항규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64-268
    • /
    • 1994
  • 본연구에서는 HCl 또는 NH4OH로 산화막을 식각학 GaAs 표면에 H2S 가스를 이용하여 유황처 리하였다. 표면의 화학적 조성 및 결합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AES 및 XPS를 사용하였다. 시편들은 30,200 및 $350^{\circ}C$로 가열하면서 H2S가스와 반응시켰다. 이때 유황은 GaAs 표면의 Ga 원자 및 As 원자 와 화학결합을 형성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350^{\circ}C$로 가열된 시편이 $30^{\circ}C$ 또는 $200^{\circ}C$로 가열된 시편 보다 표면에 결합된 유황의 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NH4)2S 수용액 또는 Na2S 수용액으로 유황처리된 경우와 동일하게 H2S 가스로 유황처리된 GaAs 표면에서는 Ga 산화막 및 As 산화막이 거 의 관측되지 않았다.

  • PDF

염화물 수용액 중의 철근에 대한 고체전극의 전기화학적 성능 연구 (Study o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Solid-State-Electrode on Steel bar in Chloride Solution)

  • 박동진;박장현;이한승;수비아 카식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7-148
    • /
    • 2018
  • In order to compar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with that of Calomel Electrode, MnO2 solid-state-electrode was fabricated and its potential and impedance were measured in chloride aqueous solution. As a result, the SCPS without chloride ions showed a potential of -200 mV or more and an impedance over 2000 Ωcm, but the potential below -600 mV and the impedance below -200 Ωcm showed as the chloride concentration in the solution increased. It is considered electrochemical studies on the corrosion of rebar are necessary for the MOE, which shows the same tendency as SCE and exhibits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ver the Mortar level in the future.

  • PDF

수용액에서 몇가지 란탄 착화합물의 Hypersensitive Transitio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persensitive Transitions of Nd(III), Ho(III) and Er(III) Complexes in Aqueous Solution)

  • 윤석승;최기영;박경균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3-248
    • /
    • 1988
  • 수용액에서 몇가지 란탄 착화합물의 hypersensitive 전이대를 연구하였다. 리간드의 염기도$(pK_a)$와 란탄 착화합물의 hypersensitive 전이대의 진동자 세기 사이에 정립된 선형 관계에 근거를 두고, 금속-리간드 결합간에 존재하는 공유 결합성을 anthranilate, pyrazine-2-carboxylate, 및 pyruvate 착화합물에 대해서 논하였다.

  • PDF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교과서에서 모델 관련 내용 분석: 수용액 전기 분해를 중심으로 (Analysis of Contents related to Models in the Chemistry Textbooks of the 2009 & 2015 Revised Curricula: Focusing on the Electrolysis of Aqueous Solutions)

  • 김기향;장하석;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4호
    • /
    • pp.289-306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모델의 개발과 사용"이라는 항목에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8종, 화학 II 교과서 6종을 분석하였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4종, 화학 II 교과서 4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범위는 수용액의 전기 분해에 관련된 내용만 선택하였다. 또한 동일한 실험을 다른 모델로 해석하는 전해질 관련 내용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4종의 관련 단원 내용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9종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과 단원에 따라 동일한 실험을 다른 모델로 설명하고 있었으며, 모든 설명은 단일 모델로 제한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모델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 실험 결과가 나오는 전해질의 종류를 제한하는 경향이 2009 개정 교육과정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개발된 교과서에서 "모델의 개발과 사용"을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요소-수용액에서 Dodecylpyridinium Bromide의 미셀화에 미치는 압력효과 (The Pressure Effects on the Micellization of Dodecylpyridinium Bromide in Urea Aqueous Solutions)

  • 정종재;이상욱;노병길;최준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8-32
    • /
    • 1992
  • 몇 가지 요소-수용액에서 Dodecylpyridinium bromide의 임계미셀농도 변화를 1${\sim}$2000 bar 및 $25^{\circ}C$에서 전기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수용액에 요소가 첨가됨에 따라 전압력 범위에서 임계 미셀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요소-수용액에서 압력의 증가에 따라 임계미셀농도가 증가하다가 어떤 압력이상에서는 압력의 증가에 따라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미셀 형성에 대한 분몰부피변화$({\Delta}V^m_o)$는 요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 결과로부터 단량체 상태의 계면활성제의 탄화수소사슬 주위의 물의 "icerberg" 구조가 요소에 의해 효과적으로 파괴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기금속화학증착 분진(MOCVD dust)을 이용한 갈륨 함유 고순도 수용액 제조 연구 (Fabrication of High Purity Ga-containing Solution using MOCVD dust)

  • 이덕희;윤진호;박경수;홍명환;이찬기;박정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4호
    • /
    • pp.50-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LED 칩 제조를 위해 이용되는 유기금속화학증착(MOCVD) 장비에서 발생하는 분진(dust)으로부터 용매추출을 통해 고순도 갈륨(Ga) 함유 수용액을 회수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추출제 종류, 추출제의 농도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Ga 추출에 효과적인 추출제를 선정하고자 하였으며 다단계 추출/역추출 공정을 통해 추출 효율을 향상시켜 고순도 Ga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원료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Ga의 추출 및 분리를 위해 PC88A, DP-8R, Cyanex 272 추출제 중 Cyanex 272를 선택하였으며 1.5M일 때 43.8%의 효율이 나타났다. 다단계 추출을 통해 Ga의 추출 효율은 83%까지 상승하였으며 0.1 M HCl을 이용한 역추출 공정으로 불순물이 없는 5N급 고순도 Ga 수용액을 제조할 수 있었다.

수용액상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에 대한 N-methyl acetamide의 영향 (Effect of N-Methyl Acetamide on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of Aqueous Solutions of Some Surfactants)

  • Alawi, Sadeq M.;Akhter, M. Salim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63-168
    • /
    • 2011
  • 다양한 농도의 N-methyl acetamide 수용액에서 계면 활성제의 농도에 따른 계면활성제들 (sodium caprylate, sodium laurate, sodium palmitate, sodium stearate, sodium oleate, sodium dodecyl sulphate, lithium dodecyl sulphate)의 몰 전도도 변화를 $30{\pm}0.2^{\circ}C$의 일정온도에서 연구하였다. 각각의 계면활성제에 대한 임계 미셀 농도 (CMC)를 측정하였다. 수용액에 N-methyl acetamide이 공존할 때에는 여러 계면 활성제의 CMC 값이 수용액에서의 CMC 값보다 더 낮고, 미셀 형성에 대한 추진력은 소용매성과 관련되었다. N-methyl acetamide 수용액에서 양쪽성 자기-조직화를 추진하는 계면활성제-용매의 상호작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결과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미셀 시스템에 대한 열역학적 매개변수들을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