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요도

Search Result 12,827,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고령화가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력수요를 중심으로

  • Won, Du-Hwa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1 no.2
    • /
    • pp.341-369
    • /
    • 2012
  • Population aging has been one of the serious problems in Korea. Aging can affect social and economic features including energy consumption. This paper analyzed how population aging makes an effect on residential electricity demand. Yearly data from 1965 to 2010 were collected. The long and short-run demands for residential electricity were estimated with respect to Korean aging index. The results show that population aging reduces residential electricity demands in the short run significantly, but the effect decreases in the long run. However, population aging still negatively affects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 long run. If population keep aging as Korean government expected, then the residential electricity demand per capita will grow less than 3%.

  • PDF

대중교통 노선배정에 관한 EMME/2 알고리즘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이인희;이성모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466-466
    • /
    • 1998
  • 도로 교통의 혼잡이 나날이 증가되고 있는 현실 상황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도로의 무제한적 건설은 정보의 예산절약, 필요한 도로용지 확보의 어려움, 환경오염 문제 등으로 인해 현실적인 한계에 이르렀다. 따라서, 이러한 도로의 혼잡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승용차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요를 대량수송이 가능한 대중교통 이용수요로 전환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중교통의 서비스수준 제고 및 운영 관리 체계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전략적 및 운영적 측면에서의 대중교통계획은 미래 대중교통수요의 정확한 예측을 전제로 하여 수립되며, 이러한 수요의 예측은 필수적으로 현실을 보다 더 정확하게 묘사해 줄 수 있는 통행배정모형을 필요로 한다. 대중교통 통행배정은 규칙적인 배차시간과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고정서비스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한 링크 상에서도 여러 개의 운행노선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승용차 통행배정과는 독립적으로 취급되어 왔으며, 이로 인해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선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교통예측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EMME/2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중교통수요 통행배정 모형인 최적전략모형(Optimal Strategy Model)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최적전략모형은 수요 배정시, 최적전략에 속하는 경로들에 대해 단순히 운행횟수에 비례하여 수요를 배정함으로 인해서, 예를 들면 운행횟수는 많지만 환승이 많은 경로에 수요를 많이 배정하는 것과 같은 비현실적인 결과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두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먼저, 노선배정에 우선되는 최적경로 탐색시 환승노드에서의 환승에 대한 벌점을 그 노선의 운행회수에 줌으로써 환승이 많은 경로에 수요의 배정이 적게 되도록 하는 방법과 두 번째로 수요의 배정시 운행횟수가 아닌 목적지까지의 통행시간과 대시시간에 따른 확률적 배분을 통해 기존 모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했다.

  • PDF

Analysis on domestic application of foreign demand response programs (해외 수요반응 프로그램의 국내 적용에 대한 방법 분석)

  • Bang, Sung-Joon;Kim, Won-Ki;Kim, Chul-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83-84
    • /
    • 2011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여러 국가들과 기업들이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에너지관리에 관심을 갖고, 그에 따른 연구와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전력수요 측의 역할을 증대시키는 수요반응(Demand Response)에 대한 국내외 수요반응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해외에서 실행되고 있는 수요반응 프로그램 중에 우리나라 수요반응 운영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형태로 개발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A Design of Demand Response Program in Consideration of Seasonal Peak Load (계절별 최대전력수요를 고려한 수요관리 프로그램 설계)

  • Lee, Jong-Uk;Wi, Young-Min;Lee, Jae-Hee;Joo, Sung-K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72-27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하계와 동계 각 기간별 최대전력수요와 온도를 이용한 수요관리 프로그램 적용일와 적용시간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국내 전력수요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안된 방법을 2011년~2012년에 적용하여 수요관리 적용일과 적용시간을 추정하였다.

  • PDF

Demand Management by Demand Resource Market (지원금입찰제(수요자원시장)에 의한 수요관리)

  • Moon, Kyeong-Seob;Kim, Doo-Joong;Ok, Ki-Yeol;Shin, Jae-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80-82
    • /
    • 2008
  • '08년도에 전력거래소는 에너지관리공단의 직접부하제어 설비와 고객을 인수하여 지원금입찰제에 의한 수요관리사업, 즉 수요자원시장을 구축하여 운영하였다. 곁 논문에서는 수요자원시장의 기본개념을 설명하고, 08년도 하계 수요자원시장외 운영결과와 개선방향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for Winter resource DSM (동계 DSM 자원 발굴에 대한 연구)

  • Ahn, Jong-Wook;Lee, Jong-Hyun;Kim, Seong-Ho;Ko, Won-Suk;Kim, Jin-Ho;Kim, Seong-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450-451
    • /
    • 2008
  • 국내의 동계 전력수요는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하계 전력수요와 비슷한 동계 전력수요에도 불구하고 수요관리 제도는 하계에 집중되어 있다. 국내의 동계 전력수요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통하여 동계 수요관리 자원을 발굴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안정적 전력공급 및 계통의 신뢰도를 확보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f Demand-Side-Bidding Participation Method for Demand response's interconnection of market (수요자원의 시장연계를 위한 수요시장 입찰 참여방식의 연구)

  • Shon, Jung-Kuk;Yang, Min-S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666-667
    • /
    • 2011
  • 수요자원은 전력수급 관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일본 지진과 관련하여 원전사고는 신규 발전소의 입지 난과 환경문제들을 더욱 불거지게 하였으며 전력수급문제가 공급 측면에서만 해결될 수 없으며 수요측면에서도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수요자원이 시장에 연계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수요시장 입찰 참여방식에 대해 검토하였다.

  • PDF

주요 축산물 수요분석과 예측

  • 허신행
    • KOREAN POULTRY JOURNAL
    • /
    • v.11 no.10 s.120
    • /
    • pp.64-74
    • /
    • 1979
  • 1978년은 우리가 미처 상상도 하지 못했던 축산물을 소비하여 이를 폭발적인 수요증가라는 말로 표현하였고, 쇠고기 돼지고기를 비롯하여 분유까지를 대량 수입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고 금년의 수요 둔화는 다시한번 업계를 불황으로 이끌고 말았다. 장단기 축산물의 수요를 정확히 추정하는 길만이 안정된 축산을 이룩하는 기초가 됨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그간 각 연구기관의 축산물 수요추정이 있었으나 이번 국내 가장 권위지인 계간 농촌경제에 발표된 축산물의 수요추정을 계제하여 장단기 사업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 PDF

Design of Automated Demand Response System for smart home (스마트 홈을 위한 자동 수요반응 시스템 설계)

  • Seo, Jongkwan;Jin, Ju;Lee, Jae-J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51-52
    • /
    • 2015
  • 대부분의 수요반응 시스템은 전력 소비가 큰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홈 수용가를 위한 수요반응 서비스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을 대상으로 자동 수요반응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에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을 분석한다. 또한, 응용 프로토콜의 직접적인 구현을 통하여 실제 수요반응 서비스의 동작에 대해서 기술하고, 수요반응 시스템에 적용을 위한 이슈 사항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 PDF

Supply Chain Contract Model with Vague Demand Information (모호한 수요정보에서의 공급망 계약 모델)

  • Kim, Gi-Tae;Park, Jun-Cheul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v.21 no.2
    • /
    • pp.181-196
    • /
    • 2012
  • 본 논문은 고객의 수요정보에 대해 모호한 정보를 가진 공급자와 구매자 사이의 공급망 계약에 관한 것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고객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은 확률적 프로그래밍 모델에서 공식적으로 다루어져왔다. 확률적 프로그램의 한 가지 핵심적인 가정은 널리 알려져 있는바와 같이 수요에 대한 확률분포가 알려져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수요에 대한 정보가 모호하거나 정확하지 않다면 수요에 대한 확률분포가 정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이런 상황에서 퍼지 이론은 수요정보를 나타내는데 유용하다고 할수 있다. 본 논문은 퍼지 랜덤수요변수들을 분산시스템의 공급망 계약에서 다루고 있다. 이 계약은 구매자의 주문량을 조정하는 옵션을 이용한다. 본 연구는 퍼지 랜덤 변수들을 GMIR(Graded Mean Integration Representation)을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실증적 결과 값을 제시하고 미래 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